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ejang system of the castle construction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and influences of its constructional productivity. The results are as follow ; 1. Paejang was originally a sort of military positions. Thereafter it had been adopted to the various fields like soonrapaes. Pae, which was a regular working unit organized with 30~50 laborers, took charge of the works allocated with its own chargeable section. 2.The first adoption of paejang system was found at the construction of Ganghwa-oyseong in 1690. Since the period of King Yeongjo and Jeongjo, it was generally used as a working system. 3. Yoo Hyeongwon had early suggested that this system should be adopted as a reformative system because it had a perfect command system like Soko-je, the provincial military system. 4.At the constructions of Dongnae-upseong, Jeonjoo-upseong and Daegoo-upseong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paes were organized to 40~60units, and worked in the fields of masonry, carriage and picking of stones. 5.At the construction of Soowon-seong in the period of King Jeongjo, a large number of various paejangs participated in all of working fields. Especially masonry-paes were usually organized with over 100 units. 6.It was estimated that paejang system surely could guarantee saving labors and term of works. Moreover, it was a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form of dogup-je, a contracted work system. 7. Paejang system was applied in the constructions of Buddhist temples since the middle period of 1700s and later, it was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s of palaces.
        5,700원
        2.
        200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food culture as analysis food material, food and cooking tools in the novel literature and examines the food as a code of current cluture of common social through five Pansori texts among the twelve Pansori texts into written form. It is a many Pansori, but this study is analysed to select early copying papers. It can be found rice, Kimchi, salted fish as the common people food in Simchong-ga text. It can be known characteristics of Jeolla-do Area food used many food material and acceptance of foreign crops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in Chunhyang-ga text. In Hungbo-ga text, it can be found the popularity food is rice cake and meat and looked the special feature of dog meat, rice cake, scorched rice-tea. In Toebyol-ga text, it can be looked many sea food and medicine beverages, and in Chokpyok-ga text, it can be found peculiarity of drink for making excitement during a war. Moreover, in five Pansori texts, that is seemed characteristics such as cover of tableware, spoon and chopsticks, tableware china, a cauldron, a charcoal burner, a brass chafing dish, a table, a flail and a mill.
        4,200원
        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tarted with its consideration as materials showing original shapes of temple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which contained in $\ulcorner$A Survey Report of Korean Architecture$\lrcorner$ made by Sekino Tadashi through his survey for 62 days(July 5${sim}$Sep. 4, 1902).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eomesa temple experienced frequent changes in building layout including the transfer and removal of buildings. Such frequent change began in spring, 1936 when a Buddhist monk of Beomeosa temple, Cha Woon Ho moved Gwaneumjeon, originally located to the light of the main building, to the left of the building and, on its original site, built up a 7-storied sarira tower. 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tudy provides everything about Beomeosa temple,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study would be the very basis on which changes in the building layout of the temple since the late period of Chosun can be researched.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above mentioned restoration plan would help originally restore or enlarge temples, further transmitting such restored or enlarged establishments as valuable cultural remain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expects such restoration plan to be made in continuous and more detailed ways.
        5,400원
        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조선조 말엽 유행한 명현록에 나타나는 명현가의 전국적 현황과 도별 양상, 경상도 지역 명망 문중 및 그 현조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명현록은 처음 ‘道學’의 계보에 연결되는 인물을 수록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으나, 점차 道學 뿐 만 아니라 忠節이나 여러 방면의 업적으로 현저한 국가적 공헌이 있는 인물로 수록 범위가 확대되고, 이후 각 성관별로 이를 정리, 수록하는 형태로 진전되었 다. 각 성관별 명현을 수록한 명현록은 뒷 시기로 가면서 명현 후손의 세거지와 사승 관계를 명시하는 것이 기록상 중요시 되고, 뒤이어 이를 경상도라는 일정 권역에 한정해서 명현가와 그 현조의 휘·호·본 정도를 간략히 명시 수록하는 경 우로 나타난다. 한편 이 단계에 이르면 명현록에 등재된 인물은 조선조의 수많 은 명현들 가운데 그들의 후손이 동족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인물만을 대상으 로 하게 된다. 전국의 각 성관별 명현의 후손 거주지를 볼 때 서울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여 조선조 말엽에 있어서 서울은 여러 명현가의 소굴로 나타나며, 경상도가 타도 에 비해 많은 등재 인물수를 보임이 주목된다. 고을로는 청주, 진주, 양주, 안동, 성주 등의 순으로 등재 인물의 후손 세거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명현가가 지 방 행정의 중심지에 비교적 많이 집중되어 있는 점도 주목된다. 경상도 각읍 명현가를 등재 수록한 수종의 명현록을 통해서 특정 성씨 앞에 특정 촌명을 冠하여 ‘○○金氏’와 같이 불리워진 5백 수십여 문중의 존재가 조 선조 말엽 경상도 지역에서 확인되며, 이들 가운데는 200여 내외의 숫자에 달 하는 명망 문중의 존재도 추측된다. 경상도 각읍 가운데 진주는 도내에서 가장 명현가의 수가 많은 고을로 나타나며, 우도가 좌도에 비해 2배나 등재 인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들 지역에서 특정의 현조를 중심으로 동성의 씨 족이 결집되는 움직임이 활발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명현록에 등재된 경상도 각읍 명현가의 현조는, 단성 지역을 중심으로 살필 때, 주로 남명학파가 형성되고 당쟁이 전개되던 선조-인조 년간의 시기에 즈음 하여 지역 사회에서 주목되는 활약을 보였던 유명 인사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들 유명 인사의 후손은 17-18세기에 걸쳐 향권을 지속적으로 장악하는 유력 씨족으로 자리를 잡았고, 이후 19세기 말엽에 이르러서도 문집을 남기는 인사 를 많이 배출하는 등으로 해서 여전히 명망을 유지하는 씨족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제조건을 충족하는 유력 씨족이 조선조 말 명현가로 알려져 여러 명현록 에 기록되어 나타나는 바, 이는 비단 단성 지역만이 아니라 경상도내 다른 고을 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