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 조성된 수직정원의 이용자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관리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용후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수직정원의 효과, 선호도, 이용행태 및 관리 등에 대하여 이용자 8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서관의 이용빈도가 높고 체류시간이 길며 학습과 독서의 목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도서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특히 정서적 안정감, 쾌적성, 안전성 등이 도서관 환경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수직정원의 구성요소 및 종합만족도가 높으며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설치 규모와 관리 상태이다. 수직정원의 조성으로 도서관의 이용 횟수가 증가하며 도서관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정원의 관리 주체는 공공을 선호하였으며 관리에 일부 참여의사를 가지고 있다. 도서관의 수직정원은 환경 개선효과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고 정서적 측면에서 향상의 효과가 있어서 도서관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직정원의 실효성과 도서관 이용활성화 측면에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유지관리의 예산과 이용자의 참여 유도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IoT 기반의 스마트 유지관리기술을 접목하는 것도 관리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Jungja shelter space, wer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mean of satisfaction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objective data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In satisfaction level, ‘Continuous use intention’(3.99), ‘Well-suited approach’(3.87), and ‘Helpful in resident living’(3.84) were shown to be high points of agreement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But, the mean points were low as 2.01 in ‘Surrounding landscape’, ‘Creation of green areas’(3.22), and ‘Traffic safety’(3.22), respectively. Within use satisfaction, 5 factors were categorized, ‘Use’, ‘Safety’, ‘Facility’, ‘Management’ and ‘Users’.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of ‘Continuous use’, ‘Convenient location’, and ‘Image improvement’, were shown to be main affecting variables to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in spatial structure analysis, 4 types were categorized with the aspect of landform, roads, and location in villag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village type of semi-open, road type of circular, and location type of center/back. Conclus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and useful tool of space-structural satisfaction analytic method, and for each stage of planning/design and remodeling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놀이터의 변화는 계속해 진행되고 있으나 흙보다 는 인공포장재료, 동·식물의 조화 보다는 화려한 인공 구조물로 덮여 가고 있다. 그로 인해 이를 이용하는 아이들이 받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의 순환 기능 또한 저하되어가고 있다. 최근 생 태계 서비스와 생태복지에 대한 관심,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도심 내 건전성 향상을 위한 새 정부 국정 과제 ‘행복한 생활문 화 공간 조성’의 세부과제 ‘생태휴식 공간 확충’의 일환으로 생태놀이터 조성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생태놀이터 조성 사업은 2014년을 시 작으로 2017년까지 전국 100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초기단계 사업인 만큼 가이드라인의 세부적 검토와 이용자들의 요 구도 등에 관한 후속적 평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조성된 생태놀이터 가운데 유형별 대상지를 선정, 생태현 황 분석을 실시, 이용객들의 선호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향후, 생태놀이터의 활성화를 위한 이용 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도심생활형, 산림인접형, 수변형으로 구분하여 양평어린이 생태놀이터, 우면산 생태놀이터, 굴포누리 생태놀이터를 조 사, 분석하였다. 생태놀이터 대상지의 유형별 현황 분석 결과, 자연 생태공간과 인접, 생태자원 활용 프로그램 계획에 양호한 환경조건을 갖추었으나, 연계된 프로그램이 부족했으며, 전체 종수 대비 자생종 식재율이 최대 45%를 넘지 못하였다. 또한 공간별 자연체험 및 놀이 시설대비 교육안내시설의 분포율이 최소 62.5%로 생태자원을 활용한 효과적인 체험·학습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휴게시설 및 휴식공간의 분포율이 가장 높은 대상지가 3.4%이하에 머물러 다양한 목적하에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태놀이터 대상지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설문 조사 결과, 항목은 연령, 학력, 직업, 결혼 유무, 미성년 자녀 유무로 하였다. 일반 현황으로 연령의 경우 전체적으로 40대(31.0%)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력은 전체의 58.6%가 대졸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전체적으로 주 부(23.4%)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혼 유무는 기혼이 71.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대상지가 생태자원을 활용한 놀 이터이기 때문에 미성년 자녀를 가진 이용자가 전체의 71.3%를 차지하였다. 생태놀이터의 인지도에 있어서는 전체의 61.4%가 알고 있다 고 답하였으나 이용빈도에 있어 월 1∼2회(35.2%)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활동내용에 있어서는 자녀와 놀이(40.7%)와 산책(34.5%)의 비율이 가장 많아 운동과 휴식에 관련된 공간, 시설에 대한 균형있는 계획 및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 었다. 생태놀이터 대상지별 만족도 및 선호도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구성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치를 보였다. 하지만 파고라, 벤치를 포함한 휴게시설의 만족도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휴식·커뮤니티성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생태놀이터의 추가 프로그램에 대한 선 호도에서는 미각 유형 프로그램의 평균 선호도(0.6%)가 가장 낮았다. 이에 활발한 참여율과 높은 생태 체험·학습 효과를 위해 평균 선호도 가 가장 높은 시각 유 형 숲 속 관찰하기(17.2%), 후각 유형 꽃향기 맡기(14.5%), 청각 유형 숲소리 듣기(11.7%)와 같은 생태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운영이 필요하였다. 생태놀이터의 추가 시설물 선호도에서도 놀이기구, 파고라, 벤치의 보완·추가 요구도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으며, 추가 공간 선호도에서는 운동공간과 체험학습장 확충에 대하여 대상지별 평균차이가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생태놀이터의 유형별 현황 분석과 이용자의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결과는 향후, 생태놀이터의 조성, 리노베이션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이들의 자유놀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환경을 고 려한 생태자원 활용 프로그램의 계획을 통해 더 큰 효과 창출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