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러가지 사위 측정법의 비교 분석 KCI 등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distance phoria t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여러 가지 원거리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순방향 및 역방향 측정법으로, Modified Thorington 및 Howell card 측정법은 연속 출현법 및 순간 출현법으로 Test와 R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사위 측정법에 의한 Test와 Retest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Von Graefe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반복 능력이 낮고, Howell 측정법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n Graefe법과 Maddox Rod법 모두 순방향 측정값과 역방향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odified Thorington법과 Howell법 모두 순간 출현법보다 연속 출현법에서 외사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00 및 p=0.009). 각각의 사위 측정법에서 두 가지 다른 조건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편차 범위를 분석한 결과 프리즘을 사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Von Graefe법(0.87△)이 Maddox Rod법(0.54△)보다 약간 크게 검출되었고(p=0.004) 눈금을 이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Modified Thorington법(0.86△)보다 Howell법(0.92△)의 편차범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485). 5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Von Graefe법이 Maddox Rod법보다 외사위가 0.40△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p=0.191), 3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Modified Thorington법이 Howell법보다 외사위가 0.41△ 더 높게 측정되었다(p=0.003). 이상으로부터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거나, 임상에서 검출한 사위량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생각된다.

To analyze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distance phoria tests and compared phoria measured by eight different tests, we performed the test and retest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of Von Graefe and Maddox rod methods, and flashed presentation and continuous presentation with Modified Thorington and Howell card methods on 48 students of the Kimcheon college. Von Graefe method showed the lowest among other tests in repeatability, whereas Howell showed the highest repeatability. The mean of phoria between Von Graefe and Maddox Rod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oth of forward and reverse values, but for both of Modified Thorington(p=0.000) and Howell(p= 0.009), there was a tendency of high exophoria on the continuous presentation compared with the flashed presentation. Also, Von Graefe had about 0.87△ of deviation range which has the result in by measured with prism alignment is higher than that of Maddox Rod which has about 0.54△, but in using a scale for phoria measurement, the deviation range of Howell which has about 0.93△ is higher than that of Modified Thorington which has 0.86△, and tha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485). Von Graefe for phoria measurement is 0.40△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Maddox Rod,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191) and Modified Thorington is 0.41△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Howell card,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p=0.003).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to be useful in analysis of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phoria tests or the accurac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distance phoria.

저자
  • 이규병(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yu-Byung Lee
  • 전순우(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김천대학 안경광학과) | Soon-Woo Jeon
  • 이현주(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Hyun-Joo Lee
  • 이선행(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성덕대학 안경광학과) | Sun-Haeng Lee
  • 박원빈(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Won-Bin Park
  • 마기중(을지 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
  • 박수봉(김천대학 안경광학과) | Soo-Bong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