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한민국의 백두대간보호지역 (baekdudaegan protection area)은 지형, 기후, 토양, 수문 등의 자연환경과 생물이 축 을 이루는 거대한 자연생태계이다. 이 지역은 생물의 서식 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림자원 및 종다양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이곳은 산림자원 중에 자원식물이며 전통지식의 가치가 있는 약용식물이 있다. 덕유산 권역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은 전통의학에 기초한 약용식물 보고가 미흡하여 그 연구의 필요성 때문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 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한반도 전통의학 (동 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의 수재품목)의 약용식물 (관 속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확인된 전통의학 약용식물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 약용식물은 45과 (family), 78속 (genus) 94분류군 (taxa)이었으며, 종 (species) 이하의 계급 분류는 86종, 7변종, 1품종이었다. 이를 문 (phylum) 단위의 상급분류로 구분하면 양치식물문 (pteridophyta)은 석송 강 1분류군 (1.1%), 고사리강 2분류군 (2.1%)이며, 나자식 물문 (gymnospermae)은 2분류군 (2.1%)이고, 피자식물 문 (angiospermae)은 쌍자엽식물강 77분류군 (81.9%), 단 자엽식물강 12분류군 (12.8%)이었다.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는 과는 국화과 (9분류군, 9.6%)이었으며, 다음으로 미나리아재비과 (8분류군, 8.5%), 백합과와 장미과 (각각 6분류군, 6.4%), 초롱꽃과와 참나무과 (각각 4분류군, 4.3 %) 순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약용식물 중 자생식물은 89분류군 (94.7%)이었으며, 침입식물은 5분류 군 (5.3%)이었고, 침입식물 중 귀화외래식물 2분류군 (2.1%), 식재식물 3분류군 (3.2%)이었다. 이용부위에 따른 전통의학 약용식물은 뿌리가 32분류군 (34.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초 28분류군 (29.8%), 뿌리줄기 19분 류군 (20.2%), 잎과 줄기 각각 15분류군 (각각 16.0%), 열매 14분류군 (14.9%), 종자 9분류군 (9.6%), 꽃 5분류군 (5.3%), 가지 3분류군 (3.2%), 기타 2분류군 (2.1%) 순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약용식물을 의학고서별로 보면 향약집성방은 94분류군 (100%)으로 가 장 많았고, 다음으로 동의보감 73분류군 (77.7%), 방약합편 67분류군 (71.3%) 순이었다. 그리고 전통의학 약용식물의 의학고서별 유사성은 유사도지수 0.96을 나타낸 동의보감 과 방약합편이 가장 비슷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사도지수 0.87의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 유사도지수 0.83의 방약합 편과 향약집성방 순이었다. 향약집성방, 동의보감, 방약합 편에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약용식물은 67분류군이었 으며, 이는 전통의학 약용식물 총 94분류군의 71.3% 비율 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한반도 전통의학 약용식물 은 94분류군이었으나 광범위의 약용식물은 인접지역의 연 구를 종합할 경우 종류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곳은 전통의학 약용식물 이외에도 현대의학 (대한민국약 전) 약용식물 및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광범위의 약용식물 조사가 따라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After arranged and estimated the result of Oriental Medical Health Examination Program, considered the way of improvement and how Oriental Medicine participate in industrial health service. Results : As a point at issue of occidental medicine examination, followings have been indicated, 1) Occidental medical examination is performed by mainly test and instrument and therefore, role of doctors could be excluded and it could be diagnosed only for target disease and 2) in Korea, it could not be conducted in public medical system and therefore improvement effect of public health promotion could not be made due to increase of total medical expenses and infirmity of post management. These points are substantial limit of paradigm resided in occidental medicine and also problem caused by uniqu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ystem of Korea.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estimate of present special health examination for workers, it seems that special health examination forworkers is a way of specializing the purpose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and searching the group that needs a special mediation for promoting the health and preventing the disease as a part of industrial health service that needs a connection with other industrial health service. A program replaced by the health effect-oriented methods that limits the purpose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be studied. After understood the potential health disorder of workers according to where they are exposed to, it also should be contained items for the disease which can be examined in health examination.
        5,100원
        9.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지방 소산 한약자원 식물은 91과 305속 470종 1아종 30변종 2품종으로 총 503종류가 본 조사결과 밝혀졌다. 각 과별로 그 숫자가 많은 종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 45종류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장미과 식물이 30종류 그리고 콩과는 23종류의 순서였다. 전 조사지역에 고루 다수 분포하는 종류는 오미자, 마, 승마, 촛대승마, 족도리, 천남성, 둥굴레, 꿀풀, 박새를 들 수 있으며 집중적으로 나는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예컨대, 더덕은 5m×5m내에 30-50 개체가 덕유산 표고 약1300m 북서사면에서 조사되었다. 현재 심한 채취로 감소추세에 있는 식물은 둥굴레, 오미자, 더덕 등이고, 농가에서 재배중이거나 앞으로 개발 유망하며 가치가 높은 종류는 만삼, 가시오갈피, 천마, 복분자딸기, 더덕, 하수오 등이 있다. 요컨대 전라북도 지방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한약자원식물이 자연상태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를 연구하고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