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안경지원제도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안 보건 지원정책 수립에 대한 주요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6세에서 18세인 1,495명에 대하여 부모의 경제적 요인과 안(눈)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서울 및 경기 소재 지역 아동센터의 청소년(13.43±2.324세)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지원 후 시생활의 변화와 안경지원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근시 유병률은 저소득층에서 60.27%로 고소득층 55.30%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원시 유병률은 저소득층 5.48%, 고소득층 5.06%였고, 난시 유병률은 저소득층이 46.57%, 고소득층 37.88%로 저소득층이 약 9% 정도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1년 이내에 시력검안을 정기적으로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전체에 61.5%인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53.23%가 정기적으로 시력검안을 받는다고 하였다. 전체 대상자(11.56±3.550세)의 굴절이상도(-1.86±2.232D)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상(13.43± 2.324세)과 비교하였을 때 지역아동센터 이용 그룹의 굴절이상도(-2.95±2.423)가 더 높았다. 결 론: 사회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의 자녀의 유병률이 고소득층 그룹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게서 정기적인 시력검진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취약계층 자녀의 안건강 실태를 파악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안경지원 정책을 정립화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need for glasses and the effect of support system did find out about the support policy development and health evidence presented, the main study. Methods: 2010``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sing raw materials 1,495 people 6 to 18 years of age with respect to economic factors, parent``s eyes (ey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the local childr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13.43±2.324 years) glasses support the 100 people who live in the city support effective change and glasses were examined. Results: The prevalence of myopia in the low-income, 60.27% to high-income 55.30% showed a higher prevalence. Raw prevalence of 5.48% low-income, high income were 5.06%, 46.57% have astigmatism prevalence of low-income, high-income to low-income 37.88% prevalence of approximately 9% higher. Refraction test high income within a year on a regular basis who have received that answer, while 61.5% of the total 53.23% in low-income families to receive on a regular basis that refraction was an optometrist. All subjects(11.56±3.550years) with refractive errors (-1.86±2.232D) using a local children``s center and the target(13.43±2.324years) when compared with a group of local children``s center refractive errors(-2.95±2.423) is higherConclusions: Corresponding to vulnerable low-income communities of the children of high-income groups is higher than the prevalence was unknown, but also from relatively low-income families have less chance of regular eye examinations. Therefore not socially disadvantaged children to understand the health situation so that you can lead a normal life with glasses giving support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