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친화적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한 코칭 기술 및 모델 개발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a Coaching Skill & Model for Enhancing Neuro-Friendly Leadership Compet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뇌친화적 리더십과 비효과적인 뇌친화적 리더십을 비교하고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별 성향을 탐색함으로써 강점 강화 코칭 스킬 (skill) 및 약점 보완 코칭 스킬(skill)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뇌친화적 리더십 역 량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코칭 및 리더십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후, CVR값, 합의도, 수렴도를 분 석하여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 및 모델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별로 강점 강화 코 칭 스킬(skill), 약점 보완 코칭 스킬(skill) 등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skill) 개발함으로써 개별 맞춤형 리더십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뇌친화적 리더 십 코칭 모델의 각 단계별로 코칭 원리 및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뇌친화적 리더 십 코칭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 및 모델은 기존의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차원에서 벗어나 뉴로리더십 (neuro-leadership) 등 뇌과학에 기반한 리더십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aching competencies that enhance strengths and address weaknesses across various types of neuro-friendly leadership. By comparing effective and ineffective examples of neuro-friendly leadership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dership type, the research seeks to construct a coaching model that facilitates the improvement of neuro-friendly leadership competencie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5 experts in the fields of coaching and leadership. The proposed coaching competencies and model were refined through analyses of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sensus levels, and convergence ind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coaching competen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uro-friendly leadership type— specifically those aimed at reinforcing strengths and compensating for weaknesses—can effectively enhance individualized leadership capabilities. Second,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coach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at each stage of the neuro-friendly leadership coaching model contributes to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coaching go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뇌친화적 리더십 개념 및 모델
    2.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별 심리성향
    3. 효과적 뇌친화적 리더십 모델과 비효과적 뇌친화적 리더십 모델
Ⅲ. 연구방법
    1. 델파이 조사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및 분석
IV. 연구결과
    1.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기술
    2.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모델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신재한(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교수) | Shin Jae-Han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Dept. Brain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