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공학의 경제성 분석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보조공학의 경제적 및 사회경제적 가치와 측정 도구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CINAHL, MEDLINE, SCOPUS, Web of science를 이용하여 보조기기 및 서비스의 경제성을 분석한 문헌을 검색하였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결과 : 경제성 분석에는 사회적, 개인적, 지불자 및 의료 관점이 고려되었으며, 이 중 사회적 관점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연구는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수행되었으며, 아시아에서는 제한적이었다. 문헌의 질적 수준은 Markov 모델을 사용한 연 구에서 높았으며, ‘우수’ 또는 ‘보통’ 수준이 각각 13편, 3편이었다. 보조공학은 이동, 청각, 정보통신 그리고 기타로 분류 되었으며, 삶의 질을 고려한 문헌은 13편이었고, 주로 사용된 도구는 EQ-5D, HUI, SF-36과 WTP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국외 문헌 고찰을 통해 보조공학의 경제성 연구에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에서 보조공학의 경제성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5,4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rotic capital and luxury brands, which is essential to social success. However, limitations of such research have been noted due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erotic capit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larify the components of erotic capital and develop measurement tools to study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luxury brands. To this end, a survey targeted 200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uxury brands within six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ttraction value of individuals and expected social success increases purchases of luxury products. This study suggests that marketers of luxury brand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should reflect the concept of erotic capital for product planning, promotion, and marketing to expand the consumer base.
        4.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nguage threshold effect on comprehending an L2 (second language) text was experimentally examined, using two types of measurement tool, multiple-choice & true/false questions and a recall task for L2 reading comprehension. Cognitive processes implicated in each measure were delineated to allow a finer analysis on the role of L1 reading competence and L2 proficiency in comprehending an L2 text. In order to observe how one aspect of L2 proficiency, vocabulary knowledge, is related to language threshold effect, thirty-two 9th grade Korean students in Korea were given a vocabulary knowledge acquisition activity in a treatment condition between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relative contributions that L1 reading competence and L2 proficiency made to L2 reading comprehension were analyzed before the treatment and after the treatment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e findings of this repeated measure design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correlational studies showing that the role of L1 reading competence became stronger as L2 proficiency operationalized via vocabulary knowledge improved. What is elaborated in the present study is the fact that cognitive processes, initiated by a recall task, are more sensitive to the weakening of language threshold effects.
        5,700원
        5.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 모델의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영역별 사용빈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는 건강과 장애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작업치료 분야에서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검색 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stroke"을 사용하였으며 ICF 모델이 처음 제시된 2001년부터 2009년 5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사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37개이었고 사용빈도는 총 69회였다. 신체구조에 대한 평가도구는 없었으며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7회로 전체 사용빈도의 53.62%를 차지하였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2회로 전체 비율의 46.38%이었다. 연구 결과 신체구조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중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 중 대부분은 활동에 대한 평가였으며 참여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ICF 모델의 분류 기준에 근거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하나의 평가도구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ICF 모델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중재 방향을 알 수 있었다.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참여에 대한 중재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5,100원
        6.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ual dexterity is often evaluated in rehabilitation because of its contribution to upper limb performance and to individual functional independence. Dexterity depends on age, sex,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hand and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inger dexterity with and without wearing different types of gloves (latex gloves and cotton glove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different measurement tool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s, O‘conner finger dexterity, and Minnesota grooved pegboard) for finger dexterity. Fifteen healthy young subjects (male: 6, female: 9) had a mean age of 26 year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ger dexterit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at all conditions except for wearing cotton glove condition. The finger dexter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nesota grooved pegboard test among conditions(bare hand, latex gloves and cotton gloves). However, finger dexteriti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ece in other tests at different conditions.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tool except for the Size discrimination item in VALPAR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innesota grooved pegboard test maybe a sensitive tool to measure the finger dexterity at sensory constrained condition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