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one cement used for vertebroplasty must be sufficiently injectable. The introduction of granules reduces the amount of liquid required for liquefaction, implying that higher fluidity is achieved with the same amount of liquid. By employing β-tricalcium phosphate granul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50 μm, changes in injectability are observed based on the paste preparation route and granular fraction. To obtain acceptable injectability, phase separation must be suppressed during injection, and sufficient capillary pressure to combine powder and liquid must work evenly throughout the paste. To achieve this, the granul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Reduced injection rates are observed for dry mixing and excessive granular content, owing to phase separation. All these correspond to conditions under which the clustered granules weakened the capillary pressure. The injected ratio of the paste formed by wet mixing displayed an inverted U-type shift with the granular fraction. The mixture of granules and powder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solid volume fraction, and a decrease in the liquid limit. This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the liquidity, owing to the added liquid. It is inferred that the addition of granules improves the injectability, provided that the capillary pressure in the paste is maintain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ducational connoisseurships of the 3rd and 4th yea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Ts). Twenty eight 3rd year and 28 4th year PSTs were asked to write a critique on a video-taped elementary English lesson. Their comments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to see if there were any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t amounts of coursework the two groups of PSTs had completed were reflected in their critiques. Many PSTs were found not to have developed their educational connoisseurships to examine whether a lesson was designed to maximize learning, and the functions of the target expressions were practiced and learned in a meaningful way. Two most common perspectives in their critiques were to examine whether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whether the learning activities helped students learn the target expressions. Some differences in the views on classroom English and differential learning activities were found across the two group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WC of Chosun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resis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laning hull, and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confirmed cooperatively with WJFEL. G/T 100 ton class planing hull form was selected, and the improvement of hull form including appendages were performed by using some model test techniques. The model test scope comprises resistance relative tests including wave profile observation, trim and sinkage measurement and flow visualization tests at full load and trial conditions for one bare hull and for two appended hulls. The final wedge and spray strip combined with improved hull form showed about 1.0 knot speed improvement at both of full and trial conditions, and outstanding improvement for fore wave phenomena.
본 연구는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한국사)>에서 ‘창의적인 역사 수업’을 모색한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육적 경험을 고찰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예비 역사교 사들이 ‘창의성’과 ‘창의적인 역사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은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위해 어떠한 고민과 노력을 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이 실현하고자 하는 ‘창의적인 역사수업’은 역사교과 내용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의 창의 역량과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강의 초반, 연구 참여자들은 역사 수업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모호함과 의구심을 가졌다. 그러나 강의 참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강의 참여 이후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 역량’과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연구 참여자들이 역사 교과 내용의 특성에 기반한 ‘능동적인 이해’를 중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위한 예비 역사교사의 소양으로 역사학 연구 지식과 사료 지식의 필요성을 느꼈다.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교육과정을 통해 예비 중등 역사교사들이 창의 교육에 대한 많은 고민과 실천의 기회를 갖는다면, 그들의 창의 역량이나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서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예비 중등 역사교사들의 창의 교육 역량 함양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사회과수업비평문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강의 과정에 수업비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상황에서 사회과 교사교육을 받은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사회과수업비평문을 수업비평 관찰 모형에 준거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비평문의 초점은 주로 수업 활동과 수업 설계로 수렴되었다. 이것은 그동안 척도 중심의 수업관 찰지표 중심으로 수업 읽기에 익숙해져 있음에 기인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관심이 어떤 방법으로 수업 활동이 전개되느냐에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수업비평문에는 수업관찰요소의 ‘무엇을’,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상호교섭이 자유로웠으며, 요소 사이의 특정한 결합규칙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어떻게 보는가’의 방법에 따라 비평문의 인상과 글의 논조가 결정되었다. 셋째, 수업비평문에는 각 수업에서 드러나는 과학성, 예술성, 특이성이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사회과 수업자로서 부분과 전체를 감식하고, 교란 상황에서 수업의 본질을 회복할 방법을 구안하는 교과전문가로서 자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과의 의미는 다양한 범주에서 나타났는데, 수업 내용 원천의 학습자 일상성과 탐구와 문제해결 중심 수업 방법의 교과 전통성, 협업과 사회성 함양 중심의 사회과 역할론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에게 수업비평문 쓰기는 교과와 수업에 대한 본질과 이해를 스스로 배우는 자기학습의 실천으로서의 의미이자, 동질 집단 속에서의 다양한 만남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집단지성 형성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Recognition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ing the factor for the environmental clas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the factorial analysis.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factor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as well as the factor of 'environmental knowledge' for the environmental class. Furthermore, they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about the factor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