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2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뇌의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영상을 기존의 확산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과 복수의 슬라이스(multi-slice)를 동시에 여기(excitation) 및 획득하는 기법인Multiband SENSE를 사용한 DTI를 획득한 후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건강한 성인지원자 7명(남성:6명, 여성:1명, 평균나이: 33)을 대상으로 conventional-DTI와 MB SENSE DTI(MB factor 2, 3) 두 가지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뇌교(pons)의 추체로 (pyramidal tract)와 내포외각(posterior limb of internal capsule)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 후 두개의 관심영역을 통과하는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의 트래킹을 시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관심 영역에서 비등방성(Fractional anisotropy:FA)값, 겉보기 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값, 트래킹 된 백질섬유(fiber)의 길이 및 백질섬유의 수를 두명의 방사선사가 반복 측정하여 비교 하였다. 정성적 분석방법으로 추체로와 세포내각의 명확도, 트래킹된 백질섬유에 대해 MR 임상경력 5년 차 이상 5명이 4등급으로 불량(poor, 1), 보통(fair, 2), 양호(good, 3), 우수(excellent, 4) 나누어 점수 를 평균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뇌교의 추체로의 FA값은 conventional DTI에서 0.508±0.165, MBf2는 0.486±0.140, MBf3는 0.433±0.150 로 나타났으며 ADC값은 conventional DTI, MBf2, MBf3에서 각각 0.783±0.194, 0.825±0.197, 1.022±0.228로 측정되었다. 내포외각의 FA값은 conventional DTI에서 0.521±0.185, MBf2 0.538±0.175, MBf3 0.506±0.161로 ADC값은 conventional DTI, MBf2, MBf3에서 각각 0.719±0.119, 0.730±0.105, 0.865±0.172로 측정되었다. conventional DTI와 MBf2에서 FA, ADC 평균값은 큰 차이가 없었다. 피질척수로에서 측정된 백질섬유의 평균 길이(mm)는 conventional DTI, MBf2, MBf3에서 각각 124.486±18.523, 115.493±19.568, 100.224±18.368, 트래킹 된 백질섬유의 수는 1294.3, 1090.6, 123.3 측정되어 MBf가 증가할수록 백질섬유의 길이와 수가 줄어들었다. MBf3에서는 백질섬유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추체로의 명확도는 conventional(3.86±0.14), MBf2(3.83±0.06), MBf3(2.71±0.49)로 MBf2는 기존 영상과 비슷하였으나 MBf3는현저하게 낮게 나타 났다. 내포외각의 명확도는 conventional(3.94±0.09), MBf2(3.91±0.09), MBf3(3.4±0.01)로 나타났 다. 트래킹된 백질섬유의 수에서는 conventional(3.94±0.09), MBf2(3.91±0.1), MBf3(2.54±0.26)로 육안으로 백질섬유의 수를 보았을 때는 conventional과 MBf2 영상은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MB SENSE는 sing shot EPI 시퀀스에서 다중볼륨(multiple volume)을 동시에 여기 및 획득을 가능하 게 하는 방법이다. MB SENSE를 사용한 확산영상의 가장 큰 장점은 영상의 획득시간이 MBf2를 사용시 기존에 비해 약 40% 가까이 단축된다는 것이다. 영상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에서도 기존의 DTI와 MBf2 적용한 DTI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은 위의 결과로 보아 움직임이 심한 환자나 긴 검사시간에 불편함을 느끼는 환자에게 MBf2를 적용한 확산강조영상은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목 부위에 있는 brachial plexus 검사 시 쇄골, 늑골, 쇄골 하 동맥과 정맥 및 다양한 근육으로 인한 복잡한 구조 때 문에 지방이 제대로 소거가 되지 않아 이를 제거하기 위해 STIR sequence를 SPIR(chemical saturation)기법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혈액의 강한 신호로 인해 신경다발 관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방소거 기법과 함께 Black Blood pulse를 이용한 3D TSE STIR + Black Blood(이하3D TSE STIR+BB(iMSDE))기법의 유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2017년 1월 10일부터 2월 20일까지 지원자 15명을 대상(남자 8명, 여자 7명, 평균연령 35세)으로 3D TSE STIR기법과 3D TSE STIR+BB(iMSDE)기법으로 스캔하여 영상에 ROI를 설정하여대해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 된 장비는 3.0T MR Imaging system (Ingenia 3.0T CX; Philips Healthcare, Best, Netherland)로 maximum achievable gradient amplitude는 80mT/m, slew rate 200T/m/sec 이고 dS head, anterior, posterior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바로 누운 자세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영상변수는 3D TSE STIR기법의 경우 TR=2200ms, TE=212ms, TI=220ms, FOV=300mm, Matrix=256×256, Slice Thickness=1mm, #slice=170, NEX=1, 총 영상획득 시간은 5분54초 였다. 3D TSE STIR+BB(iMSDE) 기법은 TR=2200ms, TE=170ms, TI=250ms, FOV=300mm, Matrix=256×256, Slice Thickness=1mm, #slice=170, NEX=1, 총 영상획득 시간은 4분 13초였다. 결 과 : 정성적 정량적 평가 모두 3D TSE STIR+BB(iMSDE)가 3D TSE STIR보다 더 좋은 결과가 나왔으며 통계학적으로 모두 0.05미만을 나타내고 있어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고 있다. 결 론 : 3D TSE STIR기법만 사용했을 때 보다는 3D TSE STIR 기법에 BB(iMSDE)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한 경우 검사 시 간이 더 빠르며 SNR, CNR과 같은 정량적, 정성적 평가 등 모든 부분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brachial plexus 검사시 BB (iMSDE) pulse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진단적 가치가 더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MR urography는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기능, 역류까지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유용한 검사법이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 수면 하 검사를 이용하여도 호흡에 의한 움직임과 pulsation 인공물로 인해 영상 판독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호홉에 대한 움직임을 보정하는 여러 기법들이 사용되는데 기존 소아 MRU에서 사용되는 PACE를 이용한 T1 강조영상과 최근 움직임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3D radial vibe FB기법을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적용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3D radial vibe가 TR/TE 4.4/1.9ms, FOV 320mm, slice thickness 3mm without gap, slice 52, radial view 600(rotation 6),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또한 T1WI-PACE는 TR/TE 400/11ms, FOV 350mm, slice thickness 4mm, gap 1mm, slice 50,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검사 시간은 radial vibe 1분 24초, T1WI-PACE 4분 23초(장비 설정값)이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영상의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 vessel clarity에 대해 5년차 이상 방사선사 3명이 five scale로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Radial vibe와 T1WI-PACE의 정성적 평가 결과는 overall image quality에서 radial vibe가 3.6, T1WIPACE가 3.3으로 나타나 두 기법사이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에서는 radial vibe가 4.1, T1WI-PACE가 3.4로 나타나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pulsation artifact에서는 raidal vibe가 3.8, T1WI-PACE가 2.7로,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보였으나 vessel clarity는 raidal vibe가 2.5, T1WI-PACE가 3.8로 PACE를 사용할 경우 vessel clarity가 더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검사 시간의 경우는 radial vibe는 1분 24초로 고정된 검사 시간이었으나 T1WI-PACE는 환자 호흡 상태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했다. 결 론 : MRI pediatric urography 검사에서 T1WI-PACE 기법과 radial k-space sampling을 이용한 3D radial vibe기법으로 획득된 영상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두 기법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는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하며, vessel clarity는 T1WI-PACE이 radial vibe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검사 시간의 경우 radial vibe는 고정된 시간외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T1WI-PACE의 경우 환자의 호흡 주기 등의 여러 상황에 따라 변화되므로 검사 시간에 대한 일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MRU에서 T1 영상 획득 시 3D radial vibe 기법은 시간을 줄이며 영상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 판단된다.
        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의료영상평가의 특성상 전문가의 정성적인 평가에 의존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제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MR 확산 텐서 영상에 Compressed sensing 기법을 적용하여 복원한 영상과 원본 영상과의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fiber tract을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정량적 평가 방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중 평균 나이 53.8 ± 15세(남성 3명, 여성 2명)의 뇌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 대해 3.0T MRI(Archi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여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원본 확산 텐서 영상들은 Compressed Sensing기법을 이용하여 under-sampling 후 영상복원의 정도(reduction factor)를 달리하여 재구성하였다. 각 신경 섬유 다발 영상들의 Fiber statics를 분석하여 신경 섬유의 총 개수, 한 단위 복셀 당 신경 섬유의 개수, 확산 텐서 영상에서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값인 FA, RA, VR값과 평균 확산 계수(Mean Diffusivity), Radial Diffusivity, Eigen Value, Tensor Trace로 총 9개의 변수 값을 구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판독의 1명, 5년 이상 MRI 근무 경력이 있는 방사선사 4명에게 원본 영상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복원 영상이 진단적 가치가 있는지를 매우 양호하지 않다(1), 양호하지 않다(2), 보통(3), 양호하다(4), 매우 양호하다(5)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정성적 분석 결과와 변수들의 값을 회귀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식을 도출하였다. 결 과 : 25개의 training/test dataset에 대한 각 변수에 대한 가중치들을 회기 분석하여 구한 값을 통해 구한 test dataset의 정량적 분석과 전문가 집단의 정성적 분석과의 오차는 평균 19%를 보였으며 이 가중치 값들을 바탕으로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의 고속화에 다른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11%의 오차율을 보였다. 또한 sample data 수를 증가하여 결과를 예측해 보기 위하여 붓스트랩을 적용하여 15개의 복원된 뇌신경 섬유 영상의 원본과의 차이를 나타낸 변수 값들의 데이터를 training set으로 정하여 410개의 sample data를 바탕으로 구해진 가중치들의 값을 통해 얻은 식은 평균 7%의 오차율을 보였다. 결 론 : 전문가들의 정성적 평가에서 5명 모두 동일한 의견을 나타냈을 때는 8%에 지나지 않았으며 각 영상의 정성적 평가 평균값과 다른 의견을 보인 전문가들의 오차율은 평균 36%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11%와 7% 오차율은 전문가들 중에서 이견을 보일 수 있는 오차율 보다 작아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두 식은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정성적 평가방법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량적 평가의 정확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더 많은 training/test dataset의 실험을 추가하여 개선해 나아가면 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최근 MRI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artifact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radial VIBE 기법은 k-space sampling을 radial로 하여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 등을 감소시켜 영상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radial sampling 시 발생되는 streak artifact로 인하여 영상의 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이를 감소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움직임이 민감한 소아 검사에서 radial VIBE 기법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이용도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 MRU 검사 시 radial VIBE기법에서 나타나는 streak artifact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radial views 설정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적용한 환자 12명과 phantom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3D radial VIBE axial의 경우 TR/TE 4.4/1.9ms, FOV 320mm, slice thickness 3mm without gap, slice 52, NEX 1을 사용하였고 radial VIBE coronal의 경우 TR/TE 3.4/1.3ms, FOV 380mm, slice thickness 3.5mm without gap, slice 32, NEX 1을 사용하였다. 두 기법 모두 base resolution 256으로 하여 radial views를 100, 200, 300, 400(Nyquist limit 402 spokes)으로, rotation은 1로 고정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다음에는 radial views 400으로 고정으로 하여 rotation 수를 4, 8, 16, 24, 32, 40, 48, 56, 64로 높여 각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 SNR)에 대해 정량적 평가를 하였고 영상의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에 대해 7년차 이상 방사선사 3명이 five scale로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한 후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p<0.05)을 평가하였다. 결 과 : 영상의 정량적 분석 결과는 radial views와 rotation 횟수가 증가할수록 SNR은 향상되었고 특히 rotation 횟수가 8배, 14배 증가 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Phantom 실험 결과에서도 rotation 횟수가 증가할수록 SNR은 향상되었다. 정성적 분석 결과에서는 radial views를 증가하게 되면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 항목 점수가 높게 나타나 영상의 질이 향상되며 artifact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산출된 각 자료의 통계적 분석 결과는 정량적 분석의 경우 radial views와rotation 두 경우 SNR과의 관계에서 모두 p값이 0.05이하였고 정성적 분석 또한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 각 항목에서 p값이 0.05이하로 나타나 각 자료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소아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streak artifact의 발생은 물리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으나 radial views와 rotation, 그리고 base resolution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보다 향상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streak artifact를 감소하기 위한 조건은 radial views(spoke 수)를 full sampling 조건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rotation 수를 8배 이상 설정하여 검사를 진행하면 streak artifact를 감소시키며 영상의 질을 높을 수 있어 임상적 이용 시 보다 최적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척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DTI 기법은 현재 많은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spinal cord를 영상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DTI 기법 중 2D ss-DWEPI에 IMIV(Interleaved Multisection Inner Volume) 방법을 접목한 2D ss-IMIV-DWEPI 기법은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공간적 범위를 감소하여 자화율 왜곡과 motion artifact 등을 줄이고 진단 시 병변 감별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DTI 기법 사용 시 2D ss-DWEPI에서 IMIV 기법을 적용 할 때와 기존 2D ss-DWEPI에서의 rFOV변화에 따른 FA 값과 ADC 값을 비교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여 IMIV 기법사용 시 DTI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cervical spine 검사 시 DTI sequence를 적용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spine coil과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DWEPI DTI는 TR/TE: 4000/65ms, FOV: 192mm, slice thickness: 2mm without gap, matrix: 128×32, 64, 128(rFOV 25%, 50%, 100%), NEX: 8을 사용하였다. 또한 ss-IMIV-DWEPI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matrix 128×32(rFOV 25%)를 사용하였으며 두 기법 모두 slice 수 10개, b factor 0, 500s/mm² 적용하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sagittal 영상을 얻어 cervical C1에서 T1까지 각각의 척추디스크 사이에 ROI를 그려 ADC, FA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2개 segment (C1∼C5, C5∼T1)로 나누어 영상의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을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ADC와 FA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한 평균값은 ADC에서 IMIV 560.7, rFOV100% 1261.3, rFOV50% 1387.3, rFOV25% 1321.9 로IMIV의 ADC 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IMIV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rFOV50%에서 138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에서는 IMIV 623.1, rFOV100% 578.7, rFOV50% 544.5, rFOV25% 495.7로 IMIV의 F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ADC에서 IMIV와 rFOV25, rFOV50, rFOV100의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FA에서도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IMIV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rFOV 변화에 따른 값들 모두 유의한 값을 얻었다. 정성적 평가는 방사선사 5명이 영상을 관찰하고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 등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5명의 점수를 평균화 하였다. ADC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 upper/lower spine segment 모두 3.8-4.8 사이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는 lower spine segment에서 1.2-2.0 사이의 낮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upper/lower spine segment에서 3.6-4.6 사이의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 1.4-1.8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0T MRI Cervical spine 검사에서 small FOV DTI 사용 시 IMIV-DWEPI 기법을 사용한 DTI는 기존 DWEPI에 비해 긴 검사 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motion artifact, distortion 등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능력이 우수하므로 임상적 이용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3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꺼운 난류경계층 내에서 큐브물체의 표면압력과 풍하중을 동시 측정할 경우 발생하는 간섭에 대해 스펙트럼 해석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큐브물체에 풍압공을 설치하고 모델의 하부에 분력계를 설치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면압력과 풍하중 데이터를 스펙트럼 및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한 결과들을 제시할 것이다. 결론으로 표면 압력의 스펙트럼은 앞, 뒷면과 옆면은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앞면과 뒷면 표면압력의 스펙트럼은 위치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옆면은 후단으로 갈수록 피크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표면압력과 풍하중의 상호상관은 박리와 재부착 지점의 영향에 따라 지연시간의 특성에 변화가 있었다.
        4,000원
        3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ome appropriate models which account for attitudes toward practice of consuming dog (ACD) as a food and as a companion animal. Two models, one for males and the other females, were found from 670 community-dwelling respondents of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who aged 17~66 years. Age, keeping dog or willing to keep dog, and frequency of consuming dog as a food (FD) were ex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s while attitudes toward companion animal were a mediating variable. The two model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counting for the ACD was the FD.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ACD were discussed in two dimensions of affect and utility which were motivational attitudes to animal. People who are against consuming dog meat as food would think of all dogs as only affectionate objects, and their points of view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both keeping dog and restricting dog meat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are for consuming dog meat would think of dogs as either affectionate or utilized objects, and their points of view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alving dogs into companion dog and edible dog.
        4,000원
        34.
        2011.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KTX. Investigation sites in the KTX were cabin, gateway, toilet and passenger seat. It was found that the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157 CFU/m3 and 84 CFU/m3 , respectively, in all of the investigation sites of the KTX. They did not exceed the domestic standard (800 CFU/m3 ) for airborne bacteria and the guideline (150 CFU/m3 ) for airborne fungi recommended by WHO. Mean levels of bacteria and fungi distributed in passenger seat were 2.6×105 cfu/m3 and 3.7×104 cfu/m3 ,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genera identified in the KTX were Bacillus, Corynebacterium, Staphylococcus and Micrococcus for bacteria and Aspergillus, Cladosporium and Penicillium for fungi, respectively. Based on identification result, the profile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the KTX was wholly similar to those of bacteria and fungi distributed in the passenger sea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