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wth and development of succulents were studied in response to two leaf cutting types, the tip and base, using four Echeveria species (E. ‘A Grimm One’, E. ‘Momorato’, E. pulvinata ‘Frosty’, and E. pulidonis) and the planting position, either upright and faced-downward, using Graptoveria optalina. The shoot diameter (mm), height (mm), and number of leav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af cutting type. Results revealed that the shoot diameter of buds from base leaves were significantly larger by 4 - 9 times than those of buds from tip leaves. Shoot height of buds from tip leaves either not developed or reached a maximum of 2.29 mm while buds from base leaves had an average height of 11.61 mm from E. ‘Mamorato’. Using base leaves allowed to obtain roots and leaves for all selected succulent species after 60 days from planting. Regarding planting position, upright planted and downward-facing pl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ds from upright planting showed taller shoots, greater number of leaves which in turn gave higher visual quality rating and superior color reading using Hunter’s Cielab compared with buds in downward-facing planting position. Planting succulents in an upright position led to well-formed shoots and roots which had a high-quality rating and color evaluation compared with faced-downward planting producing etiolated and abnormal grown shoo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use of base leaf cuttings and an upright planting position provides a rapid vegetative propagation method for selected succulent varieties.
        4,0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엽 후 10일이 경과하면 잎의 위치별 엽내 엽록소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엽 후 10일이 경과 되지 않은 잎의 엽록소 함량은 전엽 경과일수가 적을수록 낮았다. 동일한 잎의 위치에서 전엽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경시적 변화는 전엽 직후에 2.56μg/ cm2에서 12일째에는 6.35μg/cm2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약 2개월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전엽 후 11주째로 9.03μg/cm2 이었다. 엽면적은 전엽 직후부터 전엽 후 10일까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잎의 광합성률은 전엽 후 30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여 전엽 30일 후에 13.8μmol/m−2/sec−1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잎의 광합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졌다. 전엽 후 1 주와 4주의 광도에 따른 광합성률은 두 시기 모두 PPFD 600μmol/m−2/sec−1까지는 PPFD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률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PPFD 1,200μmol/m−2/sec−1 까지는 완만한 증가율을 보이다 그 이상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전엽 후 1주와 전엽 후 4주간에는 전엽 후 4주가 전엽 후 1주에 비해 PPFD 증가에 따른 광합성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2 농도별 광합성률은 600ppm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성률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차광시간별 엽내 sucrose 함량은 1시간 까지는 차광처리구와 무처리 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시간부터는 차광처리에서 sucrose 함량이 감소하였다.
        4,000원
        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3,000원
        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leaf position and photo-assimilate translocation and distribution was characterized for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grown in the greenhouse.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source leaf on the stem (first node above or below the first fruit cluster and 5th node above the first fruit cluster) were tested for their influence on 14CO2 assimilation and transfer to different parts of the plant. The leaves at the 5th node above the first fruit cluster transferred the highest (57%) proportion of C14 to other plant parts, followed by leaves home on the first node below the first fruit cluster (50%), and the first node above the first fruit cluster (39%). In all treatments, fruits served as the strongest sink for C14, followed by stem, leaf, and root tissues. The leaf home on the 5th node above the first fruit cluster transferred the largest amount of C14 to the second fruit cluster.
        3,000원
        6.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굴나방에 대한 발생(發生) 및 방제(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년(年)에 수원지방(水原地方)에서 사과굴나방과 이에 기생(寄生)하는 기생봉류(寄生蜂類)에 대한 발생소장(發生消長), 사과굴나방의 산란시기별(産卵時期別) 발육기간(發育期間) 및 세대별(世代別) 가해엽위(加害葉位)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원지방(水原地方)에서 사과굴나방은 년(年) 회(回) 발생(發生)하였고, 1화기(化期)는 3월(月) 하순(下旬)5월(月) 상순(上旬), 2화기(化期)는 5월(月) 하순(下旬)6월(月) 중순(中旬)이었으나, 3화기(化期) 이후(以後)는 발생(發生)이 중복(重複)되어 9월(月) 하순(下旬)까지 계속(繼續) 우화(羽化)하였고, 4화기(化期)의 발생량(發生量)이 가장 많았다. 2. 산란시기별(産卵時期別) 사과굴나방의 발육기간(發育期間)은 5월(月) 하순(下旬)과 8월(月) 상순(上旬)에 산란(産卵)된 것은 40일(日) 내외(內外)였고, 월(月)에 산란(産卵)된 것은 일(日)이었으며, 8월(月) 하순(下旬) 이후(以後) 산란(産卵)된 것은 우화(羽化)하지 않고 월동(越冬)에 들어갔다. 3. 세대별(世代別) 사과굴나방의 신초(新梢) 가해엽위(加害葉位)는 1세대(世代)에는 탁엽등(托葉等) 엽(葉)으로 신초기부엽(新梢基部葉)에, 세대(世代)에는 엽(葉)으로 신초중위엽(新梢中位葉)에 많았으며, 5세대(世代)에는 신초상단엽(新梢上端葉)과 2차생장(次生長) 신초(新梢)의 엽(葉)에 주(主)로 가해(加害)하였다. 4. 사과굴나방의 유충기생봉(幼蟲寄生蜂)으로는 깡충좀벌과(科)의 H. testaceipes, 좀벌과(科)의 수종(數種) 및 고치벌과(科)의 Apanteles sp.가 조사(調査)되었고, 깡충좀벌은 년(年) 4회(回) 발생(發生)하였으나, 좀벌류(類)는 사과굴나방과 비슷하게 년(年) 5회(回) 발생(發生)하였고, 고치벌은 단지 9월(月)에만 소량(少量)이 발생(發生)하였다.
        4,000원
        8.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맥생육기간중의 GS활성도의 경시적 변이진상을 알고저 소맥품종 Kolibri의 시비수준별, 엽위별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1. 각엽에 있어서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분화 초기에 극히 낮으나 엽의 전개, 신장에 따라 수배까지 증가하며 엽의 노화 진전과 더불어 하락하였다. 2.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의 분화초기를 제외하면 아래로부터 상위엽 차순으로 높았으며, 최고의 활성도는 지엽에서 나타났다. 3. 최상위 2개엽은 최하위엽(제 1-4엽)보다 활성도와 활성 peak가 전 처리구에서 모두 2-3배 높았다. 4.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제 1-4엽에서 1회의 활성 peak를 보인 반면 제6-지엽에서는 2회의 peak를 나타냈다. 5. GS활성도는 출tnrlRK지 증가하여 첫 번째 활성 peak에 이르고 그 이후 개화후 7일의 유숙기까지 급락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여 개화후 22일인 호숙기에 두 번찌 peak에 이르는 V자형 함몰현상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