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지별 곰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KCI 등재

Anti-oxidant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Ethanol Extracts from District Area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곰취의 국내 산지별(태백, 정선, 양구, 평창, 인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곰취의 유효성분 분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산 지별 곰취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탐색 및 소재 개발 가능 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1.77%, 98.95%로 높은 항 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 고, 100 μg/mL의 농도에서 290.19±5.79 μM TE/g으로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가운데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로부 터 유효물질 5개(chlorogenic acid (1), neochlorogenic acid (2), isochlorogenic acid A (3), isochlorogenic acid B (4), isochlorogenic acid C (5))를 분리하여 곰취 compound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 물과 유사하게 compound 4, 5 (isochlorogenic acid B, isochlorogenic acid C)의 농도에 따라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89.76%, 92.72%)과 ABTS 라디칼 소거능(99.09%,98.95%)이 관찰되었고, ORAC assay에서도 compound 4, 5에서 각각 362.56±5.91 μM TE/g, 362.35±1.92 μM TE/g 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산지별 곰취 50% EtOH 추출물 가운데 인제산 추출물이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 한 인제산 곰취 추출물에는 높은 항산화 활성 성분(compound 4: isochlorogenic acid B, compound 5: isochlorogenic acid 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곰취의 항산화 활성을 보유한 기 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gularia fischeri (LF) (Ledebour) Turczaninow (Compositae) has been used as a medicine to treat erysipelas, scarlet fever, and rheumatic arthritis in traditional eastern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LF using a variety of in vitro systems, DPPH, ABTS, and ORAC. To assess and compare the anti-oxidant effect and production places of LF, the ethanolic extract of LF from different places in Korea (Taebaek, Jeongseon, Yanggu, Pyeongchang, and Inje) were prepared. However, only the extract from Injecounty did have anti-oxidant activity, while other extract had little or no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the compounds of LF ethanolic extract from Inje-area, such as 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were investigated in the same analysis.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were the best effect of anti-oxidant among these compound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provide the first descrip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LF from different production places in Korea, and suggest that LF from Inje-area has anti-oxidant effect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재연((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 | Jae Yeon Lee
  • 조영락((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 | Young-Rak Cho
  • 안은경((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 | Eun-Kyung Ahn
  • 서찬곤((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 | Chan Gon Seo
  • 김진규((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 | Jin-Kyu Kim
  • 서동완(단국대학교 약학대학) | Dong-Wan Seo
  • 오좌섭(단국대학교 약학대학) | Joa Sub 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