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 OCB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 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표면연기와 직무소진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았다. 첫째,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적 OCB와 부정적 관 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적 OCB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소진이 주요 매개 변수로 작용 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 OCB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표면연기가 중요한 매개 역할 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약 20일간 국내 공기업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소재 사업장 을 방문하여 고객접점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기존 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의 무례행동은 서비스지향 OCB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표면연기와 직 무소진은 고객의 무례행동이 서비스지향 OCB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하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유형에 따라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중국은행산업의 사무 관리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직무요구를 크게 방해적 스트레서와 도전적 스트레서로 구분하고 각각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를 사용하였다.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 과부하가 수면을 통해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통제하고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의 직접효과를 실증하였다.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표면연기-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와 표면연기-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표면연기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유의한 부(-)의 직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만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양적 역할과부하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정(+)의 직접효과를 보였으나, 이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