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 간 폭력을 목격하며 성장한 연구자의 외상 후 성장 경 험에 대한 자문화기술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외상을 겪은 후 에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가정폭력상담원으로서의 진로 개척과 치유 과 정을 내부자적이고 치유자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수의 회상일지와 그림일기, 개인 상담 및 부부 상담 기록, 집단상담 기록 자료 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을 목격하며 경험한 외상 경험은 여러 가지 형태의 부정적인 심리적, 신체적인 증상 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의 경험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국한되지 않 고, 성인기 이후의 삶 전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연구자의 삶 속에 내재된 가정폭력이라는 외상 경험을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고 해석하며, 이를 삶의 일부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과정 을 통해 가정폭력 상담원으로서 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 정폭력을 목격하며 겪은 외상 경험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 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정폭력을 경 험하는 동시대의 피해자들에게 고난과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치유의 단 서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8,900원
        2.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by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s. Methods: Participants were seven breast cancer survivo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tage I or higher breast cancer, had completed acute treatment, and were members of an internet self-help group for breast cancer surviv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July 11, 2022 to May 4, 2023.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rbin and Strauss’s grounded theory method. A total of 18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axial coding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of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was revealed as ‘Finding true life after the pain of death’. The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Promise a life without regrets’, which consisted of a four-step process: reflection period, recovery period, transition period, achievement period.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d restoration of their inner selves, strengthening of positive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resetting their life values and goals, and pursuit a stable and satisfying life. Conclusion: To help breast cancer survivors grow after trauma, the importance of accepting changes in their bodies and maintaining a positive perspective was highlighted.
        4,600원
        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과 그릿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그릿의 부분매개 모형 과 마음챙김과 그릿의 완전매개 모형을 비교하였다. 국내 상담자 308명 을 대상으로 대리외상경험 질문지, 대리외상 척도, 마음챙김 척도, 그릿 척도,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Stastics 25.0을 이용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 식으로 마음챙김과 그릿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완전매 개 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선정되어 마음챙김과 그릿의 간접효과가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β= -.26, p <.001). 이는 상담자가 대리외상을 경험했 을 때,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그릿을 향상시킨다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6,900원
        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윤리위원회 심의(2024.08.09) 결과 표절이 확인되어 게재가 철회된 논문임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 대 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는 드림온아트센터의 발달장애 자 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유의 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2023년 12월 4일~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Windows 용 SPSS 25.0, PROCESS macro 4.1의 통계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아 탄력성이 높은 부모는 발달장 애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양육 부담, 부정 적 정서에 적극 대처하여 성장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해 지방 자치단체 및 발달장애 관련기관에서는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자존감 향상과 성취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해야 하고, 자조집단을 조직하여 공감하고, 지지받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환경적, 경제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6,000원
        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for cancer patient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integrity. Seven cancer patients were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of 7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2 to June 30 in 2014. As the results, the sub-category of self integr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otal self-integr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rticulture therapy (p=0.042). Post-traumatic growth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after horticulture therap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could be utilized as an appropriate program for increase of self-integrity in cancer patients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