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침입해충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Burgess))의 발생 보고 KCI 등재

Newly Introduced Insect Pest,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6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국내에 새로이 유입된 해충인 아메리카잎굴파리는 1994년 1월 26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소재 거베라 비닐하우스에서 최초로 발생 및 피해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발생지역, 피해정도 및 기주식물을 파악하고자 주요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6개도 25개 시군에 있는 293개동의 비닐하우스를 조사한 결과,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경남 진주시 초전동 일대의 22개동에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전남 화순군에서도 발생이 청취조사되었다. 작물별 피해엽율은 광주광역시에서 거베라 5-100%, 국화 40-70%, 방울토마토 20%, 셀러리 5-20%이었으며, 경남 진주시 초전동에서 수박의 피해엽율은 0.1-50%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주식물로는 거베라, 국화, 셀러리, 방울토마토, 수박, 호박 등 6작물이 확인되었다.

The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ASL), Liriomyza trifolii (Burgess), was fist found from a vinyl house planting gerbera in Kwangju area on January 26, 1994. To learn its distribution and damage pattern on crop plants, a nationwide survey was carried out at 293 vinyl houses from 25 cities/counties in six provinces. Its damage was found at 22 vinyl houses in Kwangju and Chinju areas. The range of leaves damaged by the ASL was 5-100% on gerbera, 40-70% on chrysanthemum, 20% on cherry-tomato, and 5-20% on celery. Host crop plants included gerbera, chrysanthemum, celery, cherry-tomato, watermelon, and pumpkin.

저자
  • 韓萬鍾
  • 李承煥
  • 崔峻烈
  • 安聖復
  • 李文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