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ole of marketing to the area of strategic alliances. We suggest that marketing capability – the ability to deploy resources to serve customers better- is a key determinant that facilitates value creation in strategic allianc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s of marketing capability on performance of strategic alliance experience and types of strategic alliances (introducing three types: SI-SF alliance, AI-SF alliance and AI-DF alliance), and whether these interaction effects are moderated by high vs. low technologic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data from 39 international firms and their 2,158 alliances during the period 1994 - 2014, 21 firms from computer industry (high-tech industry) and 18 firms from food industry (low-tech industry),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ribution of marketing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iance experience, types of strategic alliances and firm value varies with environmental contexts. First, when a firm has strong marketing capability, the effect of strategic alliance experience on firm value is greater than those of firms with low marketing capability. Also, the strength of its interaction effect is lower in high-tech industry than low-tech industry. Second, when a firm has strong marketing capability,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alliances on firm value are greater than those of firms with low marketing capability. However, their interaction effects to firm value were significant only in high-tech industry. Specifically, when a firm has strong marketing capability, the stock market reacts most favorably to the AI-DF alliance than those of SI-SF alliance and AI-SF alliance in high-tech industry. In contrast, even a firm has strong marketing capability, the stock market reacts favorably only to AI-SF alliance in low-tech industry. In sum, our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active performance impact of marketing capability to the strategic alliance experience and the types of strategic alliances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environmental contexts.
        2.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rgue that a novel dark personality trait—the focal firm’s desire for control—may drive key decisions pertaining to how to monitor strategic alliances, which in turn can deter performance outcomes. Our conceptual model was tested based on a survey of 197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firm’s use of process monitoring to oversee the counterpart drives its performance outcomes only if there is a low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lliance partners; as such, information exchange norms substitute for process monitoring. Whereas, the focal firm’s use of outcome monitoring enhances its performance outcomes only if it is reinforced by a high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that is, these two monitoring mechanisms complement each other in alliances.
        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기업의 국제전략적제휴를 대상으로 전략적제휴의 사업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지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국내기업이 체결한 국제전략적제휴를 연구대상으로 전체 23개 산업에 걸쳐 52개의 국내기업들이 체결한 124건의 제휴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비모수통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국내기업의 국제전략적 제휴 유형은 파트너기업과의 조직간 상호작용정도와 잠재적갈등정도에 따라 친경쟁적 제휴, 비경쟁적 제휴, 선경쟁적 제휴, 경쟁적 제휴 등 네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략적 제휴의 유형별로 사업성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비경쟁적 제휴가 사업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경쟁적 제휴는 상대적으로 사업성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략적 제휴의 유형과 사업성과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전략적 제휴와 산업의 관련성, 경쟁자와의 관계, 조직간 상호작용과 갈등의 문제들이 사업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900원
        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 전략적 제휴의 파트너간 유사성/다양성에 관한 기존 문헌은 `유사한 파트너끼리의 결합이 좋은 성과를 가져온다`거나 `보완적 차이점이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등의 일반 통념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과연 어떤 유사성이 전략적 제휴의 결과를 좋게 하는가? 혹은 어떤 다양성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가? 파트너의 특성과 능력이 파트너 선정 과정에서는 물론 제휴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사성/다양성이 제휴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적 유사성과 협력적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파트너간 유사성/다양성의 차원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제휴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90개의 국제 전략적 제휴에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경쟁적 유사성이 제휴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협력적 유사성이 제휴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대체로 지지하였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