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video self-modeling)이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운 동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3명의 청소년이었고, 연구 설계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중 ABA' 설계와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s design)을 함께 사용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과정(A1)이 3회 진행되었고,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 (B) 4회, 재 기초 선 과정(A2) 3회로 총 10회기로 이루어 졌다. 독립변수는 자신의 행동을 모델링 하는 방법인 비디오 자기 모델링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운동수행기술과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의 수행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운동수행기술은 매 회기 수행시간과 수행의 질로 평가하였고, COPM은 치료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는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3명의 대상자 모두 기초선에 비해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 적용 후 운동수행시간이 중재 적용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운동의 질은 향상되었다. 또한 재 기초선 기간동안 대상자 모두 습득한 기술이 유지되었다. COPM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농구 드리블에 대한 수행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 후 모든 대상자의 운동수행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중재법임을 확 인할 수 있었다.
        4,300원
        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인 앨범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훈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10세 여아 1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2회기로 기초선 과정(A1) 3회기,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과정(B) 6회기, 재 기초선 과정(A2) 3회기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자신이 과제를 수행하는 사진으로 제작한 앨범을 이용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 없이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만 측정하였고, 중재 과정 6회기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후,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재 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과제 완수율만을 측정하였다. ◉ 결과 : 학용품 구매 활동에 대한 과제 완수율은 기초선 과정에 비해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기간 동안 50%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도움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재 기초선 과정을 통해 중재 종료 후에도 그 효과가 90%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결론 :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 활동 수준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중재는 지적장애 아동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향상시 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
        200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SPH) method is applied to construct the dispersion of fluctuations in quasi-hydrostatic configuration of an isothermal self-gravitating slab. The uncertainty of the implementation is evaluated, and a novel technique (acceleration error) is proposed to weaken this uncertainty. The two-fluid quasi-hydrostatic diffusion of small fluctuations is used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the acceleration error. The results show that the uncertainty converges to a few percent by increasing of the SPH particle numbers. Considering the acceleration error weakens the uncertainty, and prohibits the serious dynamical consequences in slow dispersion of fluctuation in the quasi-hydrostatic evolution of the slab.
        4,000원
        4.
        200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전고온합성반응법을 이용하여 이규화 몰리브덴-텅스텐(Mo1-z , Wz)Si2을 합성하였다. 조성 (z)을 변화시켜 성형한 원통형 시편에 합성반응 중 전달되는 온도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시편의 중앙에 열전대를 삽입하였다. 반응 선단면이 열전대를 통과할 때 가장 높은 반응온도를 보이고 이것을 단열반응 온도라 간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온도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자전조온합성반응의 모델링을 계시하고자 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반응온도 분포곡선의 거동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시료에 대한 실험결과 측정된 반응속도는 약 2.14~1.35mm/sec, 반응온도는 1883K~1507K의 간을 보였다. 두 항 모두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치해석을 통하여 거의 유사한 반응온도를 얻었다. 시료의 초기온도를 증가시킬 경우 반응온도는 증가함이 예측되었고, z=0.5인 시료에 대하여 반응온도가 1900k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약 800K-900K의 예열이 필요하였다.
        4,000원
        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 모델링 기법을 통한 교수행동변화를 알아보고, 교생의 교수행동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찰,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교 체육교생 4명(남자 3, 여자 1)으로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교생실습기간(참관학습 1주를 제외) 3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관찰된 교수단원은 구기종목(농구, 소프트볼)과 체조(무용), 육상(단거리 달리기, 멀리뛰기)이었다. 교생의 교수행동은 소형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비디오촬영과 Sharpe와 Koperwas(2001)에 의해 개발되어진 행동분석 관찰프로그램인 컴퓨터 소프트프로그램(BEST)을 이용하여 관찰 분석되었다. 수집된 교생교수 행동 자료는 빈도와 강도(지속시간)에 의해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모델링 기법의 처치 효과를 나타내는 처치전과 처치단계의 수업관련부분에서 관찰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교수 행동 빈도와 강도 또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치효과의 지속성을 나타내고 있는 처치후의 교수행동 또한 처치 전과 비교하였을 때, 수업관련 부분에서 관찰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다소 높거나 동일한 수준의 빈도와 강도(지속시간)수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