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cogn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machine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Classical Chinese texts), which is currently underway in Korea, and suggests future tasks. For the recogn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discusses the Chinese character segmentation using the Mask R-CNN algorithm and the Chinese character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Inception- Resnet-V2 algorithm,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 forms database. Regarding machine translation, this paper looks at the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from Rule-Based Machine Translation (RBMT) to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then, introduces the principles of neural network machine translation and techniques applied to improve performance. There are two types of machine translation for Classical Chinese texts: the machine translator provided by Baidu and the translator develop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KC). Although the Baidu machine translator has various errors, the overall translation performanc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ITKC's machine translator. The ITKC's translator performs better than the Baidu translator in certain areas, but falls short of the Baidu translator in translating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tex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translation of Classical Chinese texts, it is necessary tobuild a cloud-based translation platform, expand a high-quality parallel corpus, develop an additional system to improve machine translation performance, and develop a highly reliable translation evaluation method.
        12,2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초등 교실환경에서의 한자교육은 대부분 좌뇌기능 중심의 교수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습자의 뇌발단 단계와 한자의 뇌기능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한자교육은 우뇌 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교수방안을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습자들에게 뇌친화적 한자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할 목적으로, 그 방안의 하나로써 ‘이미지텔링 연상법’을 통해 한자 인식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 초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뇌친화적 한자수 업을 제공한 결과, 기존방식대로 한자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이미지텔링 연상법’이란 뇌친화적 수업을 적용한 집단의 학습자가 한자의 장기기억화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는 약 3배 가까운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뇌친화 적 교수방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4,900원
        3.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홍콩에 있는 12곳의 유치원에서 한자 인지 독해 정도를 실험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생들과 비중국인 학생들이 한자를 인지하고 독해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비중국인 학생들에게 중국어 교육을 시행하는데 있어 교육용 한자가 지니고 있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중국인 학생들이 12곳의 유치원에서 접하게 되는 언어(광동어)의 시간은 매주 가장 많게는 840분이었으며 가장 적게는 150분이었다. 실험을 통해 우리는 같은 반에 있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한자에 대한 인지와 독해 능력에 매우 큰 개별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중국인 학생들과 중국인 학생들의 한자 인지와 독해 능력에 대한 실험 결과는 확실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동어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세 곳과 영어를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학교와의 비교에서는 학생들의 한자 인지와 독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완전히 영어만을 사용하는 한 곳의 학교의 유치원과 비교해 보면 학생들이 인지하고 사용하는 한자의 수량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비중국인 학생들은 이전에 써보았던 한자를 인지하고 독해하는 능력이 중국인 학생들보다 낮았으며, 쓸 수 있다고 하여 반드시 소리 내어 읽을 수 있음도 아니기 때문에 교사들의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6,300원
        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학동은 우리 漢詩史에서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시적 제재로 사용되어 진 주요한 모티브 중 하나였다. 그리하여 많은 시인묵객들이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의 실천태로써 이른 시기부터 청학동을 찾았다. 초기 청학동을 찾는 이들에 게 ‘청학동’은 선계 공간이라는 이상향이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할 수 없는 선계 로의 탐방은 부정과 좌절이라는 정서로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청학동이라는 선계로의 유람은 현실이라는 벽에 가로막혀 갈등과 회한이 어 우러져 있다. 다만 일반적인 산수시와 달리 청학동 소재 한시에 나타난 청학동 이라는 공간은 수기의 방편으로 사용된 예가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작품에 드러난 청학동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었다. 열망과 부정의 모순된 정서가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인간의 욕망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지리산의 특정 지역을 청학동에 비정하였고, 관념 속의 청학동은 현실적인 명승공간으로써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후 청학동은 선계 공간으로서의 지위와 명승 공간 으로서의 지위를 모두 지니게 되었다. 지식인의 한시 작품에 나타난 명승으로써의 청학동은 현실의 불행이 완전하 게 단절된 공간, 갈등과 번민이 없고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간으로 인식되는 경 우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 으로 인식되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공간들은 열정과 한계 로 인하여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과거 지식인이 추구하였던 이상향이었다. 시인이 청학동을 선계공간으로 인식하였든, 명승공간으로 인식하였든 공통적 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현실 세계에 대한 철학적 부정을 통한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이었다. 또한 이러한 시적 전통은 ‘청학동’이라는 특정 공간이 우리 민족의 이 상세계에 대한 구체화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