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년 12월 14일부터 1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국제나사렛 교단 아시아태평양지구(이하 아태지구)의 싱크탱크 모임이 최초로 개최 되었다. 당시 제기되었던 주요 이슈 중 하나가 아태지구에서의 리더십 위기였다. 즉, 일부 연회(district)에서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이 원만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연회에서 피라미드 모델(Pyramid Model)에 근거한 전근대적 권위주의 리더십이 만연하고 있다는 상황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리더십 위기는 아태지구의 성장동력을 저해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성서적 충실성(biblical authenticity)과 현대적 적합성 (contemporary relevancy)을 겸비한 트리 모델(Tree Model)을 새로 운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리더와 팔로워(follower)의 관계가 수직적 상명하복인 전통적 피라 미드 모델과는 달리 트리 모델은 양자 간의 유기적 상호의존성과 수평적 파트너십을 전제하고 있는데, 이런 관점은 현대 리더십 이론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군림과 권한독점 대신에 섬김(servanthood)과 권한부 여(empowerment)가 트리 모델에 본유적으로 내재하고 있는데, 이런 특징은 성서적 리더십 원리와 잘 부합된다. 이처럼 현대적 적합성과 성서적 충실성을 지닌 트리 모델을 통해 리더십에 관한 인식론적 전환이 아태지구에 확산되면 현재의 리더십 위기 상황이 극복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리 모델의 권한부여적 속성은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에, 섬김과 파트너십의 수평적 특성은 전근대 적 권위주의 리더십 타파에 각각 기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아태지구의 성장 동력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6,400원
        2.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필자가 직접 참석한 2014년 요하네스버그 나사렛국제신학대회(Johannesburg 2014)를 중심으로 나사렛교회의 선교신학적 동향과 과제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관찰, 평가, 제언의 순서로 전개된다. 먼저 직접적 관찰자의 입장에서 Johannesburg 2014가 통시적으로 소개된다. 뒤이어 나사렛교회의 공식 문서들과 Johannesburg 2014의 논문들과 토론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나사렛교회의 선교신학적 주요 동향이 탐색된다. 마지막으로 나사렛교회의 선교신학적 주요 동향과 현대의 선교신학적 주된 추세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나사렛교회가 금세기에 지향해야 할 선교신학적 과제가 요약적으로 제시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도출된 나사렛교회의 선교신학적 주요 동향은 다음과 같다: 1) 지상명령에 의거한 그리스도 중심적 선교학(Christocentric missiology); 2) 영적 전쟁에서 능력 대결(power encounter); 3) 선교적 전략으로서의 비판적 상황화(critical contextualization); 4) 사회적 성결을 강조한 긍휼 전도(compassion evangelism). 이러한 경향성은 탈-기독교세계(post-Christendom) 정신을 반영하는 현대의 선교신학적 흐름에 발맞추어 다음과 같이 발전적으로 전이될 필요성이 있다: 1) 미시오 데이에 기초한 삼위일체적 선교학(Trinitarian missiology); 2) 영적 전쟁에서 능력, 진리, 사랑, 충성을 포함한 총체적 대결(wholistic encounter); 3) 제(諸)문화의 자신학적 권리를 고취하는 탐색적 상황화(exploratory contextualization); 4) 영적, 사회적, 생태학적 구원을 아우르는 하나님나라 전도(Kingdom evangelism). 상기한 선교신학적 과제들에 충실할 때 선교적 교단을 표방하는 나사렛교회의 정체성과 생명성은 더욱 극대화될 것이다.
        7,800원
        3.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George G.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revealed in his classic, To Spread the Power: Church Growth in the Wesleyan Spirit. On the basis of his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of collected data including interviews, letters, and observa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mission programs of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unter adopted John Wesley’s ideas and the church growth theories developed by Donald A. McGavran and C. Peter Wagner to produce his own church growth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to a local church,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is church represents the Korean Nazarene Church (KNC) in this evaluation. (KNC was organized in 1948, although some Nazarene churches were already planted in Pyong Yang and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were translated into six “mega-strategies.” The six mega-strategies are: 1. Identifying receptive people, 2. Reaching across social networks to people, 3. Organizing new recruiting groups and ports of entry, 4. Ministering to the needs of people, 5. Indigenizing the ministries to fit the culture of the people, and 6. Planning to achieve their intended future. This study discovered some strengths and some weaknesses of th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strong in evangelism and outreach, although DGR showed diversity between “poor” growth and “good” growth. The church has grown steadily since it was planted in 1947. In particular, the church was very aggressive in church planting work. However,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weak in cross-cultural missions, although it tried to build two church buildings, one in the Philippines and another in North India. This study presents seven suggestions to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based on missiological analysis and evaluation. In summary, the church needs to carry out holistic mission programs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proclamation / evangelism and social action / social servic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as a great potential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and to implement the Great Commandment. The classical purposes of missions are conversion, church planting, and the extension of God’s kingdom. God will be glorified by the local church.
        6,100원
        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critical analysis on the 10 Years (2002-2012) of the denominational activities since the 5 Districts were merged into one national district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advanced way to promote Church of the Nazarene for effective church growth in the coming era in Korea. For this purpose it attempts to evaluate the efforts and results of the unification of the five districts into one in relation to history and church growth of the denomination. Indeed, the merging of the five districts into one was a historical event in the mist of divisions and conflicts of the churches and denominations in Korea. Also the merging event was a distinctive model for innovative cultural adap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hurch of the Nazarene. This essay discovered some positive results from the unification, that enhanced the identity of the Nazarene Church,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for ordination process, church planting, and unified relations with the international church as well as Korea Nazarene University. However, still the unified church needs an innovative dimension of leadership system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is essay proposes that the pyramid model of the unified church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n organic or post-hierarchical system. Already, the name of “International Headquarter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was changed to “Global Ministry Center” to abolish the existing pyramid model of leadership toward organic model, which is the fundamental Biblical model of leadership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is essay insists that Nazarene Church in Korea also needs to work on having a less hierarchical system of the Church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at is one of the main movements of postmodern evangelical chu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