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inspec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critical activities for quality control in a manufacturing company. it is thu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tecting a defective part or product. There are three probable working modes for visual inspection: fully automatic (by automatic machines), fully manual (by human operators), and semi-automatic (by collaboration between human operators and automatic machines). Most of the current studies on visual inspec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automatic detection performance by developing a better automatic machine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However, there are still a range of situations where human operators should conduct visual inspection with/without automatic machines. In this situation, human operators’performance of visual inspection is significant to the successful quality control. However, visual inspection of components assembled into a mobile camera module belongs to those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uman performance issues in visual inspection of the components, paying more attention to human errors. For this, Abstraction Hierarchy-based work domain modeling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a range of direct or indirect factors related to human erro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components. Alth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manufacturing mobile camera modules,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easily generalized into other industries.
목적 : 본 연구는 인지심리적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된 범주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주의력과 기억력의 변화는 전산화 신경인지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일반적,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 였다. 결과 : 두 집단 각각 중재 전후 결과 주의력과 기억력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중재 후 두 집단 간 차이에서 기억력은 유 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주의력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범주화 훈련이 참여자들의 기억력을 향상시킨 것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연구에서 좀 더 포괄적인 인지기능 및 작업수행과 연관된 과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근시성 약시에서 가림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방볍으로 안경 교정만으로 약시 치 료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근시성 약시 환자 14 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나이, 치료 전 시력, 치료 기간, 굴절이상 정도, 난시와의 관계륜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 는 조절마비하 꿀절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교정에 의한 약시 치료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4 나타내 약시 환자에 대해서도 치료 효 l. 근시성 약시의 굴절이상 교정 후 초기 시 력 (Mean :t SD) 은 0.46 :t 0 .1 1을 였고, 최종 교정시 력 (Mean :t S D)은 0.84 士0 .1 3을 나타내었다. 2. 치료 시작 나이 (Mean :t SD) 는 6.6 :t 1.5 세였으며 치료 기간은 23.2 :t 6.57ß 월이었다. 3. 근시성 약시 모두에게서 뚜렷한 시략 변화를 보였으며 치료 전 시력이 좋으면 치료 후 시력도 좋았다 (p < 0.05). 4 안경렌즈의 도수 조정에 의한 치료는 8 세 이후의 과가 있었다 (p < 0.05)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내 M시의 S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대상자 선정검사를 하고, 대상자 3명에 대해 기초선 검사 기간을 달리하여 다트게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1이 기초선 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 중재단계로 들어가 상상연습을 실시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자 1이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던 대상자 2도 상상연습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으며, 대상자 3도 대상자 2가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다가 상상연습을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거리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직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1시간 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상상연습이 학습과 치료에 앞서 시연(demo)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Orthokeratology는 RGP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에 물리적인 압박을 가해서 근시도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자는 동안 렌즈를 착 용했을 때 시력과 근시도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21 명의 근시자(평균 나이 11.3 ::t 2 .1세)를 대상으로 역기하학 디자인의 RGP 콘택트렌즈를 잠잘 때에만 착용시키고 1 개월 동안 추적관찰하였다. 렌즈를 처음 착용하고 1 일째, 3 일째, 7 일째, 14 일째, 21 일 째 및 30열째 나안시력과 자각삭 굴절검사 및 세극등검사를 실시하였다. 렌즈를 착용 하기 전과 비교하여 1 개월 동안 렌즈를 착용했플 때 나안시력과 자각식굴절검사값은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나안시력의 평균 변화도 0.66 ::t 0.24, 자각식굴절검사값의 평균 변화도 2.30 ::t 1.18 Dl. 이상의 결과로부터 overnight orthokeratology 는 일시적으로 관시도를 감소사키고 근시진행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목적: 본 연구는 시각차단연습이 골프 퍼팅의 거리감 및 퍼팅 매개변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시각 차단연습이 골프 퍼팅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방법: 골프 경험이 없는 남자 대학생 30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시각차단, 시각허용, 그리고 통제 집단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사전검사에서 피험자들은 각 거리(1 m, 3 m, 5 m)에서 10회씩 퍼팅을 실시하였다. 훈련중재 과정에서 각 집단의 피험자들은 집단별 중재와 함께 사전검사와 동일한 거리에서 각각 30회씩 총 90회의 퍼팅연습을 5일간 수행하였다. 결과: 반경오차에 대한 분석에서 시각차단과 시각허용 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와 지연된 사후검사에서 수행의 정확성이 향상되 었다. 가변오차의 경우 시각차단 집단은 반경오차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시각허용 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만 일관성이 향상되었으며, 사후검사에 비해 지연된 사후검사에서는 일관성이 다시 감소되었다. 시각차단 집단의 거리감 및 퍼팅 매개변수는 연습중재 후 효율적으로 변경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시각차단 연습이 골프 퍼팅의 학습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