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도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The Mediating Role of Moral Ident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130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5.22.2.2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도덕적 정체성이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여러 연구들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규명되었으나 어떠한 과정으로 결과변수에 영향력이 나타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무척 중요하다. 조직시민행동은 Williams와 Anderson(1991)의 연구를 토대로 개인,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였으며 도덕적 정체성은 Aquino & Reed Ⅱ(2002)의 연구에 기반하여 내재화와 상징화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정체성은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있으므로 조직시민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윤리적 리더십 발휘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도덕적 정체성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중요하며 이러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져야만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moral ident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consists of OCBI and OCBO based on Williams & Anderson(1991). moral identity consists of internalization and symbolization based on Aquino & Reed Ⅱ(2002).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y a review of literature.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survey method was performed. A total of 317 employees who work in different organization or business unit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OCB.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partially medi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CB. Based on the results, ethical leadership is critical determinants of OCB. so that if some company want to increasing the employees’ OCB that must articulate the ethical leadership effort. and ethical leadership formulate employees’ moral identity, and then moral identity leading to OCB. that means we show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impact on the OCB.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2. 도덕적 정체성
Ⅲ. 연구방법
   1. 조사방법과 표본구성
   2. 변수의 측정
Ⅳ. 실증분석 결과
   1. 변수의 타당도
   2. 기술통계량, 신뢰도와 상관관계
   3. 연구가설의 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두주(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 Du, Zhou
  • 조윤형(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조교수) | Cho, Yoon Hy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