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describes Philodromus rufus Walckenaer, 1826 with detailed descriptions, taxonomic photographs, distribution map, and proposition of a new synonym. Due to morphological similarity between P. pseudoexilis Paik, 1979 and P. rufus, taxonomic identity of P. pseudoexilis has been doubtful to date. A detailed bibliographic study of types of P. pseudoexilis between P. rufus and examination of specimens from the type locality of P. pseudoexilis with specimens of P. rufus collected across the country showed that P. rufus has all diagnostic characters found in types of P. pseudoexilis. Therefore, P. pseudoexilis Paik, 1979 should be regarded as a new synonym of Philodromus rufus Walckenaer, 1826.
There are many collected phonetics which came from The Annotation of Classics in Jiyun. In The Annotation of Classics, the nature of Yinqie (音切) is very complex. There are some Yinqie not labeling phonetics for the prefixes. In Yinqie not labeling phonetics for the prefixes, some noted phonetics for variant, some noted phonetics for synonym, some noted phonetics for approximate character in form, some noted phonetics for notes and commentaries, some noted phonetics for original character. Of course, there are some Fanqie (反切) which noted phonetics for synonym in Jiyun. In the paper, we have specially discussed the Fanqie (反切) which noted phonetics for synonym in Jiyun. We divided the collected phonetics into two categories. We gave some examples for every category.
The species of Cicadidae (Hemiptera, Auchenorrhyncha) from Taiwan are taxonomically reviewed. In this paper, 20 species belonging to nine genera in cicadine tribes, Platypleurini, Tibicenini, Polyneurini, and Dundubiini (subtribe Dundubiina) are included. Cosmopsaltria montana Kato, 1927 is synonymized with Macrosemia kareisana (Matsumura, 1907). Information on the biology and the male chirping of most species including two oscillograms are provided.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all known species is given.
이 연구는 ‘시원함’의 의미를 지니는 날씨 표현 한국어 형용 사의 유의어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과 유의어 사전을 바탕으로 현행 한국어 교재의 형용사 출현 빈도를 통 해 유의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의어를 대상으로 국립국어원의 한 국어 학습자 원시 말뭉치와 일기예보에서 사용된 유의어들의 형태와 빈도를 살펴봄으로써 현행 한국어 교재가 날씨 표현에 있어 언어 실 생활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한 국어 학습자들의 발화 양상은 학습자들의 학습 도구인 교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날씨를 나타내는 냉각 표현 형용사의 학습 도구 개 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타동사 유의어인 ‘숨기다’와 ‘감추다’의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숨기다’와 ‘감추다’의 공통 상위 개념은 ‘비인격적 대상을 남이 못 보게 또는 모르게 함’이다. 그런데 각 동사의 의미 자질이 변별되는데 우선 ‘숨기다’의 경우 선행 목적어로는 ‘인격적 대상’과 ‘독립성 대상’로 한정되고 의도성이 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반해 ‘감추다’는 ‘드러난 신체성 대상’과 ‘비실체성 명사’와 어울리며 행위가 자연스러운 경우와 의도성이 약할 때 사용되는 특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