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th flies (Diptera: Psychodidae) are small fuzzy flies found in diverse habitats from mountains to urban areas, even in your house. Approximately 3,000 species among 6 subfamilies are recorded worldwide. However, in Korea, only 10 species from 3 genera of the subfamily Psychodinae have been recorded, including 8 species from North Korea. A preliminary study on moth flies in Korea was conducted using specimens collected via malaise traps and by hands from various locations in South Korea. As a result, Brunettia lungjingensis, Thornburghiella decoricornis, Philosepedon monstruosus and our friendly but unrecorded, Clogmia albipunctata are newly described in Korea. Brief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se four species are provided.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코드린나방은 사과, 배, 복숭아 등 과실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써, 대한민국 식물방 역법상 금지해충에 속해있다. 검역실적으로는 2016년 6월에 1건, 2018년 6월에 2건이 모두 인천공항으로 수입된 우즈베키스탄산 양벚에서 검출되었다. 코드린나방은 국내 침입이 매우 우려되는 해충 중의 한 종으로써 한국, 일본, 대만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온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본 해충에 대한 정밀하고 지속적인 표적 예찰이 필수 불가결이다. 효과적인 예찰을 위한 페로몬 트랩 개발을 위해 다음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우선 페로몬 성분비에 따른 유인력의 차이를 검정해 효과적인 성분비를 찾는 것이 중요한데, 그 방법으로는 GC-MS/MS 분석법을 통해 루어의 페로몬 구성비율을 분석한다. 이후 적합한 실험환경을 설정하고 페로몬 혼합 물을 적용한 여과지를 케이지에 달아 일정 시간 동안 여과지에 접촉한 횟수를 기록 후 통계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페로몬을 루어에 주입, 흡착시킨 후 페로몬 트랩을 현장에 설치해 포획된 수컷 성충 수를 조사해 효과적인 약량 및 루어형태 등을 선별하게 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코드린나방 트랩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우리나라의 농업과 자연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learwing moth, Synanthedon bicingulata (Staudinger, 1887), is a pest that infests various species of cherry trees. However, genetic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us Synanthedon including S. bicingulata, is limited. In this study, we sequenced 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species. The 16,255 bp of S. bicingulata mitogenome differs from the typical gene arrangement formed in Lepidoptera: trnQ-trnS2-trnM-trnI arrangement between the A+T-rich region and the ND2 junction. Moreover, the genome has untranslated repetitive sequences in the intergenic space between lrRNA and trnV, as well as the CGA start codon in COI and the TTG start codon in ATP8. Similar observations are noted in species belonging to the tribe Synanthedonini within the genus Synanthedon.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uonymus defoliator moth, Pryeria sinica Moore (Lepidoptera: Zygaenidae), is a pest that causes considerable damage to the Euonymus genus, especially Euonymus alatus and Euonymus japonicu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sinica have been studied in China, Japa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ducted on this species in Korea. Also, P. sinica has two dormant phases in each generation, one as eggs in winter and the other as pupae in summer. Our purposes are to study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tions of P. sinica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summer diapaus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laboratory conditions (25 ± 1 ℃, 65 ± 1% R.H., 16L:8D) and the number of eggs in an egg mass, developmental periods and mortality rate in each larvae stage, and adults’ life span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190.7 ± 31.64 eggs were contained in one egg mass and it took 25.57 ± 0.61 days from 1st larval stage to the pre-pupal stage. P. sinica has 4 larval stages and each stage took 4.28 ± 0.21, 6.2 ± 0.55, 6.02 ± 0.68, and 8.93 ± 0.88 days. The mortality rate of larvae peaked at 22.5% in 3rd larval stage. The adults’ life span was 4.67 ± 0.97 days in males and 4.61 ± 1.82 days in females. To study summer diapause, we divided pupae into 4 groups. Both low temperature and short daytime were effective in shortening the pupal stage. The pupal stage was the shortest in group D (122.12 ± 1.24 days), in which the initial condition was 25 ℃-16L:8D and the altered condition was 16 ℃ -12L:12D, and the longest in group A (161.92 ± 3.15 days, 25 ℃-16L:8D). These data could be utilized to propose the optimal timing for controlling the population of P. sinica.
        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moth (BTM, Cydalima perspectalis Walker) is a pest that infests various plants within the Buxus genus. Although a specific parasitoid wasp species associated with the BTM has been observed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search on this species has been published. Here we describe the fundamental b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arasitoid. We placed the wasp under the genus Eribo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Campopleginae). Eriborus sp. parasitizes within the living host body, with one wasp emerging from each host. The parasitism rate in collected BTM populations was 33.1%. The emergence rate was 87.1%, with all emerging adults being females, resulting in a sex ratio of 0. The pupal period averaged 9.5 days, and the adult lifespan averaged 10.5 days. Eriborus sp. parasitized BTM larvae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instar and reproduced by parthenogenesis. Eriborus sp. exhibited morphological differences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Eriborus species in Korea, particularly in the length of the ovipositor sheath.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highest similarity i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DNA was only 94.53%, rendering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GenBank’s mt cytochrome c oxidase 1 DNA sequences unfeasible. These data suggest Eriborus sp.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managing BTM infestations.
        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stractive marking, as conceptualized by Abbott H. Thayer, refers to diminutive patterns of contrasting colors on an animal’s body. Thayer hypothesized that these patterns augment camouflage by diverting predatory focus from the outline of the prey, however, the evidence wa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the presence of distractive markings confers a survival advantage under specific conditions. Specifically, the experiment aimed to ascertain whether the existence of lichens on trees hinders the visual detection of prey, given that lichens resemble distractive markings. The experimental design involved human subjects as predators and artificial moth images on a monitor as prey. The survival of moths with and without distractive markings was compared, also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lichens in the background. As an analysis result, the survival likelihood of moth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ndered when the distractive marking was present. This result contradicts Thayer‘s hypothesis and implies the presence of a function distinct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camouflage.
        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odoptera 속의 담배거세미나방, 열대거세미나방 및 파밤나방은 여러 나라에 분포하는 광식성 해충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페로몬 및 식물냄새물질과 관련한 화학통신시스템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냄새감각기의 종류와 분포, 냄새활성물질 동정 및 야외행동 반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세 종 나방의 암, 수컷 촉각에 여러 종류의 냄새감각기가 존재하며, 형태적으로 구분되는 종특이적 또는 성특이적 냄새감각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GC-EAD 실험을 통해 세 종 나방에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냄새물질과 페로몬 관련 물질들을 동정하고, 이들을 개별 또는 조합하여 야외 트랩실험을 통해 행동활성을 검정 한 결과, 이 중 여러 물질이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의 성페로몬에 대한 유인행동 반응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발생이 저조하여 야외에서의 행동반응을 확인할 수 없었다.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은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 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주로 배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 등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다. 매미나방은 수목해충으로 관리되어 왔 으나 최근 산림 발생지 인접 농경지로 유입 빈도가 높아지면서 방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은 농작물에 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매미나방(L. dispar)의 방제기술의 일환으로 매미나방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1년 전라남도 장흥군 황금측백나무에서 채집한 알집을 이용해 18, 21, 24, 27, 30, 33°C (14L:10D, 상대습도 60±5%) 항온조건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유충의 발 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으나, 매미나방 유충의 생존율이 33°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육적온은 30°C였으며, 30°C에서 총 발육기간은 암컷 43.8일, 수컷 42.5일 소요되었다. 암컷과 수컷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1°C, 12.5°C,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41.1 DD, 657.8 DD였다.
        3,0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파(Allium fistulosum) 정식부터 수확기까지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재배지에 발생한 파좀나방(Acrolepiopsis sapporensis)을 모니터링하였 다. 이 시기에 발생한 파좀나방은 월동세대 이후 6월 초와 7월 말에 각각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그러나 발생량은 연도와 재배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파좀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를 스크리닝하였고, 이들 가운데 B. thuringiensis kurstaki (BtK)가 선발되었다. 선발된 BtK의 살충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곤충병원세균인 Photorhabdus temperata temperata (Ptt) 세균 배양액 추 출물을 추가하였다. 이들 두 세균을 혼합한 ‘비티플러스’는 BtK 단독 보다 현격하게 높은 살충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살충력 제고 원인은 Ptt 추 출물에 포함된 대사물질에 의해 기인되었다. 이들 대사물질은 파좀나방의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BtK의 살충력을 제고시킨 것으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 대파 재배지에서 파좀나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 해충에 의한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티플러스의 효 과적 방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1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epidoptera - moths, butterflies, and skippers, is one of the three most species-rich, studied, diverse, and widely distributed insect orders, with over 157,424 species worldwide (van Nieukerken et al., 2011). Moths and butterflies serve as valuable indicator species for monitoring climate change. Conversely, the distribution of lepidoptera is actively and interactively influenced by changes in climate and land cover (Warren et al., 2001). Over the last five years, there are many oriental moth species, such as genus Stictane, Siccia, Philenora, Ammatho, Asota, etc., have been newly recorded in Korea, since other new records are very likely yet to be discovered in this country and nearby.
        1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코드린나방은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실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의 해충으로써, 국내에서는 검역 대상으로 금지해충에 속해있다. 코드린나방이 속한 잎말이나방의 유충은 과실 속으로 파고 들어가 살기 때문에 살충제로 방제하기가 어려운 해충이다. 따라서 철저한 수입식물 검역과 예찰을 통해 국내로의 유입을 막는 것이 최선이다. 현재 잎말이나방류에 대한 예찰용 페로몬트랩이 사용되고 있지만 개별 종에 대한 표적 예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드린나방의 성페로몬을 이용한 유인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현재 상용화되어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유인제의 조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전세계적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4종류의 코드린나방 루어를 GC-MS/MS를 이용하여 물질의 종류와 구성비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코드린나방의 최적 예찰을 위한 성페로몬 유인제 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 및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은 광식성 해충이지만, 종특이적인 기주범위를 갖는다. 이들이 기주식물을 찾아가는 과정에 냄새감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주 및 비기주 식물에서 발산되는 46가지 휘발성 물질을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나방 3종의 냄새반응을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m detection)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46가지의 식물유래화합물 중 9가지 물질이 3종의 나방 모두에서 냄새활성을 나타냈으며, 2가지 물질은 담배거세 미나방과 열대거세미나방에만 냄새활성을 나타냈고, 다른 몇 가지 물질은 담배거세미나방에만 냄새활성을 나 타냈다. 이 결과는 세 종 나방이 식물냄새물질 탐지를 위해 유사한 냄새감각세포를 가지며, 일부 종에서는 종특이 적인 냄새감각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냄새활성을 나타낸 물질들의 나방 3종에 대한 행동활성을 야외트랩실험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1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presents a thorough identification of species of clearwing moths causing damage to street trees in Korea.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and their intra- and interspecific genetic divergence were analysed via molecular data.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will facilitate detection of the insect pest species, which is frequently misidentified, as well as forecasting their migration routes in Korea for preemptive control studies.
        1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
        4,000원
        2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돌발성 해충인 매미나방의 방제체계 수립을 위해 시판 유기농업자재 21종에 대한 살충 활성을 실내 검정하였다. 90% 이상의 살충 활성을 보인 유기농업자재 11종을 선발하였으며, 유효성분들을 분석하였다. PLS 제도의 대응하여 본 연구 결과는 돌발성 매미나방의 친환경 방제 및 향후 유기농업자재의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