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plored whether task complexity, operationalized by the two types of writing prompts, affects EFL high school students’ narrative writing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complexity, fluency, cohesion, and text quality. 32 intermediate EFL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prompt groups completed a written narrative task based on a series of sixteen pictures. Task complexity was operationalized as a bare versus frame promp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ask complexity had an impact on lexical sophistication measures. The students in the framed prompt group were able to include more sophisticated vocabulary in their narratives than those in the bare prompt group.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Limited Attentional Capacity Model in that the students in the bare prompt group might have prioritized meaning rather than form in order to ease attentional overload. The findings of our study could assist teachers in selecting writing prompts that have the potential to elicit the targeted features of writing performance.
        5,2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nipulating cognitive task complexity on high school English learners’ narrative and persuasive writing. Participants were 156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group was given one of four different types of writing that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genres (narrative vs. persuasive writing) and dimensions of task complexity (resource-directing vs. resource-dispersing). All participants completed both simple and complex writing tasks for their assigned type of writing. Participants’ written products were measured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creased task complexity, along with the resource-directing dimension, somewhat positively affected the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of both narrative and persuasive writing. However, increased task complexity, along with the resource-dispersing dimension, showed differential effects of cognitive complexity on participants’ written products between the genres. It resulted in decreased scores in fluency and accuracy, and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lexity of narrative writing. As for persuas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it lowered the fluency, increased the complexity, and had no impact on the accuracy. The pedagogical suggestions drawn from the results are provid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6,3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記敍文是香港非華語學生學習中文的基礎文類。本研究以60位分別接受主流中文課程和調適中文課程的非華語學生為對象,選取他們參加香港大學「學生支援計劃」的記敍文前測和後測共120 篇文章,以系統功能語言學為理論框架,分析學生在通篇層次、句子層次和字詞層次的表現,藉此比較兩組非華語學生中文書寫能力的差異,並探究「學生支援計劃」提昇非華語學生中文水平的成效。
        4.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 거주하고 있는 대부분의 외국 학생들은 작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겪 는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한다. 최근 장르 교육법(genre teaching approach)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작문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있어 여러 많은 방면에서 활용 되고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장르 교육법을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 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그들의 글쓰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홍콩대학에서 운영중인 “非華語 학생을 위한 중국어 학습 계획”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중 한 반을 선택하여 그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수업 관 찰과 심층 인터뷰, 학습 전후의 문장 분석과 작문 능력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우리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 볼 수 * 香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은 장르 교육법을 통해 교육 받 기 전과 후에 2번에 걸친 글쓰기 능력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교육 받기 전의 작문은 그 체제가 비교적 산만하였으며, 서술 문장의 문체적 특징이 무 엇인지도 보여지지 않았다. 반면 교육 후에는 그 체제가 비교적 형식을 갖추었고, 서술 문장의 문체적 특징도 전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 를 통해 우리는 장르교육법이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의 중국어 작문 능 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400원
        5.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vast majority of non-Chinese speaking (NCS) students in Hong Kong, writing is the greatest difficulty they encounter when studying Chinese. Thus, giving support to improve NCS students’ Chinese writing is currently urgent. In recent years, Genre Teaching Approach is a widely used teaching method to improv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is study attempted to use Genre Teaching Approach to teach NCS students to learn narrative writing. The researchers selected one clas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ent Support Programme (SSP) in the University of Hong Kong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interviews and text analysis of students' pretest and posttest essays, we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Genre Teaching Approach for improving NCS students' writing skill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narrative writing performances of the NCS students. Before Genre Teaching Approach was adopted in teaching, their composition structures were unorganized and did not exhibit the stylistic features of narrative writing. But after they were taught by Genre Teaching Approach, their compositions were well-structure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riting. Finally,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 could further confirm that Genre Teaching Approach helped to improve NCS students’ Chinese writing ability.
        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 및 비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토끼와 거북 이> 이야기 쓰기 검사를 실시하고, 이에 나타나는 서사담화 요소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검사에 참여한 3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 아동 중 표현어휘력에서 -1 SD 미만에 해당하는 아동을 제외하고 21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 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사담화 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여섯 가지 이야기 문법 요소(배경, 발단, 사건, 시도, 결과, 결말)와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 결속표지(연결어미, 보조사, 접속어)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유형(다문화 아동, 비다문화 아동) 및 학년(1, 2, 3학년)에 대한 변인별 평균 빈도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 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유형과 학년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느 변인에서도 나 타나지 않았다. 반면, 집단 유형의 주효과가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배경>과 결속표지 요소 중 연결어미에서 나타났다 . 학년의 주효과는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발단>과 <결과>에서,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의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결속표지의 모든 변 인에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담화 길이나 어휘 다양도는 <결말>을 제외한 모든 변인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의 담화 능 력이 주로 이야기 문법과 결속표지의 일부 요소에서 비다문화 아동과 차이를 보였음을 의 미하며, 이는 저학년 다문화 아동의 언어 평가 및 교육에서 이러한 서사담화 요소를 고려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7.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야기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이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5세아 66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총 66쌍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5세 유아의 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은 질문, 진술, 반응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5세 유아의 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질문 유형, 진술 유형, 반응 유형은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