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on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Occupational Burnout and Happiness of Correctional Offic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9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정신건강이 교정공무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은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행복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은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건강은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와 행복, 직무소진과 행복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공무원의 행복 증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ccupational burnout and happiness experienced by correctional officials on their happiness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during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occupational burnout on their happines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occupational burnout had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a significant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str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happiness in a significant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burnout had negative influence on happiness in a significant level. Fourth,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had negative influence on happiness in a significant level. Fifth,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had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appiness, between occupational burnout and happiness.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 this study discussed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happiness for correctional offic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정신건강, 행복의 이해
  2. 변수간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및 신뢰도 검증
  4.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의 정규성 분포
  3. 측정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4. 연구모형 검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양점미(전주비전대학교) | Yang, Jeom-Mi
  • 문승연(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Moon, Seung-Ye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