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welfare of soldiers is increasing. More specifically, soldiers enlisted to fulfill their military service obligations live a group life that is controlled by group life, unlike military officers selected by their wil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orale of soldiers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military service meals along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morale through enhancement of soldier welfa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145 army soldiers working in the front and rear areas and used 137 valid samples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SERVQUAL (Responsiveness․Assurance, Tangibles) and Servicescape (Spatial Environment, Spatial Design) had a positive (+) effect on military meal satisfaction. Second, military service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have a positive (+) effect on morale. Third, satisfaction with military meal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This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improvements in SERVQUAL (Responsiveness․Assurance, Tangibles) and Servicescape (Spatial Environment, Spatial Design) improve military service satisfaction and emotional engagement. Military food service SERVQUAL (Responsiveness․Assurance, Tangibles) and Servicescape (Spatial Environment, Space Design) must pay attention to increase military morale.
        4,8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 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이 좀 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용직 근로자들 의 감성노동에 대한 질적 피로도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근로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가 되기 위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근무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4,600원
        3.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S의 특성과 조직문화가 군사기와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한/미의 그룹간의 차이을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1) 과학적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5 명의 군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방 법은 각 변수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데이터를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판별타당성,확인적 요인분석,신뢰도와 모형의 적합도,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매체풍부성 사회적규범 위계적 문화 집단문화가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협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미간에 만족을 시키는 원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원인과 그룹간의 차이를 알아본 것이 기여점이라고 하겠다.
        5,200원
        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ale is a mental phenomena to work more positively and to make more productive result by expanding and concentrating worker`s mind to common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show the present conditions, problems and alternative measures to change the morale of correctional officers. The situations of correction in this country is associated with poor working conditions, excessive duties, poor education and training, lack of manpower and budget, low salary, consciousness of authority, and public distrust, etc and the researcher suggested counter measures on this problems.
        6,400원
        5.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사기를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기와 그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인식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이 낮았다.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학생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을 제외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수준이 감소하고 있었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는 성별, 학력, 경력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급에 따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초등학생은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학교수준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었고 중등학생에게는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월평균 교육비, 조사 시기, 대도시, 설립유형, 학교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는 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두 주체간의 거리를 확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조치와 함께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