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佛典 緇門警訓에 나타난 ‘示ㆍ視’의 詞義 考 ― ‘見ㆍ看ㆍ觀’과의 異同을 통하여 KCI 등재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Words ‘show (示)’, ‘look upon(視)’ in the ZIWENJINGXIN(緇門警訓) : by Comparison with see (見), look (看), view (觀)

불전 『치문경훈』에 나타난 ‘시ㆍ시’의 사의 고 ― ‘견ㆍ간ㆍ관’과의 이동을 통하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6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佛典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흔히 不立文字라고 하지만, 어찌 글자의 쓰임을 구분하지 않고 문장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마음이라고 다 같은 마음은 아니다. ‘心ㆍ意ㆍ識’이 서로 다른 마음이고, 마음을 닦는다고 할 때 그 마음은 오직 하나의 마음이 아니고, ‘닦아야 할 대상이 되는 마음’, ‘닦고자 하는 주관의 마음’, ‘닦고자 목 표로 설정한 마음’, ‘닦아 나갈 때 마주하는 단계 단계의 마음’, ‘닦아서 종국에 이른 마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불전에서 자주 사용되는 ‘心ㆍ意ㆍ識’이나 ‘不覺ㆍ本 覺ㆍ始覺ㆍ相似覺ㆍ隨分覺ㆍ究竟覺’ 등의 용어를 분명히 나누어 알면, 佛典뿐만 아니 라 한자로 쓰인 문장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佛典에서 자주 쓰이는 ‘보다’類의 動詞로 ‘見ㆍ看ㆍ觀’과 ‘示ㆍ視’ 등에 관해 본고에서는 ‘示ㆍ視’를 ‘見ㆍ看ㆍ觀’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살펴보아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示ㆍ視’는 色境을 앞에 내놓고 보여주거나, 色境이 앞에 놓여있어서 그냥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見ㆍ看ㆍ觀’은 시각 행위의 주체가 시신경에 들어온 사물을 과거의 경험이나 혹은 사회적 배경 등 의도를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둘째, ‘示’는 ‘대상을 드러내 보이다’라는 의미이다. ‘視’는 보이는 대상이 먼저 주어진 다음에 보는 것으로, ‘見’이 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본 후 그 결과를 지식으로 삼는 것인 반면, ‘視’는 色境이 놓여있어서 본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Not all minds are alike. The citta (mind/心), manas (thinking/意) and vijnana (heart/識) are indeed all different (as according to the Sanskrit terms). When one is going through a certain kind of mind training, that mind will not just be of one kind but will be categorized into ‘the mind that needs to be trained’, ‘the subjective mind that desires to be trained’, ‘the mind that has been selected for a certain purpose to be trained’, ‘the mind that will face a step by step process when in the training process’, and finally ‘the mind that has reached its ultimate goal through training’. As such, if one was to know clearly the terms such as the citta (mind/心), manas (thinking/意) and vijnana (heart/識) or the ‘unenlightened (不覺), primal awakening (本覺), activated awakening (始覺), semblance awakening (相似覺), proportional englightenment (隨分覺), ultimate enlightenment (究竟覺)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Buddhist scriptures(佛典), it would be of immense help in further grasping and understanding not only the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the sentenc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above cognizance, verbs such as see (見), look (看), view (觀) as one group and show (示), look upon/regard (視) as the other group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Buddhist scriptures were compared in this research paper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case of ‘show (示), look at (視)’, they are used when the object realm of perception (色境) is put before one for show or one looks at the object realm of perception because it is placed in front of them. On the other hand, the group ‘see (見), look (看), view (觀)’ happens when the protagonist has the intention of wanting to see. Second, show (示) actually means to ‘reveal/expose oneself’ while look upon/regard (視) refers to a situation where the subject of exposure is shown first then looked upon. In short, ‘see (見)’ looks upon the target with the clear intention to see and base the result as one’s knowledge while ‘look upon/regard (視)’ has a stronger meaning in looking upon a subject because the ‘object realm of perception (色境)’ was placed before the protagonist.

목차
【초록】
1. 서론
2. 본론
    1) 示( / / )132/172
    2) 視( / / )741/717
    3) 示ㆍ視와 看ㆍ見ㆍ觀 등의 詞義 異同
3.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안재철(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 Ahn Jae-Cheol
  • 문성호(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 Moon Sung-Ho
  • 김은희(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 Kim Eun-Hee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