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ector mosquito surveillance is important when recommending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The surveillance of the vector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7 locations with light emitting diode (LED traps) and BG-Sentinel traps from March to November, 2023 in Gyeongnam province. In the surveillance, a total of 13 species belonging to seven genera were collected in a total of 6,537 females and 51.9/trap/night (Trap Index; TI) in 2023. Among the collection sites, Gangseo-gu at the pigsty in Busan with a LED trap recorded the highest TI 60.6 (Species Ratio; SR 65.6%) for Culex tritaeniorhynchus females in 2023. Each one of Cx. tritaeniorhynchus female was firstly collected for 2023 at Eulsukdo in Busan at 22th March. In the results of isolation of viral RNA, Flavivirus were positive in one pool (Chaoyang virus; 30 individuals) of Aedes vexans and negative in 341 pools (4,152 individuals) of 12 mosquito species including Cx. tritaeniorhynchus, Cx. pipiens, Aedes vexans, Ae. albopictus, and Ochlerotatus togoi in 202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occurrence of bark and wood-boring Coleoptera i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Pinales: Pinaceae), and Larix kaempferi (Lamb.) (Pinales: Pinaceae) stands using multi-funnel traps baited with pine volatiles in Korea. The number and species of bark and woodboring beetles caught in traps baited with ethanol, α-pinene, and ethanol+α-pinene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effective attractants. In addition, the effects of other pine volatiles, such as (-)-β-pinene, β-caryophyllene, (±)-limonene, β-myrcene, and 3-carene,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3,134 wood-boring beetles from 150 species were collected from pine and larch stands from 2019 to 2020. Tomicus minor (Hartig) (Coleoptera: Curculionidae) adults were more attracted to traps baited with α-pinene, whereas Xyleborinus saxesenii (Ratzeburg) (Coleoptera: Curculionidae), Cyclorhipidion pelliculosum (Eichhoff) (Coleoptera: Curculionidae), and Phloeosinus pulchellus (Blandford) (Coleoptera: Curculionidae) adults were more attracted to traps baited with ethanol. Hylurgops interstitialis (Chapuis) (Coleoptera: Curculionidae), Shirahoshizo genus group, Rhagium inquisitor (Linne) (Coleoptera: Cerambycidae) and Rhadinomerus maebarai (Voss & Chûjô) (Coleoptera: Curculionidae) were more frequently attracted to traps baited with ethanol+α-pinene than to traps baited with other attractants. The addition of 3-carene to ethanol+α-pinene enhanced the capture of H. interstitialis, R. inquisitor, and Hylobius (Callirus) haroldi (Faust) (Coleoptera: Curculionidae).
이 논문은 직전 연구인 메타버스의 함정을 극복하기 위한 게임화된 동적 습관 형성 모델의 후 속 연구다. 2022년 12월 논문 연구에서는 사용자 참여를 방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함정을 극 복하기 위해 메타버스 공간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게이미피케이션 동적 습관 형성 모델 을 제안하였다. 당시 제안했던 4단계 접근법을 통합한 역학 모델은 낮은 상호작용(P4)의 온보 딩 접근법, 기본 상호작용(P3) 온보딩 접근법, 중간 상호작용(P2)의 온보딩 접근법, 높은 상호 작용(P1) 온보딩 접근법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간단한 모델의 개요를 설명한 바 있다. 본 고에서는 4단계의 세부 연구에 집중하였는데, P4-튜토리얼, 시즌 이벤트, 소셜 이벤트 및 모 임, P3-기본 아바타, 가상경제 및 아이템 획득/거래, 소셜경쟁과 리더보드, 도전과 경쟁, 커뮤 니티 강화, P2-아바타 개인화, 사용자 제작 콘텐츠. 보상 메커닉스 강화, 피드백 및 진행 상황 추적, P1-대화형 튜토리얼, 사회적 상호작용, 내러티브 중심 퀘스트, 스토리 기반 업적, 인터 렉티브 스토리 요소 등의 습관형성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단계는 게이미피케이션 및 게 임디자인 기법과 사용자 중심 디자인 원칙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습관 형성 을 촉진하는 방향에서의 온보딩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 및 게임디자인 이론과 실무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 대한 예시와 전략을 제공하여 메타버스에서 학습환경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만, ‘게임’과 ‘메타버스’와의 개념과 용어에서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게이미피케이션 및 게임디자인 분야의 기초적인 이론과 온 보딩 방법론을 다룰 수 밖에 없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아열대 작물 재배가 증가하면서 경남지역 망고 재배면적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망고에 발생하는 병해충 발생 정보가 부족하여 2022년부터 현재까지 경남지역에 있는 망고농장을 조사하였으 며, 그 결과 병해 6종, 해충 8종 발생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남지역 망고 포장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볼록총채벌레 등의 발생을 확인하였고, 통영, 함안, 밀양 등에서 총채벌레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많은 농가에서 총채벌레류 방제를 위해 화학농약에 의존하고 있으나 총채벌레는 반복적인 약제 노출시 빠른 세대 진전으로 인해 저항성 발달이 쉽기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색상별 끈끈이 트랩의 총채벌레류 유인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는 노랑, 주황, 연두, 대만총채벌레는 빨강, 노랑, 파랑, 볼록총채벌레는 파랑, 노랑, 빨강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지난 2022년 제주도 애월읍 일대에서 콩 해충으로 알려진 콩은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성충이 검거세 미밤나방(Agrotis ipsilon)의 성페로몬 트랩에 대량으로 포획되었다. 검거세미밤나방 트랩은 목적 해충에 대한 포획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세 구성 성분, (Z)-7-dodecenyl acetate, (Z)-9-tetradecenyl acetate를 3:1 비율로 고정하고 (Z)-11-hexadecenyl acetate를 0, 1, 6, 10, 15로 각각 비율을 달리한 미끼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별 콩은무늬밤나방 성충 포획수를 비교한 결과, (Z)-11-hexadecenyl acetate가 첨가되지 않은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17.96마리로, 가장 많은 수의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Z)-11-hexadecenyl acetate가 가장 많이 함유된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2.5마리로 가장 적은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Z)-11-hexadecenyl acetate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포획되는 콩은무늬밤나방의 개체 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거세미밤나방 미끼의 주성분인 Z)-7-dodecenyl acetate는 기존의 콩은무늬밤나방 유인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하여 해당 성분의 구성비가 유인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추후에 해당 트랩들과 시판 중인 콩은무늬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 여 포획 양상을 비교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repeated use of biocidal products, including household insecticides and disinfectants, has led people to seek safer alternatives, such as light traps, ultrasound generators, or repellent lamps. By appearances, these physical/non-chemical alternatives seem appealing to many consumers and are gaining more attention. However, unlike biocidal products, these alternatives are not subject to mandatory approval and registration processes, and no standards for efficacy and safety are in place. Given the increasing numbers of insect traps on the marke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vestigate their efficacy.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attraction activity of ten commercially available insect trap products. They varied in size, structure, trapping methods (fan or sticky pad), and attractants. Their efficacies were assessed under both laboratory condition (1.8m x 1.8m x 1.8m) and semi-field room condition (4m x 6m x 2m). Ul*****APTM demonstrated the highest capture rate (%), leading us to further study the role of its attractant. Notably, the capture rate increased by 28.9% when the CO2 attractant was used, displaying statistical differences (P = 0.032).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consumer acceptance and satisfaction were monitored using 20 participants. The potential of insect traps as viable alternatives to biocidal products is discussed.
단감 과수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린재의 방제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로몬트랩의 유인거리를 확인하고, 페로몬트랩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끈끈이트랩의 사용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노린재에 마커로 표시한 후 방사하여 페로몬트랩과 끈끈이트랩에 재포획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페로몬트랩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60 m까지 유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끈끈이트랩의 포획률은 0주차 35%, 1주에서 27%, 2주에서 34%, 3주에서 2.9%, 4주에서 0.6%로, 3주 이후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페로몬트랩과 끈끈이트랩을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페로몬트랩만 단일로 사용한 경우보다 약 12배 높은 포획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