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수용자와 자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우리나라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programs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inmates and their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0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우리나라 교정시설 여성수용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성수용자 위주의 교정정책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접근을 시작 하고 있다. 미성년의 자녀들을 두고 있는 여성이 교정시설에 수용되는 경우 여성수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많은 연구에서 자녀들이 분리로 인한 슬픔, 공허감, 무기력감, 분노와 공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어린시기의 이러한 영향은 장기적으로 자녀들의 정상적인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정시설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어머니와의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교도소 탁아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여성수용자들과 자녀들의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출소후에도 자녀들과의 재결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 외에도 IMPACT, MOLD, CVP, MATCH 등 여성수용자와 자녀들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여성수용자와 자녀관계 회복․개선 프로 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가족사랑캠프, 어머니학교, 가족만남의 날, 가 족만남의 집, 귀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내 실을 다지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정당국과 보건복지가족부․여성부․ 지방자치단체․사회복지기관 등 유관기관과 지역사회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A significant need for an appropriate policy or program for female offenders is a result of an increase in female inmates in Korea. A reflection on the traditional correctional policy that primarily focusing on managing the male offenders, the Korean correctional agency is attempting to plan correctional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female inmates. In particular, most of the female offenders are mothers those who are in charge of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Because of mothers’ incarceration, their children experience a wide range of emotion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throughout their life course. In an effort to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arcerat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U.S. correctional agencies implement diverse programs such as IMPACT, MOLD, CVP, and MATCH. Recently, Korea correctional service is carrying out programs (e.g., family camp for female inmate, mothers’ school, family visit house, and family visit day) for enhancing bonds between female inmates and their children. These programs contributed to build a solid inmates-children relationship which possibly results in a successful offenders' reintegration to the society.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hat should be done. Since correctional system is interdependent with other governmental agencies, correctional system cannot accomplish its own goal without supports and resources from other governmental subsystems (i.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Women, and Civil Organiz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국의 여성수용자와 자녀관계 개선 프로그램
  Ⅳ.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병준(Westfield State College 교수) | Cho, Byung Jun (Assistant professor, Westfield State College)
  • 이희정(법무부 교정본부 사무관) | Lee, Hee Jung (Superintendent, Korea Correctional Servic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