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숭아 연화의 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장호원황도’를 공시하여 과실품질 및 세포벽 관련물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을 성숙기에 수확하여 과실 경도별 4그룹으로 구분한 후 25℃에서 10일간 보관하면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화가 진행될수록 과육경도의 유의한 감소와 가용성고형물의 증가가 나타났다. 당의 구성은 서당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연화초기에 84.0%, 연화말기에서 75.8%로 나타났고 연화과정이 진행되면서 환원당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알콜불용성 물질 함량은 연화만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는데 수용성펙틴의 가용성도 함께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과육이 완전히 용질된 연화말기에는 수용성 및 CDTA 가용성펙틴과 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스의 가용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CDTA 가용성펙틴의 분해는 연화만기에 시작되어 연화말기에 극심하였고 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스의 분해는 연화말기에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복숭아 ‘장호원황 도’의 연화과정은 펙틴과 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스의 가용성 증대를 수반하며 셀룰로스에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matrix glycan의 부분적 분해와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4,000원
        2.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간 유연관계 및 속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Ocotea속의 과실 해부형태의 연구가 14종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종들간의 과실해부형태는 거의 비슷했으나 종들간 차이는 중과피내에 후벽세포의 유무에 있었고, 만일 중과피내에 후벽세포가 존재한다면 어느부위에, 또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에 달려있다. 조사된 종들을 가지고 비교한 결과, Ocotea속은 적어도 5개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1) 후벽세포가 발달하지 않은 종 O. atrriensis, O. cujumari, O. helicterifolia, O. rubra and O. schomburgkiana; 2) 후벽세포가 외하피에만 발달한 종 O. aciphylla, O. javitensis, and O. sp. [Werff et al. 12676]; 3) 후벽세포가 내하피에만 발달한 종 O. tonuzii; 4) 후벽세포가 외하피와 내하피에 모두 발달한 종 O. foerens, O. quixos, and O. veraguensis; 과 5) 후벽세포가 중과피의 여기저기에 발달한 종 O. floribunda and O. nitida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아울러, Ocotea속에 있어서 과피 해부형태의 다양성이 논의되었으며, 속에 대한 분류학적 재인식이 요구되었다. 한편, 과실의 해부형태 형질의 진화경향은 중과피내에 후벽세포가 발달하지 않은 종으로부터 후벽세포가 발달한 종으로 진화했을거스로 추정되었다.
        3.
        199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chromatograms of polysacctatides and soluble pectins on Sephadex G-50 and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ell wall of persimmon fruits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and -galactosidase in vitro. The chromatogram pattern of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galactosidase on Sephacryl S-500 column were similar to those of untreatment, but contents of soluble pectins treated with -galactosidas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untreatment. The patterns of chromatograms In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ere more complex and lower molecular polymer than those of other cell wall-degrading enzyme treatments. Non-cellulosic neutral sugar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of soluble materia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as rhamnose, those in fraction I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I and contents of arabinose, xylose and glucose were higher than contents of othe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in soluble material by -galactosidase treatment wer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and mannose. Content of glucose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I was higher than that in fraction I .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treated with mixed enzyme wer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e. Compositions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 and 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