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조 연근을 포장방법(PE 필름, PP 필름, 마대, 종이봉투)과 저장온도(-5, 0, 10, )를 달리하여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분함량, 경도변화, 색도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수분의 함량은 PE, PP 포장재에서 종이봉투 및 마대 처리구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마대와 종이봉투 포장재는 온도에 따 시료간의 수분함량 차이에 있어서 PE와 PP의 포장재와 달리 큰
        2.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유리당, 유기산, cynaroside 및 총폴리페놀성물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총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cynaroside 의 함량은 천일건조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총폴리페놀성 함량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것이 가장 높았다. 건조한 씀바귀뿌리의 유리당 중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galactose는
        3.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을 주근 및 세근으로 분리하여 원적외선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온도(70, 80, 90, 100, 110, 120, 130 및 140℃)에 따라 건조한 후, 사포닌, 당, 유기산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건조한 주근의 총사포닌 함량은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미량 증가하여 130℃에서 가장 높았고 세근에서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세근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감소한 ginsenoside는 Re, Rc, Rb1 및 Rb2 이었고 Rg1, Rg3, Rf 및 Rb3는 미량씩 증가하였다. 가용성 당은 주근, 세근 모두 70℃에서 가장 많이 용출되었고, 유기산 함량은 주근 세근 모두 120℃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건조온도에 따른 색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밝기는 주근 세근 모두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120℃에서 가장 높았고 황색도는 100℃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수삼 건조 시 건조온도에 따라 사포닌 구성함량 변화의 차이를 보임으로서 백삼의 이용목적에 맞게 수삼 건조 시 온도, 건조 형태 및 주근과 세근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5.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nalysis of RAPD-PCR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with three Angelica species (A. gigas Nakai, A. sinensis (Olive.) Diels and A. acutiloba Kitag) in an effort to distinguish between members of these three species. Two arbitrary primers (OPC02, OPD11) out of80 primers tested, produced 17 species-specific fragments among the three species. Eight fragments were specific for A. sinensis, four fragments specific for A. gigas, five specific for A. acutiloba. When primers OPC02 and OPD11 were used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APD-PCR fragments that were specific for each of the three species were generated simultaneously. Primer OPC02 produced eight species-specific fragments: four were specific for A. sinensis, one for A. gigas, and three for A. acutiloba. Primer OPD11 produced nine speciesspecific fragments: four for A. sinensis, three for A. gigas, and two for A. acutiloba. The RAPD-PCR markers that were generated with these two primers should rapidly identify members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The consistency of the identifications made with these species-specific RAPD-PCR markers was demonstrated by the observation that each respective marker was generated from three accessions of each species, all with different origins. We also performed the RAPD-PCR analysis with the dried Angelica root samples that randomly collected from marketed and from the OPC02 primer, obtained a A. gigasspecific band and the band were cloned and sequenced.
        6.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포의 뿌리를 주근(main ro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3 열풍건조분말의 주된 포화지방산으로는 capryl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및 heneicosanoic acid 등 10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각각 주근과 측근의 경우 caprylic acid가 28.35%, 31.44%이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oleic acid 및 lin
        7.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포 뿌리를 주근(main m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열풍건조 분쇄, 분말화한 후 일반성분, 당 및 아미노산등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주근과 측근 건조분말에는 각각 조단백질 12.76%, 9.84%와 조지방 7.43%, 3.42%로 높게 함유하고 있어 에너지공급원과 식물성 고단백질 원료로서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리당으로는 sucrose, stachyose, r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