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존 어리의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시선으로 박태 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小說家 仇甫氏의 一日)을 연구하였다. 1930년대 경성이라는 도시 내에서 구보씨(仇甫氏)의 산책로를 따라 한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파편적인 장소에 녹아있는 소설가 구보씨의 개인적 기억과 감정뿐만 아니라 한 시대의 애환과 정서 를 다양한 방향으로의 서술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특히 이러한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 중에서 ‘장소’, ‘이동’, ‘만남’을 중심으로 한 장소 안 에서 그리고 장소 간의 이동 중에서 생긴 만남과 감정을 분석하였다. 대 상과 주체가 이동을 통해 끊임없는 순환과 사회적 위치(계급)의 존재, 다 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사물, 정치와 경제, 문화와 교통이 서로 복합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문학작품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지금 까지 사회학의 관점의 하나인 존 어리의 모빌리티의 패러다임으로 문학 작품을 분석•연구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사회학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모빌리티 개념과 특징을 하나의 문학작품과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 많은 문학작품을 살펴보기 위해 인문학과 사회학의 융 합적인 새로운 시도는 필요하다.
In this study, I analyzed Park Tae-won’s “A Day in the Life of a Novelist Gu Bo”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Urry’s new mobility paradigm. I explored the novelist Gu Bo’s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as well as the joys and sorrows and sentiments of an era, which are embedded in each fragmented location along Gu Bo's (仇甫氏) walking path in the city of Gyeongseong in the 1930s, through descriptions from various directions. In particular, among these new mobility paradigms, I analyzed the encounters and emotions within a place and during movement between places, focusing on “place,” “movement,” and “meeting.” This analysi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that since there are moving objects and moving subjects, people are constantly circulating, that there is a social position (class), and that they form complex relationships with various objects, transportatio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various places. So far,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analyze and study literary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Urry's mobility paradigm, one of the sociological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obility, which have been mainly discussed in sociology, in connection with a literary work, a new attempt that integrates humanities and sociology is needed to examine more literary work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