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곰취의 국내 산지별(태백, 정선, 양구, 평창, 인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곰취의 유효성분 분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산 지별 곰취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탐색 및 소재 개발 가능 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1.77%, 98.95%로 높은 항 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 고, 100 μg/mL의 농도에서 290.19±5.79 μM TE/g으로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가운데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로부 터 유효물질 5개(chlorogenic acid (1), neochlorogenic acid (2), isochlorogenic acid A (3), isochlorogenic acid B (4), isochlorogenic acid C (5))를 분리하여 곰취 compound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 물과 유사하게 compound 4, 5 (isochlorogenic acid B, isochlorogenic acid C)의 농도에 따라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89.76%, 92.72%)과 ABTS 라디칼 소거능(99.09%,98.95%)이 관찰되었고, ORAC assay에서도 compound 4, 5에서 각각 362.56±5.91 μM TE/g, 362.35±1.92 μM TE/g 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산지별 곰취 50% EtOH 추출물 가운데 인제산 추출물이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 한 인제산 곰취 추출물에는 높은 항산화 활성 성분(compound 4: isochlorogenic acid B, compound 5: isochlorogenic acid 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곰취의 항산화 활성을 보유한 기 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momum tsao-ko Crevost et Lemarié, (Zingiberaceae) is widely distributed among several countries in South Asia and Southeast Asia. It is a well known spice in Asia, produces a nice refreshing effect in the mouth. Additionally, it's dried fruit i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for cardiac diseases, edema, eye trouble, skin, itch and impot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from A. tsao-ko. Methods and Results : The fruits of A. tsao-ko were extracted with 80% EtOH two times at room temperature. The EtOH extract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partitioned with solvent to give CH2Cl2, EtOAc and n-BuOH. The CH2Cl2 was suspended in n-hexane and partitioned with solvent to give 50%, 70% and 90% MeOH. The purification of each fraction by column chromatography separation and HPLC analysis. Consequently, sever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ive known compounds. The identific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using NMR (1D and 2D) and mass spectrometry. Conclusion :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fluorenone (1), phenanthrene (2), anthracene (3), methyl linolenate (4), 1,2-benzenediol (5). All isolate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momum tsao-ko (Zingiberaceae) is widely distributed among several countries in Asia. It’s dried fruit is widely used in Korea for medical plant, China and Japan for the treatment of dyspepsia, eliminates, vomiting, abdominal pain, phlegm, warms the spleen, and malaria.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e new compounds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s against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s. Methods and Results : The fruits of A. tsao-ko were extracted with 80% EtOH two times at room temperature. The EtOH extract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partitioned with solvent to give CH2Cl2, EtOAc and n-BuOH. The CH2Cl2 was suspended in n-hexane and partitioned with solvent to give 50%, 70% and 90% MeOH. The purification of each fraction by column chromatography separation and HPLC analysis. Consequently, one new benzaldehyde (1) and two new cycloterpenals (2 and 3) along with five known compounds (4 –8) have been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 tsao-ko. The structure and relative stereochemistry were determined from HRMS, 1D and extensive 2D NMR technique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Conclusion :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motsaokonal A (1), Amotsaokonal B (2), Amotsaokonal C (3), methyl linolenate (4), trans-nerolidol (5), (2E)-dodecenyl acetate (6), (2E)-dodecenyl acetate (7), and pyrrole-2-carboxylic acid (8). All isolate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은 가장 중요한 지역 사회 병원성 균주의 하나로서 항생제 내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감염 치료에 대한 부작용과 내성이 적은 새로운 항생제의 개 발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Cinnamomum camphora는 제 주도에서 자생하는 녹나무과의 식물이다. 민간에서는 신경 쇠약, 간질, 방광염, 신우 신염, 당뇨, 암과 당뇨병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녹나무잎을 추출물하여 임상에서 분리한 메치실린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연구하였 다. 그 결과 녹나무잎 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관찰 할 수 있었 고, 항생제와의 병용처리 녹나무잎 추출물의 MIC와 MBC의 범위는 156-313 ㎍/㎖와 313-625 ㎍/㎖로 판독되었고, oxacillin의 병용 처리의 범위는 1288-256 ㎍/㎖와 128-512 ㎍/㎖, 그리고 ampicillin 의 병용처리 범위는 ㎍/㎖와 8-128 ㎍/㎖로 판독되었다. 녹나무잎 추출물과 항생제의 병용처리는 MRSA 항균활성에 대한 상승효과 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