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약 9,600건의 사고를 분석하여 자율주행 긴급차량의 신속한 대응 능력을 향 상시키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2차 사고가 전체 사망자의 16.8%를 차지하며, 이들 중 약 74%가 선행사고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 강조 된다. 이러한 통계는 긴급차량의 신속한 대처 능력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연구에서는 사고의 영향권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차량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고 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실제 교 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고 지속 시간과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기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로 특성, 사고 종류, 점유 차로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하여 대응 기준을 설정했다. 알고리즘은 자율주행 차량이 실시간으로 주변 정보를 수집하고 신속하게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실제 도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한 추가 연구를 통해 성능을 더욱 개선할 계획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하여 2차 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명 사고, 차량 화재, 자연재해, 돌발상황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영향권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도로망을 중심으로 한 영향권은 해당 도로의 교통량, 통제 차로 수, 사고 처리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대책 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도로 관리 대책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행렬이론을 기반으로 긴급상황 영향권을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향권은 공간적인 개념으로서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해당 도로 진행 방향 기준 후방으로 도로 소통에 영향을 끼치는 거리로 정의하였다. 사고 발생지점, 사고 발생 링크의 교통량, 차로 수 및 통제 차로 수, 사고 발생 및 사고 종료 시점 등의 변수를 입력 데이터로 설정하였고 긴급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행렬길이를 파악하기 위해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하였다. 돌발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지속시간의 범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상황별 영향권을 산출하였다. 유스 케이스별 영향권 산출을 통해 교통량, 이용 가능한 차로 수, 사고 지속시간 각각이 영향권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권을 통해 실시간 교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사 상황에서의 영향권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교통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영향권 파악으로 현장 대응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o analyze the impact of marketing losses on efficiency in transacting banana in Kurnool district of SRZ in Andhra Pradesh and to assess the opinions of the farmers on the constraints in transacting banana. Research back 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relies exclusively on prim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ana farmers of Kurnool District. Purposive sampling procedure was followed for the selection of the study area. Top two mandals in the district and top two villages in each mandal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rea under cultivation of banana. Probability proportion to size was follow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sample farmers and accordingly 60 marginal, 37 small and 23 other farmers were selected and thereby, the total sample size was 120. Result and Discussion: Three marketing channels were identified in the marketing of banana in Kurnool district viz., Producer → Local-exporter → Wholesaler → Retailer → Consumer (Channel-I), Producer → Wholesaler → Cart-vendor → Consumer (Channel-II) and Producer → Juice-holder → Consumer (Channel-III). With the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in the price spread analysis of banana in all the three channels, the marketing costs of all the intermediaries were increased and thereby,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agencies are on the decline. So, without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all the agencies are overvalued. The higher the marketing losses, the more is the negative impact on farmer’s net selling price,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intermediaries and marketing efficiency. The sample farmers are facing major problems in marketing of banana like frequent price fluctuations, unorganized marketing and lack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on priority basis. Suggestions: It is suggested to educate the farmers regarding the optimum maturity index for harvest, use of mechanical harvesters, proper placement of fruits during storage and ripening, better packaging and cushioning technologies to absorb shocks during transportation, strengthening of storage facilities and transport facilities, encourage co-operative marketing etc., to promote marketing efficiency of banana in the study area.
        4,200원
        5.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oad network of the surrounding area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Kiss & Ride Zone. METHODS : Estimating the transportation mode of students by using the Metropolitan household Surveys(2006) and estimating the O/D by Kiss & Ride ratio with the estimated data, then being applied to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lanes for certain sections of the road which would be installed with Kiss & Ride Zone. RESULTS : The reason why it is different for delay resolving time and the affected roads as the Kiss & Ride percentage change, was the impact of the Kiss & Ride Zone's installation position. CONCLUSIONS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oad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f Kiss & Ride Zone by using speed and queue delay resolving time, and it is a need to develop a quantitative evaluation technique which was using various indicators in impact analysi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the future.
        4,300원
        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cking process in distribution center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and time-consuming process. The improvement of picking productivity is a core element which decides efficiency of the distribution center. The time to shipping on vehicles from receiving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items or picking methods. The Pick to Light system typically is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rder picking. In some cases the layout design of Pick to Light system has been performed rather than scientific analysis by a common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picking performance by the zone arrangement method in order picking process of Pick to Light system.
        4,000원
        8.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production, employment, value added and income impacts tha, in the event of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Haeundae as 'Convention, Movie, Marine Leisure Special Zone', its marine sector would have on the local economy. The realization of marine leisure special zone of Haeundae in Busan is expected to lead to a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of approx. \13.6 billion, resulting in \68.0 billion in production impact, 850 jobs in employment impact, \28.0 billion in value added impact and \14.5 billion in income impact. This is expected to give a boost to a stagnant local economy, offering opportunities for the revival of Busan's tourist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