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 -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Gold Crown of Silla -Focusing on Iconography(圖像, shapes and patter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1,4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신라 금관(특히 경주 출토 5점)은 신라 최고위층이 사용한 최고 품격의 모자이다. 이들은 원형 관테의 위로 세운 장식인 입식(立飾)과 아래로 드리운 장식인 수식(垂飾)이 중심이 되는 형태이고 그 표면에는 다수의 곡옥(曲玉)과 영락(瓔珞)을 매달 고 점선문・점열문・원문・삼각문・덩굴문 등의 문양들을 점으로 표현하였다. 이 중에서 입식은 나무 모양을 도안한 세 산자 모 양<山字形. 또는 출자 모양出字形>과 두 사슴뿔 모양이다. , 필자는 이 논문에서 신라 금관의 형태(나무・사슴뿔・연꽃・곡 옥・영락・수식)과 문양(삼각문・덩굴문・원문) 모두가 기(氣・기운・ 기력)와 생장(生長) 표현이라는 주장을 거듭 주장, 강조하였다.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은 생동감・생명력・힘・성장・발전 나아가 신이와 화생(化生)까지도 아우른다. 신라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을 분석하면 첫째 입식(나무와 사슴뿔) 등의 형태를 기와 생장의 대표 주자인 연꽃 모양으로 변형한 것, 둘째 금관 표면에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 신석 기・청동기시대부터 기와 생장을 대표하는 삼각문・덩굴문・원문 을 표현한 것 셋째 기와 생장 표현 모두를 연꽃으로 인식하고 상호 동격・교호(交互)・호환 관계로 표현한 점이다. 신라 금관의 대표적인 모습은 ‘산(山’)자 모양 입식이다. 이는 위로 자라는 나무의 도안에 기와 생장 표현 등을 결합한 도안 인데 이를 분석하면 첫째 기와 생장이 중앙에서 외곽으로 전개 되는 모습 중 네 방향 표현(줄기와 가지이기에 네 방향이 됨), 둘째 중앙에서 외곽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아래보다 위쪽으로 향하는 생장하는 표현(금관의 좌우 가지가 갑자기 90도(度) 꺾 여 위로 솟구친 이유) 셋째 기와 생장 표현의 초기 모습인 세 갈래 표현(중앙과 그 좌측과 우측을 함께 보여 주는 첫 모양. 좌우 균형과 안정, 간결・함축을 담고, 삼재三才사상과도 관련 된다. 금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들 은 금관 외에도 당시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유산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다. 이웃한 원(原) 중국 역사문화강역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 겨레의 세계적・독보적・독창적 역사문화유산인 신 라 금관・금동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은 고대 일본에도 전파되고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금관, 기(氣・기운氣運), 생장(生長), 연꽃, 입식(立飾), 수식(垂飾)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lla gold crown is an expression of energy ‘gi(氣, vitality, power)’, and growth[生長] through its shape and pattern. The iconography of the vitality and growth encompasses vividness, birth, growth, diffus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something spiritual and marvelous[神異]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and expression of life). The typical shape of the Silla gold crown, which represent the vitality and growth, is an outstretched ornament of a mountain. This is a pattern that combines the design of trees growing upward with the expression of the vitality and growth. Analyzing, first is the four-direction pattern that expresses stems and branch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nd second is the pattern growing upward rather than downward, which is why the left and right branches of the gold crown suddenly bend 90 degrees and soar upward. The third is a three-pronged pattern, which means the beginning appearance of the vitality and growth. It is the first shape to show the center, its left and right together,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balance, simplicity, and connotation, and is related to the Samjae(三才: Heaven, Earth and Man) thought. The shapes and patterns on gold crowns and caps are the very special expressions accompanied by the vitality and growth and were universal to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t that time, which did not exist in the neighboring ancient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other words, the iconography of Silla’s gold crowns or gilt bronze crowns is a unique heritage of the world and its vitality and growth expressions were especially spread and influenced to ancient Japa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금관의 형태와 그 해석
Ⅱ. 금관의 형태와 그 해석
    1. 나무 형태
    2. ‘산’자 모양(‘山’字形)의 나무 형태
    3. 연꽃 모양(蓮華形)
    4. 곡옥(曲玉)과 영락(瓔珞)<(도4-1) 등>
    5. 사슴뿔 모양
    6. 수식(垂飾)
Ⅲ. 금관의 문양
    1. 연속 점선문(도1-3)(도2-3)(도3-3)(도4-3)
    2. 연속 덩굴 연화문(도1-3)(도3-3)(도4-3)
    3. 연속 삼각문(도1-3)(도4-3)
    4. 원문(圓文)(도4-3)(도34)∼(도37)(도4-3)
Ⅳ. 금관 도상(형태·문양)의 보편성 확인·연구 보완
Ⅴ. 일본 출토 금동관에서 삼국시대 금관・금동관의 도상확인
Ⅵ.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저자
  • 조원교(前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 Jo, Wongyo (Former Curator, National Museu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