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환경예술에서 환경 공간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특 수교육을 위한 환경 공간에 대한 기능적 디자인을 탐구하려는 목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환경 공간의 기능성 디자인 원 칙과 디자인 방법 및 디자인 동향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수용자의 기능적 공간 수요를 발굴하고, 특수 교육 체계에서 환경 공간디자인 모듈을 보완하여 환경예술 디 자인을 각 사회집단에 가장 적합하게 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인문적 배려를 강화하여 공간환경을 기능적 장벽을 제거하여 수용자의 감성적 장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법을 마 련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서예는 중국의 개혁 개방 이후 여타 예술 분야보다 매우 발 전되었다. 특히 서예교육은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 ‘세련된 인 격’ 실현이라는 전통적 사상과 현대적 의미를 달성하는데 효능 이 있다는 생각으로, 정부에서는 초ㆍ중ㆍ고등 교육과정에 서 예를 필수과목으로 선정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 천하는 과정에서 ‘기능’을 위주로 한 서사교육 방식으로 진행되 면서 ‘예술교육(美育)’의 핵심인 상상력과 창의성이 결여되면서 학생들의 ‘흥미성’을 잃고 있다. 이렇게 흥미 없는 기술 반복 교육은 ‘美育’의 궁극적 목적인 ‘세련된 인격’ 완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심미전달 방법을 통하여 흥미 로운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하여 ‘美育’이 ‘흥미’를 통해서 ‘도 덕’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중국 전통 사상인 ‘善美一體’를 실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만이 추진하고 있는 핵심 교육정책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그 정책은 (1) 12년 의무교육, (2) 기술·직업 교육 개혁 방안, (3) 통합 유치원, 유아원 정책, (4) 대학 설립 및 폐교 기준 (5) 대학들의 국제적 명성 획득 전략 등으로 대표 된다. 이러한 교육 정책 실행 후 기대되는 효과로는 (1)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한 보조금 지급, (2) 출생률 저하에 따른 재능 교육 책정, (3) 고등교육의 국제화, (4) 교육-직업 간의 부조화 격차 감소가 있다. 또한 대만 정부는 APEC회원들과의 민간 및 공공 부문의 협조를 통하여 교육정책 효과 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역 경제 통합’과 ‘녹색 성장’이라는 주제로 APEC에 국가 간 교육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안을 성명하고 있다.
The is the commonest word in English. This word is also known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tical items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paper focuses on the non-generic use of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and examines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of the article in Advanced English Grammar and English Grammar in Use. It reveals that some of the important usages of the definite article are not included in 'the grammar books', and observes, following Park and Song (2001), that these unlisted usages cause much difficulty for Korean learners to improve accuracy in the article use. Underscoring the organic view of language, the paper proposes tha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rammar' is prerequisite for optimum efficiency in teaching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to Korean EFL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