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팽나무버섯의 균사배양 중 배양기 내부 통기성 개선 KCI 등재

Studies on the aeration improvement of inner bottle culture system during the mycelial culture of Flammulina veluti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팽나무버섯 병재배(1,100㎖)에서 배양기 내 통기성이 팽나무버섯의 균사생장과 버섯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병 내의 통기성은 배양병 뚜껑에서 천공의 상하 위치와 구경 크기로 조절하였고, 통기성 처리의 효과로는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 수분함량 변화, 키틴 함량, 유리당 함량, 자실체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팽나무버섯 균사배양 중 대수기 정점에서의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조구인 비통기성 무스폰지 뚜껑과, 천공 크기가 작은 뚜껑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 팽나무버섯 균사 배양체 내유리당 함량은 구멍 크기가 47mm로 상하로 천공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그리고 구멍 크기가 26~33mm로 하부만 천공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키틴 함량은 26mm 크기의 구멍을 하부에만 천공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뚜껑에서 천공의 위치가 상하 양쪽이고 천공크기가 42㎜~47㎜인 배양병에서는 수분 감소가 많아 발이가 불량하고 자실체 생산량도 적었다. 결론적으로 팽나무버섯 병재배 용기 1,100㎖ pp병에서 최고의 수량을 나타낸 배양병에서의 뚜껑은 상하 천공으로 19㎜ 구멍과 하부만의 천공은 26㎜ 구멍을 내고 통기성 스폰지를 넣은 것으로, 이 때 자실체 생산량은 대조구보다 6~9% 증가하였다.

Ventilation effects of bottles(1,100㎖) for culturing Flammulina velutipes on its mycelial growth and mushroom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he degree of ventilation were controlled with hole positions, upper and under, and hole sizes in the bottle lids. The ventilation effects were measured with the contents of carbon dioxide, free sugars, chitin, moisture in the bottles and with the amount of produced mushrooms from the bottle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within the culturing bottles at exponential mycelial growth period vertex were relatively high in the bottles with lids without both a sponge and an aeration hole, and in those with a smaller hole. Free sugar contents in the mycelia were the highest in those with a 47mm hole on both sides, and in those with 26~33mm holes only underside. Chit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ose with a 26mm hole only underside. On the other hand, the lids with 42mm~47mm holes on the both sides greatly lost water and decreased the mushroom production. In conclusion, the most efficient ventilation hole sizes on the lids for bottle(1,100㎖) cultiv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using 1,100㎖ polypropylene bottle were 19mm on both sides of the lid and 26mm on only underside. They produced more mushrooms than the control by 6~9 %.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액체종균 제조
  입병, 접종 및 배양
  배양 중 병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균상 상부의 배지 수분 측정
  시료의 화학적 특성 분석
  배양 후 생육 및 수확
 결과 및 고찰
  팽나무버섯 병 배양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팽나무버섯 재배방법에 의한 배지 수분의 영향
  팽나무버섯 시료의 화학적 특성
  팽나무버섯 배양 후 생육 및 수확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김명곤(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 김명곤
  • 김영석( 전북대학교 농화학과) | 김영석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구창덕
  • 유영진( 전북농업기술원) | 유영진
  • 심규광((주)팔오테크) | Kyu-Kwang S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