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reviews theoretical comparisons regarding reentry issues of incarcerated people in order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criminal desistance. There are three major competing criminal desistance theories, and they include the subjective (identity) theory explaining an individual’s subjective processes, structural (social bonds) theory focusing on structural conditions, and integrative (subjective-social model) theory describing personal commitment and motivation combined with structural resources. First, identity defined as a sense of self is directly linked to one’s motivation and behavioral guidelines. Thus, identity theory assumes that intentional changes in one’s sense of self are necessary for criminal desistance. The theory posits that only justice-involved individuals who intentionally transform their identities can attempt to utilize structural support to help them pursue change. Second, the structural theory on social bonds provides an appropriate theoretical foundation on how social bonds, such as employment, affect criminal desistance through a series of exogenous circumstances called turning points. Employment is an important example of a social bond for justice-involved individuals since it provides structure to one’s life. Third, the integrative model assume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may interact within social contexts, in that an individual has to identify, select, and act within the structure they live in, through their cognitive transformation. This article also briefly discusses two major methodological challenges deriving from the utilization of the theory.
테러리스트의 급진화와 관련해서 이들이 교도소에서 다른 수용자들에 대한 급진화를 양산한다는 문제점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왔다. 교도소가 테러리스트들에 의한 급진화로 다른 수용자들을 테러리스트로 극단화하 는 전향을 위한 최적의 장소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특히 이슬람 극단 주의의 지하디즘의 영향력이 미국과 유럽 등에서 자국민 테러리스트로 연결되고 있다는 문제들로 인해 교도소 내의 극단주의 급진화에 대한 우 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주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개관 적인 학문적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부진하다. 교도소 내의 테러리즘 급 진화의 실체, 관련 위험요인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고 관련 실무자들과 학자들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 다. 이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는 테러리스트를 일반 교도소 에 수용하는 양형과 관련된 내용을 미국의 법률을 중심으로 간략히 소개 하고, 교도소 내의 테러리스트의 특성과 일반범죄자와의 차이점, 급진화 와 관련된 교도소 내 위험성, 그리고 급진화를 통한 교도소 내의 테러리 스트 모집과 관련된 이론적 모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운동심리학의 연구 동향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개괄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 초까지 스포츠심리학은 운동선수의 수행력 향상에 주된 관심을 가졌었다. 그러나 이후일반인들의 운동참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운동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운동심리학은 연구 활성화를 기반으로 독자적 패러다임을 가진 영역으로 학문적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운동행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운동심리학의 모학문이나 인접학문에서 개발된 여러모형들의 적용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기효능감 이론은 운동심리학 분야에서 가장많이 활용된 모형 중 하나로서 운동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운동행동 변화의 단계성과 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중재전략에 초점을 맞춘 변화단계이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운동행동을 환경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사회생태학적 모형도 운동심리학 연구에서 서서히 부각되고 있다. 운동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운동이 다양한 심리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임상에서도 치료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운동의 임상효과를 극대화하고 이에 따라 운동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합리적 활동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은 개인의 지속행동을 예측하는 의도, 태도, 주관적 규준, 통제지각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있다. 유교권 합리적 활동모델은 이 이론에서 주관적 규준을 집단동조와 체면으로 대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세 개의 이론적 모델들이 구조적 타당도를 운동상황에서 비교 검증하는데 있었다. 모델의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일련의 질문지가 530명의 운동 참여자들에게 제공되었으며, 그들의 질문지 응답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SEM의 분석결과는 모든 모델에서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가 수용할 만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좀 구체적으로, 운동의도는 운동지속 행동을 유의하게 예상하고 있으며, 운동의도에 대한 태도와 통제지각의 행로계수들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합리적 활동이론의 주관적 규준과 유교권 합리적 활동모델의 집단동조 및 체면은 운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이론적 실증적 고찰을 통하여 논의되었으며, 미래 연구가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