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multipotent stem cells, which can be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several cells. MSCs are also reported to possess immunomodulatory properties through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generation of regulatory T (Treg) cells. Treg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llergic disorder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anine adipose tissue derived-MSCs (cAD-MSCs) in 3 groups: Group 1, untreated normal dog; Group 2, dogs with Dermatophagoides farinae ointment-induced atopic dermatitis; and Group 3, dogs with atopic dermatitis. Can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were collected from each group and co-cultured with cAD-MSCs. After co-culturing, PBMCs were separated and the expression of Treg cells was examined by flow cytometr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pulations of Treg cells were increased in 3 ex vivo experimental groups, co-cultured with cAD-MSCs. These results would be important for the application of MSCs in clinical trials.
We investigated free radical reactions in lung of living mice using an in vivo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and nitroxyl radical as a probe. When an aqueous solution of nitroxyl probe was trans-tracheally administered into lung of living mice, a sharp triplet signal was observed at the chest of the mice. The signal showed a gradual decrease with time, obeying first-order kinetics. Signal decay rates of carbamoyl-PROXYL and carboxy-2,2,6,6-tetramethyl-piperidine-N-oxyl were faster than those of CAT-1 and carboxy-PROXYL. The mechanism of signal decay may be attributed to (i) reaction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such as ·OH, (ii) transfer into blood circulation, or (iii) reduction by compounds continuously supplie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learance mechanism of the nitroxyl probe in lung. To evaluate the disappearance of the ESR signal of the nitroxyl probe in lung, in vivo ESR spectra in chest of mice was recorded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of an aqueous high concentrate solution of nitroxyl probe. A broad signal from the chest was observed immediately after administration due to Heisenberg spin exchange interaction. A sharp triplet signal was superimposed on the broad signal and the appearance of a triplet signal was followed by disappearance of the broad one. Peak-to-peak line width of the sharp signal was almost the same as that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A distinct signal was detected in blood collected 10 min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of nitroxyl probe. The observations indicate the transfer from lung to blood circul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learance of probe in lung. Appearance of a sharp signal in blood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was dependent on the kind of nitroxyl probe, showing a different transfer rate from lung to blood.
본 연구는 양성자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수모세포종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환자들의 Skin에서 홍반이나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Phantom에서 실제 환자와 동일한 치료계획 후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ry)로 사용되는 열 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와 EBT3 Film으로 실제선량을 조사측정한다. 측정된 선량값을 치료계획 된 피부선량과 비교 분석하여 양성자 치료 시 임상적으로 피부선량 측정 사용에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Phantom을 수모세포종의 전뇌척수치료(Cranio-spinal irradiation, CSI) Set-up position으로 위치하여 Brain에서부터 Pelvis까지 CT촬영하고 양성자 치료계획 후 치료실에서 디지털 영상 포지셔닝 시스템(Digital Imaging Positioning System, DIPS)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치료 Isocenter지점을 맞춘다. 양성자 빔이 들어가는 5부위의 치료 Isocenter 지점과 CT촬영 시 Phantom에 표시한 Marker 2부위, 모두 7지점에 미리 교정을 마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을 교차해가면서 위치하여 붙이고 치료 계획된 양성자 빔을 각각 10회씩 조사한다. 10회 반복 측정하여 얻은 값을 평균산출하여 치료계획 시스템 에서 측정된 Skin Dose와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위치의 어려움이 있는 정확한 측정이 결여된 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6지점의 측정 선량값은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 모두 절대 선량값과 ±2%이내의 분포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의 양성자 치료에서 Enterance skin dose 측정을 위한 In-vivo dosimetry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의 임상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현재,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며, 인체에서의 in vivo 피부 흡수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8종 성분의 인체 표피 투과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in vitro 결과와 비교하여 주요 성분의 피부 흡수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성분의 피부 투과도 측정한 결과를 보면, in vitro 평가에서 ascorbyl-2-glucos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그리고 kojic acid가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보였으며, in vivo 평가에서는 retinol, vitamin C, 그리고 arbutin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n vitro 평가와 in vivo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율을 보인 성분은 각각 ascorbyl-2-glucoside와 retinol이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in vitro평가의 경우 무모생쥐 모델의 피부를 모두 관통하는 물질을 평가하였고,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의 경우는 표피의 각질층을 평가하였으므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표피 및 진피층의 영향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 물질의 투과 장벽은 각질층이므로 각질층에서 물질 이동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흡수에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자료는 추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고초(Prunella vulgaris)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하고초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는 250 g/mL 농도에서 75.7 %, MMP-1 생성 억제 효과는 200 g/mL 농도에서 90.2 %로 나타났고,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는 2.0 % 농도에서 43.7 %로 나타났다. 또한, 하고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을 위한 자유 라티칼 소거 효과 시험 결과 2.0 % 농도에서 76.9 %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는 2.0 % 농도에서 49.9 %로 나타났다. 하고초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2명(연령분포 : 34세 ∼ 48세)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중 맹검 임상 연구 결과, 하고초 추출물 4.0 % 함유 제형을 12주간 도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문가의 육안평가,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주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하고초 추출물은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천연 항노화 소재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