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인천 및 서울 지역에 있는 50 곳의 가정 내 주방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 정도에 대해 조사하여 가정 내 주방 위생 관리 실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행주, 냉장고 칸, 도마의 대장균군과 다양한 병원성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방기구의 대장균군을 분석한 결과, 행주는 4.8 ± 1.84 log CFU/100 g, 검출률 94.0% (50건 중 47건)의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고 칸은 4.11 ± 1.65 log CFU/100 cm², 검출률 96% (50건 중48건), 도마는 4.04 ± 1.53 log CFU/100 cm², 검출률 90.0%(50건 중 45건)로 나타났다. 병원성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E. coli는 행주에서 6.0%, 냉장고 칸에서 2.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 칸에서 4.0%의 검출률을 보였다. Salmonellaspp.과 Campylobacter jejuni의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에는 행주,도마, 냉장고 칸에서 각각 42.0%, 24.0%, 28.0%로 모두높은 검출률을 보여 위생관리 소홀의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가정 내 주방용품 및 기구의 미생물학적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행주 및 도마, 냉장고 칸에서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과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 구균의 높은 검출률을 보여 가정 내주방의 위생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 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도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a high-rise building is built in many places. However some problems are occurred in the high-rise buildings. Especially, at the case of the kitchen exhaust using vertical shaft, the kitchen exhaust fan sometimes can not work normally because of unbalance of pressure inside the shaft. In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kitchen exhaust system applied uniformly can not cope with the various changes of the outside environment, the vertical sectional characteristics of a kitchen exhaust using vertial shaft is analyzed. Outside temperature, number of the floors and operating ratio of the vertically connected fan are selected as major parameter. And it is analyzed by a network simulation method. In case of 60 stories building, the standard deviations are 115.6 at the second floor, 74.9 at the 30th floor and 20.7 at the 60th floor. The standard deviation at the lower part is about 5.5 times than the upper part. So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 that the kitchen exhaust system should be installed considering the vertical sectional exhaust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