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몰개성은 경험의 진실을 가져오기 위해 예술가의 입장에서 행하는 실천 이다. 그러한 진실한 경험은 현실과 아름다움을 모두 포함한다. ‘실재적’인 능력 안에 서 우리는 몰개성의 경험이 충만함과 전체성을 가져온다면 몰개성의 미적 상태가 더 큰 이해를 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 S. 엘리엇, W. B. 예이츠와 존 키츠는 인 간 삶의 모든 의미를 ‘결집’하여 예술로 만듦으로써 ‘감수성의 메커니즘’을 고안하여 예술을 창조했다. 이 위대한 시인들에게 몰개성화의 과정은 궁극적으로 현상과 현실이 구별되는 방식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엘리엇은 일상의 경험을 단편, 무정부 상태 및 불규칙성과 동일시하지만 예이츠는 일상의 수준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경험을 대립적 으로 본다. 한편 키츠는 탐닉이 최대 상태의 일상의 사건들과 상황들로 일상을 위치시 킨다. 전체성의 출현이 연기되는 분명한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엘리엇, 예이츠, 키츠 는 경험의 진리를 실현하기 위한 확실한 조치인 ‘몰개성,’ ‘존재의 통일,’ ‘부정적 능 력’을 제시한다.
        8,700원
        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흔히 낭만주의와 모더니즘의 중간에 위치한 시인으로 분류된 다. 이는 통상 예이츠 스스로 ‘개성’과 ‘몰개성’에 대해 피력한 의견을 엘리엇의 몰개 성시론과 비교하여 판단한 것이나, 실은 두 시인 모두 개성과 몰개성에 대하여 모순적 인 태도를 보여 왔다. 문제는 서로 대척점에서 비교되는 이 두 용어/개념이 아니라 이 러한 이분법적 단절을 넘어서 예술의 자율성 (자기충족성)에 이르는 것이다. 이는 바로 엘리엇이 몰개성이론으로 도달하고자 한 바로 그 지점이며 예이츠 또한 평생 노력하였 던 목표로서, 엘리엇이 궁극적으로 모던한, 몰개성화의 방식으로 제시한 ‘신화적 방식’ 이 왜 다른 어떤 모던 시인도 아니고 바로 예이츠로부터 비롯되었는지 잘 설명해준다.
        4,800원
        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모더니스트들처럼 엘리엇 역시 과학에 대해 이중성을 드러낸다. 한편으로 그가 이미지즘을 시에 적용할 때 그는 과학적 리얼리즘 특히 원자론적 리얼리즘을 동반하는 편이다. 그리고 과학적 객관성이 감정주의를 거부하는 편이기 때문에 엘리엇은 종종 과학적 객관성이 끊임없는 자아의 희생을 요구하는 자신의 몰개성이론과 통하는 점이 있다고 여긴다. 더구나 그의 시에서 시어를 가다듬거나 리얼리스틱한 장면을 구축 하려고 할 때 즉 원자적 사실들이 원자적 문장들과 상응하도록 하는 작업을 할 때 엘리엇은 과학의 분석적 방법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과학의 만용 즉 사회 과학이나 인문학 등과 같은 다른 분야에 그 세력을 확대하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엘리엇은 과학이 자기 분야에서는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보편적 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장 깊은 진리를 획득하는 데는 불충분하다고 믿는다. 더구나 과학적 객관성은 부분적으로 중립성을 얻을 수 있지만 자칫 과학이 조건적인 조직화나 압박적인 체계화에 경도된다면 행동주의처럼 현실을 경직시킬 수도 있다. 반면에 예술적 강렬함이나 예술적인 도취는 혼란한 관계에서 완전한 이탈을 이룰 수 있고 메마른 현실들을 재생시킬 수 있다. 물론 이것이 진화론에 의존하는 베르그송적인 생기론을 엘리엇이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생기론 역시 순수 운동이 무모한 행동주의로 타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t a few Eliot scholars accept Ash-Wednesday as a poem of the poet’s personal voice. But, as a whole, Ash-Wednesday turns out to be a text that doesn’t get out of Eliot’s characteristic literary world which had appeared in his earlier poem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Gerontion”, The Waste Land, and “The Hollow Men”. In particular, the Dantean and Biblical allusions, fragmented prayer-forms, and ambiguous voices characterize Ash-Wednesday as one of the major poems typical of Eliotic poetics. Especially the fragmented prayer forms, constituting each end of the sections I, III, IV, V and VI of Ash-Wednesday, can be said to function in the same way that the mythic method does in The Waste Land. In Ash-Wednesday, Eliot’s personal voice, which is, no doubt, more apparent than in his earlier poems, does not dominate the whole text, but disappears into the other fragmented impersonal voices resulting from the above-mentioned poetic techniques or strategies. Ash-Wednesday, not a variant in Eliot’s poetic world, seems to be a text embodying the poetic principle which Eliot argued for in the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 ‘Impersonal theory of Poetry’. In this point, the personal elements in Ash-Wednesday appear to contribute to the poetics of fusion of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