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견직물의 염색시에 많이 사용되는 Acetic Acid, Sulphuric Acid 및 Formic Acid등의 산성화학약제 처리가 생사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으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사의 강력(g/d)은 공시 3개약제 다같이 온도 및 pH 변화에 따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생사의 신도(%)는 Acetic Acid 및 Sulphuric Acid pH 3에서 Formic Acid pH 4에서 유의차 있게 저하되었다.
Survey on potato parasitic nematodes has been undertaken in order to find distribution of the nemic fauna. 41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potato fields in Gyeongbug, Gyeongnam and Gangweon provinces. Twenty four species belonging to 16 different genera were identified. Potato cyst nematode, Globodera rostochiensis was not found in the areas. Potato-rot nematode, Ditylenchus destructor and stem nematode, Ditylenchus dipsaci were found from several potato fields and population density high and showed damage to the crops.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penetrans, Pratytenchus thornei and Pratylenchus vulnus were found and their population of these four species were high depending on the fields.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and Meloidogyne incognita were found. M. hapla was found only in Gangweon province and the population density was high. M. incognita was found at Milyang in Gyeongnam province. Spiral nematode, Heticotylenchus digonichus, Helicotylenchus dihystera, Helicotylenchus pseudorobustus, Rotylenchus orientalis and Rotylenchus pini were found. Aphelenchoides saprophilus,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estructor, D. dipsaci, Helicotylenchus digonichus, H. dihystera, Hemicriconemoides intermedius, Meloidogyne hapla, Psilenchus hilarulus, Pratylenchus minyus, and Xiphinema americanum were first found from potato fields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한국문화교 육 관련 교과목과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그 결과,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 육을 부족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어학과 재 학 중인 학습자들은 모두 한국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1) 교육 내용의 풍부성, 2) 교수 학습의 다양성, 3) 교재 내용의 실제성, 4) 학습활동의 실천성이라는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적합한 한국문 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다루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