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자발쑥에서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이용하 여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염증 및 면역과민성에 대한 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라디 컬 소거능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DPPH 활성산소 소거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9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95%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인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분리하고, 항염증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NO, IL -6,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파 틸린과 유파폴린은 각각 1, 5, 10m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 O,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유파폴린은 유파틸린 보다 더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HaCa T (피부 각질 세포)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에 대한 피부염증 감소 효능 을 확인한 결과, TNF-α/IFN-γ에 의해 증가한 RNTES 및 TARC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농도가 각각 농도에 따라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자발쑥으로부터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은 향후 피부질환 관련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사료된다.
        5,800원
        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기능이 보고된 쑥의 eupatilin성분과 jaceosidin 성분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기능성 작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 지역의 도서벽지에서 수집한 자생쑥을 분석한 결과 강화~cdot백령도 지역의 수집 쑥에서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이 높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것은 강화의 싸주아리 쑥이었다. 2.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다. 3 쑥의 식물체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 함량은 상위엽이 하위엽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jaceosidin 함량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3.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광학적 방법(1Hand13C-NMR,MS) 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76069x+107329(r=0.9999), jaceosidin은 y=76651x+77399(r=0.9996)으로 각각 직선성이 인정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240mg(100g 잎), jaceosidin이 10mg(100g 잎) 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330mg(100g 잎), jaceosidin이 123mg(100g 잎)씩 각각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