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telling and the Healing of Wounds in Walk Two Moons
이 논문은 샤론 크리치의 소설 두 개의 달을 걷다를 중심으로, 어머니를 갑작스럽게 잃은 13세 소녀 샐이 조부모와 함께 어머니가 마지막으로 다녀간 장소들을 여행하며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 여정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샐의 ‘이야기하기’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삶을 이해 해가는 내적 성장의 과정이다. 본 논문은 주인공 샐이 ‘이야기하기’를 통해 어 머니와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성하며 완성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 공감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소설 속 샐은 조부모의 따뜻한 공감 속에서 어머 니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복잡한 감정을 재구성하고, 피비 가족의 이야기를 통 해 삶에 대한 이해의 시각을 넓힌다. 이와 같은 공감적 입장 전환은 샐이 어머 니의 죽음으로 인해 시달렸던 자기 비난과 죄책감을 넘어, 상실을 수용하고 삶 의 불확실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도록 이끈다. 결국 이 논문은 두 개의 달을 걷 다가 보여주는 공감과 ‘이야기하기’가 개인의 정서적․인지적 치유와 성장을 촉진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힘임을 강조한다.
This paper analyzes Sharon Creech’s novel Walk Two Moons, focusing on the healing journey of a thirteen-year-old girl, Sal, who embarks on a trip with her grandparents to retrace the places her mother last visited before her sudden death. The journey is not merely physical but represents an inner process of growth in which Sal learns to understand others, develop empathy, and come to terms with her own life through the act of storytelling. The study argues that Sal reconstructs and completes both her mother’s story and her own through narration, with empathy playing a central role in this process. Within her grandparents’ warm empathy, Sal reinterprets her complex emotions regarding her mother’s death and broadens her perspective on life through the story of Phoebe’s family. This empathetic shift enables her to move beyond self-blame and guilt toward acceptance of loss, recognition of life’s uncertainties, and appreciation of its diversity. Ultimately, the paper highlights how empathy and storytelling in Walk Two Moons function as transformative forces that foster emotional and cognitive healing, personal growth, and life-changing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