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3.
        2024.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의 선정과 배열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 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248편의 연구를 연도별, 연구 대상 별, 어휘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동향으로 상 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왔다. 연구 대상의 학습 목적으로는 ‘일반 목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학습자 언어권으로 는 언어권과 상관없이 진행된 ‘범언어권’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 며, 학습자 숙달도로는 ‘전체급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어휘 유형으로는 ‘학술 어휘’, ‘주제별 어휘’, ‘한자어’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에 향후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배경, 언 어권, 숙달도 등 변인을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 양한 학습 목적 및 언어를 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 한 어휘 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
        2019.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어는 당대의 사회 모습을 아주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해당 언어권의 어휘들이 갖고 있는 구조와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신어는 교육용 어휘 목록에서 많이 배제되어 왔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신어가 형성되고 쓰이면서 비슷한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어휘들이 생겨나고 신어 내에서도 새로운 의미적, 형태적 규칙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신어 자료 내에서 학습자의 단계에 맞는 목표어휘를 고려하고, 교수-학습 방안에 적합한 어휘들을 잘 선정하여 활용한다면 충분히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신어의 인칭 접미사 목록을 살펴보았다. 특히 인칭 접미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공개된 국립국어원의 신어 관련 자료집을 기준으로 할 때 꾸준히 출현하며 생산성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립국어원에서 조사 발표한 신어 (1994-2017) 자료집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2012-2014) 보고서를 바탕으 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66개의 신어 인칭 접미사 목록 중에 9개의 인칭 접미사가 한국어 교육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최종 선정된 인칭 접미사는 ‘-돌, -맨, -짱, -파라치, -걸, -덕/덕후, -맘, -어/러/터, -우 먼’이다. 이상의 관점에서 신어의 인칭 접미사는 일정 기준을 바탕으로 그 목록을 마련한다면 충분히 한국어 교육 시에 어휘 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신어 자료의 교육적 가치를 재검토함으로써 앞으로 기존 한국어 교재나 자료들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데에 활용될 수 도 있을 것이라 본다.
        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베트남출신 결혼 이주여성들이 그들의 삶의 경험에서 직면해 온 자녀들의 언어선택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자녀가 살아 갈 공간이 한국이며, 현재 결혼상황과 한국의 경제적 우위,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사회 관계에서 한국어가 더 유용한 자녀 언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모국어가 배제 된 일상의 삶 속에서 자녀와 깊은 감정을 나눌 수 없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있 었다. 그리고 그들 모국어의 현실적 유용성을 인정해가는 사회적 상황의 변화 속에서 자 녀에게도 자신의 모국어를 가르쳐서 자녀가 이중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미래의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현실을 경험해 가고 있었다. 사회적 상황의 변화가 그 언어와 그 언어 사용자의 가치를 변화시켜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 국어의 유용성이 시간적 차원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인식해 가고 있는 베트남인 결혼 이주여성들의 내러티브는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언어의 공존의 의미를 일깨워주 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