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한국, 중국, 필리핀산 흰등멸구의 계량형태학적 차이를 분석하기를 위하여 총 89개 부분의 형태적 특징(촉각 34, 다리45, 주둥이10)을 조사하고 계량형태적 분석을 위하여 정준 판별분석법을 이용하였다. Scatter plot diagram 상에서 3개 집단의 중심점은 분리현상이 뚜렷하였고 그 정도는 단시형 암컷에서 크게 나타났다. Mahalanobis distance(MD)는 단시형 암컷의 경우 3개 집단 모두 5%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장시형 암컷의 경우 MD는 중국산 대 필리핀산, 한국산 대 필리핀산이 각각 0.1%, 1%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나, 중국산 대 한국산은 유의성이 없었다.
        4,000원
        3.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등멸구 약충에 기싱햐는 Pseudogonatopus nudas벌의 생태를 실내(26~)에서 조사하여 앞으로 약충기생벌의 인공사육 및 벼 해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난기간, 유충기간, 전용기간 및 용기간은 2.5일, 7.8일, 2.7일 및 14.2일 이었으며, 난에서 성충기까지 발육기간은 27.2일이었다. 성충의 우화는 83.5%가 아침인 6~10시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충의 평균수명은 꿀벌과 흰등멸구 약충을 먹이로 함게 넣어 주었을 경우 수컷은 3.4일, 암컷은 11.8일이었고, 암컷의 평균산란수는 25.3개 였다. 성충의 산란기간은 5.4일 이었다. P. nudas는 기주인 흰등멸구 약충 1령과 성충에는 산란을 하지않았으며 3령층에 68.8%, 2령충 19.6%, 4령충 11.0% 및 5령충에 0.6%로 각각 나타났다.
        4,000원
        4.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cational and ovipositional preferences of the single and mixed populations of the brown planthopper(BPH), Nilaparvata lugens (Stal), and the whitebacked planthopper(WBPH),Sogatella furcifera (Hovath), with the different popula-tion densities at seeding, max-tillering, boot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y seonam by대. The WBPH showed a locational preference for the upper portion while the BPH was observed to stay generally on the lower portion regardless of rice growth stages, population density-levels and the single or the mixed populations of two species. At seeding, max-tillerinf, boo-tring and heading stage, the preference for the lower portion of the rice plants was found to be slighty reduced with the lapse of time, respectively, from the single or the mixed popula-tions of both the species. Ovipositional lication of both the species was found not to be affected by the different population densities at rice growth stage. Although the BPH prefered a ovi-positional location for the lower portion at seeding, booting and heading stages, its preference-was somewhat reduce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rice plants, whereas the WBPH showed a ovipositional preference for lower portion at seeding stages, but prefered the same tendency of ovipositional preference for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 The location and ovipositional preferences we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competition between species with the mixed populations rather than single.
        4,000원
        5.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내충성품종을 선별하는 데 방사성동위원소인 P-32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흰등멸구에 대해 기왕에 저항성 및 감수성으로 판정되어 있는 10개 품종을 선별하여 섭식량과 식이선호성간의 관계를 조사중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충의 식이선호도와 P-32 섭식량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수칭유묘를 표식할 때는 근부와 엽의 길이 및 수를 일정하게 한 후 침적시키는 것이 P-32의 균일성을 인정할 수 있었다. 3. 내충성 검정시 공시충은 성충을 이용하는 것이 약충을 이용하는 것 보다 품종간에 상대적인 비교가 용이하였다.
        3,000원
        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natural products (DNP7, 9) in responding to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feeding. Resistant rice (cv. Cheongcheong ), susceptible rice (cv. Nagdong) and susceptible control rice (cv. TN1) were used as materials for WBPH infestation in seedling stage. The treatment was conducted by spraying DNP 7 and 9 for 100 ppm to materials before being fed to 2nd and 3rd instar WBPH while control group was not sprayed DNP 7 and 9. The density of WBPH was 7 insect per plant. As a result, WBPH survival rate of 57% was found in the DNP 7 treatment, whereas those in DNP 9 and control were 27% and 71%, respectively. Resistance score of Cheongcheong, Nagdong, and TN1 in DNP 7 treatment were 3.4±0.8, 5.9±1.9, and 6.8±1.6, respectively, while those in DNP 9 treatment were 1.6±0.8, 4.7±1.6, and 7.9 ±1.4,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s of Cheongcheong, Nagdong, and TN1 in DNP 7 treatment after 3 week infestation were 19.7±3.0, 23.4±7.5, and 15.8±8, respectively while those in DNP 9 treatment were 32.4±4, 26.3±12.7, and 25.9±8.5, respectively. Moreover, chlorophyll content was examined 3 week post infestation. In both DNP 7 and DNP 9 treatment, the chlorophyll levels of Cheongcheong and Nagdong in were higher than that in control. Based on observation and bio-scoring, plant with DNP 9 was strongly resistant to WBPH feeding and the survival rate of WHPB was lower than plant with DNP7.
        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is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s of rice. The nymphs and adults suck the phloem sap which causes reduced plant vigor, stunting, yellowing of leaves. We employed a mapping population composed of 113 doubled haploid lines (DH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resistant cultivar ‘Cheongcheong’ and susceptible cultivar ‘Nagdong’, to identify th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 WBPH resistance. The DH population was evaluated for resistance to WBPH using seed box screening test. The WBPH resistance of each lines or plants was estimated when susceptible check ‘Nagdong’ was killed using 1-9 scale according to Standard Evaluation System for Rice (IRRI, 1988). A linkage map was constructed with 119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using the Joinmap 4 software program to adjust for segregation distortion. Transgressive segregation was observed on WBPH resistance. Two significant QTLs conferring resistance to WBPH, qwbph6.1 and qwbph6.2, were detected in the regions of RM588-RM276 and RM527-RM528 on chromosome 6 with LOD scores of 3.7 and 2.4, respectively. They collectively explained 55% of phenotypic variation. These two QTLs have large effects on WBPH resistance and may be useful for establishment of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 in the rice breeding programs.
        9.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에서 흰둥멸구 저항성 유전자 Wb ph 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N22와 Wb ph 2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ARC 10239에서 묘령별ㆍ얼자별로 흰등멸구 약충생존율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N 22와 ARC10239는 다 같이 묘령에 따라 약충생존율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경향은 품종에 따라 달랐다. ~circled1 N 22는 7일 묘부터 30일 묘까지 약충생존율이 매우 높고, 40일 묘에서 급격히 낮아지며, 생육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2 ARC 10239는 7 일 묘에서 약충생존을이 매우낮고, 그 후 점차 높아지다가 40일 묘에서 다시 낮아져 생육후기까지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N22와 ARC10239는 다 같이 얼자간에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있었고,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묘령에서 얼자간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적었으며, 얼자보다는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10.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에 있어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N22(Wbphl)와 ARC 10239(Wbph2)의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연관 분석을 하기 위하여 V번 연관군을 제외한 11개 연관군의 표식 유전자를 가진 semi-dwarf 초형의 검정친과 N22및 ARC10239와의 교잡 F2 세대에서 12개 표식 유전자의 유전양식을 조사하고 F3 세대에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의 분리를 조사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연관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22와 검정친들과의 교잡 세대 F2 에서 lg, d-t, g, la, nl, bl, gl 둥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이론치에 맞게 분리하였으며, Cl, gh, Lh, bc 등 4개 형질은 오차가 컸지만 대체로 이론분리비에 비슷한 분리비를 보였다. 2. ARC 10239와 검정친들과의 조합 F2 에서 Cl, lg, Pn, g, la, bl, gl 등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분리하였으며, gh, Lh, nl, bc 등은 이론분리에 비하여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3. N22의 Wbph1 유전자와 ARC 10239의 Wbph 유전자는 단순우성유전자이었으며 저항성 계통, 분리계통 및 감수성 계통의 분리비는 모든 조합에서 1 : 2 : 1 의 이론치에 합당하였다. 4. Wbph1은 II번 연관군의 liguleless (lg)와 36.8%의 조환가로 연관되어 있으며 Black hull(Bl)과도 35.9%의 조환가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h는 II번 연관군의 Ph(Phenol staining)와 보족적으로 발현됨 을 고찰하였다. 5. Wbph 2는 검정된 I,II,III,IV,VI,VII,VIII,IX,X,XI,XII번 연관군의 Cl, lg, Pn, g, gh, Lh, la, nl, bl, bc, gl, Bh와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에서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 Wbph2의 연관관계가 분명하지 못한 것은 사용된 Marker 유전자가 염색체상에서 저항성 유전자와 원거리에 있거나 Marker 형질의 발현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7. Wbph2의 연관관계는 본 실험에서 검토되지 못한 V번 연관군을 포함하여 독립성 검정에서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난 Ⅶ, Ⅷ, Ⅹ 및 XII 번 연관군과의 조합에 대하여는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