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put modes and text types influence Korean college learners’ CALL listening and their perception of their concentration, comprehension and anxiety. The current study employed three input modes (listening-only, listening-with-subtitles, and listening-with-transcripts) and two text types (lectures and dialogu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ubtitles or a transcript enhanced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2) subtitles were the most helpful input mode whereas transcripts may have imposed more cognitive load to decode the reading; 3) the text types influenced CALL listening comprehension, but the familiarity effect may have been more dominant for more literate text types such as lectures; 4) apart from the higher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perceived concentration, the two written input modes were perceived as beneficial tools for their concentration, comprehension, and reduced anxiety; 5) in particular, the lower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tended to perceive the transcript as advantageous although they did not actually benefit from the transcript for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s much as they perceiv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subtitles and transcripts can be efficient pedagogical tools to draw learners’ attention to linguistic features or organization of the content to foster language ability. When designing CALL listening classes or applications, individual learners’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well.
        7,800원
        3.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4.
        2011.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듣기 텍스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대학에서 출간한 네 가지 교재와 방송 시나리오의 일부를 선별하여 주제, 대화자 및 문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듣기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언어학적 특성과 더불어 텍스트 구성 시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수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문과 취업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지만 한국어 교재에는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대화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진정성(authenticity) 있는 입력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자료는 문법 형태 중심의 텍스트에서 벗어나 사회언어학적인 특성이 드러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