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정서 적, 윤리적 요인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의 구 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요양병원간호사 230명 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결과로 모형 적합도는 χ²/df=165.517, CFI=.945, TLI=.928, RMSEA=.092로 양호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윤리적민 감성(β=.478, p<.001)과 환자중심간호(β=.716, p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업무수행(β=.431, p <.001)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β=.188, p <.001)에, 환자 중심간호는 간호업무수행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β=.477, p <.001). 간호업무수행 향상과 환자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인력 배치 기준 을 재정비하고, 다학제 팀의료 상호 협업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 지원 체 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thical climat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ethic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thical environment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ethical sensi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7 nurses with at least one year of work experience. Date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1,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0 for Windows program(IBM Corp. Armont, NY, USA),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thic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position, and ethical educational experience. Ethical sensitiv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of the ethical environment and all sub-factors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thical environment, the factor influencing ethical sensitivity in this study is ‘relationship with peers (β=.20, p=.034) ’ and ‘relationship with manager (β=.24, p=.02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2.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8.26, p<.00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relationship with peers’ and ‘relationship with managers’ influence ethical sensitivity among ethical environment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managers to improve the ethic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을 지각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환경에서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성인 진로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간호대학생으로 2020년 2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로 총 187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년과 학과 지원동기,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지각의 영향 유무 및 진로적응성을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21,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전공만족도 총 변화량의 33.1%를 설명하고 있다. 학년, 학과지원동기, 직장 내 괴롭힘 지각과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설명하는 선형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242, p<.000),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자기주도성 총 변화량의 28.9%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괴롭힘 문화에 대한 지각 및 인식개선을 위한 상담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