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04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Balance disorder is a prevalent clinical manifestation following stroke, often causing considerable discomfort and gait disability. Various water-based therapeutic approaches have been developed to address balance and gait disorder.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based gait training using auditory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Methods: All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water-based gait training using auditory stimulation group (WAG) (n = 24), water-based gait training group (WG) (n = 24), and control group (n = 22). Subjects in WAG and WG underwent water-based gait training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All Subjects were assessed for muscle strength, balance, gait, motor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Results showed that all outcome measures significantly improved post-intervention (p < 0.05). Additionally, WA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rove in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and Go (TUG) test compared to WG, and W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MRC and Fugl-Meyer Assessment (FMA) (p < 0.05). WAG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except Modified Bathel Index (MBI)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based gait training using auditory stimulation may be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y for with stroke.
        4,000원
        2.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welling capacity of bentonite buffers is vital in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ies, as it minimizes groundwater infiltration, prevents nuclides from reaching the biosphere, and stabilizes the HLW canisters. As swelling capacity is a function of temperature, understanding bentonite’s behavior at approximately 100°C (its presumed upper limit)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been scarce. Henc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of Ca-bentonite at 105°C under injected water pressures. The results suggest a 19% reduction in “swell index” and a 35%–36% decrease in the total pressure in thermally treated bentonite. The heated samples demonstrated higher hydraulic conductivity than the non-heated ones, indicating potential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controlling the fluid movement. Furthermore, the injected water pressure (base pressure) was not fully transmitted to the sample ow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and back pressures, leading to variations in the total pressure despite maintaining a constant differential pressure. Thus, the results demonstrated a degradation in bentonite’s swelling capacity and its compromised role in safe HLW disposal, when subjected to treatment at 105°C. The insights from this research can assist in HLW repository design,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to bentonite’s performance.
        4,500원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인 임진강과 북한강을 대상으로 하이드로 헤 게모니 이론을 적용하여 남북한 협력과 갈등의 역학을 분석했다. 임진강 과 북한강에서 북한은 상류국으로서 지리적 우위를 가지지만, 남한의 대 응 전략에 따라 북한의 일방적 헤게모니 행사가 제한되었고 협력의 가능 성이 나타났다. 임진강에서는 남한이 하류 지역에 대한 통제와 군남댐 등 전략적 시설의 기술적 우위, 대체 수자원 확보, 생태 평화 담론을 활 용함으로써 북한의 일방적인 헤게모니 행사가 효과적으로 제한되었다. 반면, 북한강에서는 북한은 유량 조절, 기술 격차와 불안정한 수자원 관 리 능력, 절대적 영토주권주 담론을 통해 일방적인 헤게모니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남한은 수도권 상수원의 전략적 중요성과 높은 의 존도로 인해 북한의 권력 행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 다. 본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에서의 갈등 양상이 유역별 특성에 따라 다 르게 나타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별화된 접근 전략과 비헤게모니 국가의 대응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7,700원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management priority of small catchments in the Nam River basi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impac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ater quality data from the Water Environment Measurement Network and additional field survey data were collected to understand the water quality status at the small catchment level. The management priority was calculated by integrating data on pollution sources, land cover, and runoff using a weighted method. As a result, the E08-2 small catchment, located downstream of the Nam River, showed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A18, B09, E04, and A19. The main factor influenc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priority was the pollution source characteristics within the small catchment, especially the influence factor and land use con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Nam River basin by identifying the priority by small catchment through analysi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4,000원
        5.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mage to masonry walls can occur for various factors. It is often believed that heavy rains and increased rainfall cause soil and sand to flow into the stone masonry walls, leading to this damage. However, no research has definitively proven or analyzed this causal relationship.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auses of damage to masonry walls due to severe rainfall and to propose preventive strategies to mitigate future risks. The assessment found that, as a form of cultural heritage, the stone masonry walls did not exhibit any structural or material issues that could compromise their stability. However, concerns were raised about potential problems arising from hydraulic pressure due to rising groundwater levels. Calculations and computer simulations confirmed that the risk of collapse increases with higher groundwater level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repairs and reinforcements to prevent a recurrence of this situation.
        4,000원
        6.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멘트 기반의 재료들은 친수성 및 다공성을 가지고 있어 물과 이온의 침투가 쉽게 발생함에 따른 다양한 내구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현재 발수 코딩제, 페인트 등을 이용해 구조물 표면에 도포하여 외부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코팅제의 지속적인 재도포에 따른 유지관리 주기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수성 혼화재료를 시멘트 혼입한 발수성 모르타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수성 모르타르의 발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세관 흡수, 염 결정화 내구성, 물의 접촉각 시험 등을 진행하였다. 또한 열중량 분석,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발수성 혼화재료가 시멘트 수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발수성 혼화제의 혼입은 압축 및 휨 강도를 일부 저하시켰으나, 모세관 흡수율 및 염 결정화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열중량분석 및 X-선 회절 분석 결과, 발수성 혼화제가 클링커 입자 표면에 흡착하여 초기 수화 반응을 지연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적으로 총 수화물 생성량을 감소시켜 모르타르의 역학적 성능 저하를 초래하였다.
        7.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 주행 시 차량의 제동거리 확보와 곡선부 주행 안전성은 도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강우로 인해 형성되는 수 막은 타이어와 노면 간 마찰력을 저하시켜 제동거리를 증가시키고 주행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존 도 로 설계에서는 습윤 상태에서의 마찰계수를 기준으로 하지만, 측정 방식마다 수막두께 기준이 상이하여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RL 및 Gallaway 수막두께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로 및 기상 조건에서의 수막두께를 예 측하고, 실측 실험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모델을 선정한 후, Gallaway의 마찰계수 예측식을 적용하여 강우강도, 배수 거 리, 포장 경사, 노면 조직 깊이, 타이어 트레드 깊이에 따른 마찰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강우강도가 증가하 고 배수 거리가 길어질수록 수막두께가 증가하면서 마찰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대로 포장 경사와 노면 조 직 깊이가 증가할 경우 배수 성능이 향상되어 수막두께가 얇아지고 마찰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마찰 계수 변화는 도로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강우가 심한 조건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곡선부에서는 더 큰 반 경이 필요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설계속도가 높은 구간이나 수막두께가 깊이 형성되는 구간, 타이어 트레드 깊 이가 얕은 경우 현행 도로 설계 기준이 요구하는 정지 시거를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곡선부에서도 동일 한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강우 조건을 반영한 도로 설계 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며, 배수 성능을 강화하고 마 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포장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강우 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적 속 도 제한 시스템 도입 및 유지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강우 조건을 고려한 정지 시거 및 곡선 반경 설계 기준을 마련함으 로써 도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8.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의 빈도 증가로 구조물의 손상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물의 보 수·보강을 위한 친환경 숏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진행하였다. 자연섬유와 나노버블수를 혼입하여 진행하였다. 자연섬 유는 수축·균열 억제 효과를 가지며 내구성 증진으로 구조물의 공용수명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노버블수는 포집된 이산화탄 소를 사용함으로써 탄소배출 절감 효과를 가지며 리바운드 저감의 효과로 시공재료비 절감 효과를 갖고, 초기강도 증진으로 급결제 사용량 감소로 인한 환경오염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바운드율, 레올로지 및 붙임두께, 숏크리트 실험 후 평균 소 성수축 균열을 분석하였으며 펌핑성, 워커빌리티, 균열 저감 효과, 시공성 등을 확보하였다. 또한 자연섬유와 나노버블수를 혼입한 친환경 숏크리트를 통해 환경오염 개선, 탄소배출 절감, 시공재료비 절감, 구조물의 공용수명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9.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상용 폴리염화비닐을 개질하여 두 종류의 PVC 기반 이온교환용 고분자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개질된 두 이온교환 고분자를 활용한 전기방사 공정과 열 압착 공정을 거쳐 2차원 계면(2D-PVC-BPM)과 3차원 접합부 (3D-PVC-BPM)를 갖는 바이폴라막(BP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3D-PVC-BPM은 2D-PVC-BPM에 비해 우수한 물 분해 효율 및 안정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300 mA cm-2의 고전류 밀도에서 3D-PVC-BPM은 2D-PVC-BPM가 나타낸 전위보다 4.4 V 낮은 8.05 V의 막 전위를 나타냈다. 더욱이, PVC 주쇄가 가진 내화학성 덕분에 3D-PVC-BPM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높은 화 학적 안정성을 보였고, 이는 4 M H2SO4 및 4 M NaOH 용액에 28일간 침지한 후 관측된 질량 손실이 각각 2.8%와 2.1%에 그친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끝으로, 3차원 접합부가 3D-PVC-BPM에 맞물림(interlocking) 효과와 넓은 계면면적을 제공해준 덕분에 3D-PVC-BPM의 인장 강도는 36 MPa를 초과했고 신장률 또한 약 50%에 이르는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냈다.
        4,300원
        1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다목적 선박(MPV)의 공기역학적 구조물 설계, 분석 및 향상을 통해 그린 워터 압력에 의한 구조적 안전을 보장하고, 탈탄소화 및 에너지 효율성에 이바지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유한 요소 분석(FEA)을 통한 초기 평가에서 좌굴 발생에 대한 잠재적인 취약점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재(Carling stiffener)와 두께 증가를 통하여 응력을 재분배하고 국부적인 좌굴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였다. 보강 후 분석 결과, 한국선급(KR)의 안전 기준인 항복 강도, 미국 선급(ABS) 좌굴 강도 및 노르웨이 표준(NORSOK) 변 위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고유치 좌굴 해석 결과가 안전 기준을 초과하고 최대 변위가 허용 한계 내에 있는 등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선은 극한의 해양 조건에서 운영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공기역학적 항력 감소와 구조적 안전성의 이중적인 이점을 강조하며, 국제 해사 기구(IMO)의 2050 탈탄소화 목표에 부합하는 연료 효율성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이바지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다양한 선박 유형에 걸쳐 항력 감소 기술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해양 운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는 구조적 안전 평가를 가속할 수 있는 단순화된 모델링 기술 개발에 집중할 것이다.
        4,200원
        1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에서 수인목판화가 사회주의 민족미술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그 주요 특징 을 고찰하였다. 2017년 수인목판화기법이 북한의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수 인목판화는 여전히 북한 미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수인목 판화가 대두하게 된 배경을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50년대 말 북 한 미술계에서 동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화를 민족적 양식으로 재발견하였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한 수인목판화의 기법을 도입하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 중반 북ㆍ중 외교갈등 속에서 북한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주체미술론을 바탕으 로 출판미술에서도 조선화화법의 도입을 요구했다. 둘째, 1991년 김정일의 「미술론」 발표 이후 북한 미술계는 수인목판화를 민족판화로 주목하며 그 민족적 독자성을 강조했다. 본 연 구는 또한 북한 수인목판화의 주요 소재를 체제선전, 전통풍속, 자연풍경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북한 수인목판화는 여성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통한 체제선전과 인민 의 정신함양을 도모하는 점에서 중국 수인목판화와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특히 북한 수인 목판화와 중국 수인목판화가 각각 조선화와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과 담채의 처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북한 민중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작품들은 북한 당국의 민족체육 정책과 관련이 있는데, 수묵과 색조의 농담 보다는 먹선으로 윤곽을 잡고 수성안료로 색을 표현한 북한 초기 배운성의 수인목판화 특징 이 엿보인다. 북한의 수인목판화는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하는 대표적 시각예술로, 민족 주의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8,000원
        1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식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성분,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증 분석을 기반으로 효능을 평가하였 다. 그 결과, 다라수 씨앗 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16.50 mg/100g, 총 폴리페놀 699.66 mg/100g, 비 타민 C 4.44 mg/100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 가하였다. 대조군과의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은 200 ㎍/㎖ 농도까지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해당 농도에서 iNOS 유전자 발현량과 NO 생성량, TNF-α 발현량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안전한 식품 원료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을 기반으로 한 신규 식품 개발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 으로 기대된다.
        4,200원
        1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신선 채소의 병원성 미생물 제어를 위해 phytic acid (PA)가 포함된 30 mg/L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의 세척 효과를 평가하였다. 로메인 상추, 방울토마토, 당근에 Escherichia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를 접종하고 수돗물 또는 SAEW-PA 소 독수로 5분간 세척하였다. 전반적으로, 시료를 SAEW-PA 로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 모두 방울토마토와 당근 보다 로메인 상추에서 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 구는 또한 식품 접촉 표면인 고무, 플라스틱 및 스테인리 스 스틸의 S. Typhimurium 바이오 필름에 대한 SAEW-PA 소독수의 세척 효과를 평가하였다. S. Typhimurium 바이 오 필름은 고무 재질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고, 플라스틱 과 스테인리스 스틸이 그 뒤를 이었다. 세척 효과는 식품 접촉 표면 및 세척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SAEWPA 소독수로 1분간 세척하는 것이 스테인리스 스틸에 가 장 효과적이었으며 고무 및 플라스틱에 미치는 영향은 적 었다. 세척 시간을 5분으로 연장하면 모든 표면에서 바이 오 필름 제거 효과가 향상되었다. 특히 고무 재질에서 NaClO에 비해 SAEW-PA 소독수가 바이오 필름을 더 효 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식품 산업에서 고무 장갑과 같은 고무 표면을 소독하는 데 SAEW-PA 소독수를 활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oneering effort of Korea's distant water fisheries can be traced back to 1957 when Jinam-ho, affiliated with Jedong Industry Co., embarked on a tuna longline sea trial in the Indian Ocean. The success of this sea trial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it laid the groundwork for Korea to venture into the Pacific tuna fishing grounds, which were predominantly domin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distant water fisheries experienced remarkable growth in a short period, from the inception period in the 1950s, the pioneering period in the 1960s, the growth period in the 1970s, and the development period in the 1980s. However, a series of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cluding the global oil crises of 1973 and 1978, the declaration of 200-nautical-mile zones by coastal states in 1977, and the adop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in 1982 and the United Nations Fish Stocks Agreement (UNFSA) in 1995, made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distant water fisheries inevitable. In particular, UNFSA grants the authority to conserve and manage fisheries resources to the Regional Fisheries Management Organizations (RFMOs), and stipulates that coastal states and fishing nations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RFMOs. In order to reclaim the once vast fishing grounds and secure maritime territories, it is imperative to have both the keen attention of the fishing industries and the strategic support of the government. In addition,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faithfully fulfill the role as a responsible fishing nation and contribute to RFMOs by strengthening scientific activities.
        4,000원
        15.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with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using data from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8,419 adults aged 19~49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sufficient intake of both water and fiber (Type 1) (n=2,235), (2) wat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fiber (Type 2) (n=1,470), (3) fib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water (Type 3) (n=1,031), and (4) deficiency in both water and fiber (Type 4) (n=3,683).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compared. Type 4 had more female (p=0.028), older adults (p<0.001), an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0.001) than Type 1. Type 1 consumed breakfast more frequently (p<0.001). Nutrition label recognition, usage of nutrition label, and all nutrient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ype 1 but the lowest in Type 4. Type 1 also had better dietary variety score and nutritional qual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equate water and fiber intake for balanced nutrition and suggest that targe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male and low-income groups with insufficient intake.
        4,000원
        16.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류가 발생하는 낙동강에 위치한 정수장에서 남세균 및 마이크로시스틴(MC)을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틴 분석을 위한 독소 추출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수처리 공정별로 취수원수, 착수정수, 전오존 처리수, 응집⋅침전 처리수, 여과 처리수, 정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탁도와 클로로필-a 농도는 공정 진행에 따라 크게 감소하며 남세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틴 분석을 위해 세포 내 독소 추출을 위한 초음파 처리, 동결/해동법, 메탄올 추출법을 비교한 결과, 동결/해동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추출 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 수행 시 남세균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모든 샘플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농도 남세균 발생시 정수장 공정별 남세균 및 독소 농도에 대한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정수처리공정은 남세균과 독소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공정에서의 남세균과 독소의 제거 능력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4,600원
        17.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수지에서 저수조를 포함한 대수용가의 수도꼭지에 이르는 구간에서 탁도와 잔류염소 농도의 시간적⋅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은 배수지, 중블록 유입 지점, 대수용가 유입 지점, 저수조 유출 지점, 수도꼭지 등 5개 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유량, 잔류염소, 탁도, pH, 전기전도도, 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돗물 이동 경로를 따라 잔류염소 농도는 점차 감소하고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비업무시간대에는 수돗물 정체로 인한 수질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한, 저수조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계수를 산출한 결과, 시간에 따른 저수조 내부 건전성 저하와 수질 악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돗물의 이동 거리, 사용 시간대, 유량 변화 및 공급 방식에 따라 수질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저수조에 의존하는 지역에서는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4,300원
        1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수온 및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동해 연안의 냉수대 출현 빈도를 파악하고,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 한난류(East Korea Warm Current, EKWC)의 경로 변동과 냉수대 출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8월 울기 앞바다에서 냉수대 출현빈도는 45%로 가장 높았고, 감포(33%)와 부산(22%)이 순으로 동해남부 지역에서 냉수대 출현했다. 동해 남부 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EKWC는 북위 36.5°를 지나면서 경로 변동이 나타난다. EKWC 주요 경로 변동은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진다. 첫 번째는 해안에 인접하여 북향하는 EKWC의 경우(On-coastal), 두 번째는 후포해안에서 약 40km 떨어진 129.7°E선을 따라 북향하는 경우(Normal), 그리고 세 번째는 해 안에서 멀리 떨어진 경로를 통해 북쪽으로 진행하는 경우(Off-coastal)이다. EKWC의 세 가지 경로 변화에 따른 울기연안에서 냉수대가 출현 확률은 해안에 인접하여 북상 할 때 22%, 경로 변동없이 북상 할 때 0%, 그리고 외해역으로 북상할 때 91%였다. 또한 후포라인의 각 정점 (H-01~H-10)의 유동특성과 울기해안 수온과의 상호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후포 연안의 EKWC 경로의 변화는 울기연안의 냉수대 출현과 높 은 기여도가 나타났다. 후포 연안해역(H-01~H-03)에서 유속과 울기 수온의 Coherence는 0.7보다 높고 외해역(H-06 ~ H-10)에서는 0.5보다 낮 은 Coherence를 보인다. 따라서 울기연안 냉수대 출현은 후포연안에서 EKWC 유동 변동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19.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해 사과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가뭄 에 대응하기 위한 새롭게 개발된 ‘지중스틱’의 영향을 조사하 였다. 지중스틱이 ‘후지’ 사과나무(Malus domestica Borkh.) 의 증발산량, 상대엽수분함량, 토양체적수분함량에 어떤 영 향을 주는지 스프링클러 관수 방식과 비교하였다. 2022년과 2023년에 지중스틱으로 측정된 일별 증발산량은 스프링클러 보다 각각 37.2%와 71.4% 낮았다. 시간별 평균기온에 따른 2022년과 2023년의 지중스틱 증발산량은 스프링클러보다 48% 및 51% 낮았다. 2023년에 측정된 스프링클러와 지중스 틱의 증발량은 평균기온 15°C에서 0.04L·h-1, 0.03L·h-1였고, 평균기온 40°C에서 0.54L·h-1, 0.14L·h-1였다. 관수 시스템에 따른 ‘후지’ 사과나무의 상대엽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스프 링클러와 지중스틱을 통해 각각 26L, 16L를 관수하였을 때의 상대엽수분함량은 관수 전과 비교하여 각각 관수 4시간 후, 24시간 후에 유의하게 증가했다. 동일한 시간 동안 스프링클 러와 지중스틱을 통해 관수를 적용한 후, 10cm, 20cm 깊이에 서 토양 체적수분함량(Volumetric Water Contents, VWC) 을 측정하였다. 스프링클러는 깊이에 따른 토양 VWC에 차이 가 없었다. 반면, 지중스틱으로 관수했을 때, 20cm 깊이의 VWC가 10cm 깊이의 토양 VWC보다 더 많이 변화했다. 그 러나 지중스틱의 토양VWC는 스프링클러와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지중스틱과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동일시간의 관수 에서 지중스틱의 처리에서 낮은 증발산량을 보였으며, 스프 링클러보다 40% 적은 관수량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20.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drogen production via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rel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hotoelectrodes. Preparing low-dimensional structures of oxide semiconductors is a promising approach to fabricating effective photoelectrodes, by enhancing the surface-to-volume ratios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photo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type oxide semiconductor cupric oxide (CuO) photocathodes based on CuO thin film and nanorods. The CuO thin film was prepared via a facile method involving sputtering a Cu metallic film and subsequent thermal oxidation, while the CuO nanorods were grown via a seed-mediated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using a CuO nanoparticle seed layer. The structural, optical, and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uO thin film and nanorods were comparatively examined.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 CuO nanorod photocathode has a higher photocurrent density and better photoconversion efficiency than the CuO thin film photocathode for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implying a promising route to the fabrication of CuO-based photoelectrod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