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oaking in salt and sugar solution prior to air drying at 50℃ on the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Pre-soaking solutions included single solutions of salt 2% and sugar 2%; and combined solutions of salt 2%+sugar 2% and salt 2%+sugar 5%, respectively. The effects of pre-soaking condition and drying were evaluated in terms of moisture content (MC), water activity, color,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ear force, microbi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apple slices. The control sample without pre-soaking showed the most rapid drying rate; in addition, the single solutions showed higher MC and water activity after drying time of 120 min, as compared to combined solutions. In all samples, MC and water activity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1 to 0.97; whereas, shear for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C and water activity. The single solution of salt 2% showed decrease in change of color, including L, a, and b values, an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during drying. In addition,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values of sensory pre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ried apple pre-soaked in single solution of salt 2%.
        4,000원
        22.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평균입경 0.2, 0.5, 1,7㎛ 크기의 α-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의 기공구조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는 슬립캐스팅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소결하였으며, 이 때 소결 온도가 지지체의 기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는 수은기공분석기를 이용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률 등을 분석하였으며, 단일기체투과장치를 이용하여 기체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입경 0.2, 0.5, 1.7㎛ 크기의 α-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지지체는 각각 80, 130, 200㎚의 기공경을 가졌으며, CO2 단일기체에 대해 각각 1300, 1700, 5000GPU를 나타냈다.
        2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develops a two-echelon supply chain model with variable setup cost and environmental impact. A single-setup-multi-delivery (SSMD) policy is adop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in the supply chain i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shipment lot size of each delivery is unequal and variable. Each delivered item goes through inspection process at the buyer’s end. After inspection, defective products are returned to the vendor for reworking process. Due to inspection process, end customers receives perfect quality items. Due to more transportations by SSMD policy, this model assumes carbon emission cost to help the world environment. An investment function is used to reduce total setup cost for the whole supply chain. Stackelberg leadership approach is utilized in this model to optimize the joint total cost of vendor and buyer. Finally, some numerical examples, sensitivity analysi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s are given to illustrate more savings from existing literature.
        2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urbet’s landscape was mostly created from 1855 to the four-year period of his exile in Switzerland and occupied the two third of his entire oeuvre. Landscape is important for shaping the artist’s subjectivity, aesthetic, and commercial strategy, but its rich significance has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in scholarship. Many critics and scholars consider Courbet’s turn from rural subjects to landscape as a betrayal of the Realist causes of social concerns and as tailoring to the market demand. This article discusses how Courbet’s landscape paintings achieve the dual goals of “truth to self” and “truth to nature” by departing from the depiction of rural labors and instilling emotional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identity. There are three chief modes of representation at work: a positivist observation of material phenomenon and natural evolution; a visual recollection of body experience and local consciousness; an allegory of human condition derived from an understanding of nature as unbound desire and transient existence.
        7,700원
        2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억새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3 mg/L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2 mg/L BA가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재분화효율
        4,000원
        2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eavage pattern, its developmental ability and apoptosis of porcine embryo in vitro. Morphology data on a total of 919 embryo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ty-eight hours after insemination, embryo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ased on the cleavage state as follows; 1 cell, 2 cell, 4 cell, 5 to 8 cell and fragmentation. These groups were cultured another 120 hours and then evaluated for blastocyst formation.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4 cell (42.5%) and 5 to 8 cell (48.6%) cleaving groups than in other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2 cell and fragmentation groups produced 4.9% and 3,9% blastocysts, respectively. And we could verify that in the event of 2 cell block and fragmentation of embryo. To analyze the apoptotic frequency in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orcine IVF embryos, all cells of each blastocyst were performed by TUNEL assa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total cell numbers of embryos and apoptotic cell rate in blastocysts among the each classified groups. Data suggest that 4 cell and 5 to 8 cell cleaving embryos at 48 hour after insemination have high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may be an useful parameter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embryos and to study using preimplanation embryonic research.
        4,000원
        2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잔디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들잔디 성숙종자로부터 재분화능이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성죽종자의 소독은 30% (v/v) NaOCl 농도로 60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낮은 오염율과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 효율을 보였다. 옥신류의 혼용처리에 따른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은 2,4-D와 diacamba를 각각 3 mg/L로 혼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9.
        200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nO nanorod gas sensors were prepared by an ultrasound radiation method and their gas sens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NO gas. For this procedure, 0.01, 0.005 and 0.001M of zinc nitrate hydrate [Zn(NO3)2 · 6H2O] and hexamethyleneteramine [C6H12N4] aqueous solutions were prepared and then the solution was irradiated with high intensity ultrasound for 1 h. The lengths of ZnO nanorods ranged from 200 nm to 500 nm with diameters ranging from 40 nm to 80 nm. The size of the ZnO nanorods could be controlled by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The sensing characteristics of these nanostructures were investigated for three kinds of sensor. The properties of the sensors were influenced by the morphology of the nanorods.
        4,000원
        3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besity, a global health problem and a chronic disease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and coronary heart diseases. A wide variety of natural remedies have been explored for their obesity treatment potential. To elucid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ginsenoside Rg5 : Rk1 (Rg5 : Rk1), a mixture of protopanaxadiol type ginsenoside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Meyer in a 3T3-L1 adipocytes.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determin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Rg5 : Rk1,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TG) content was assessed. Furthermore, to elucidate the possible mechanism whether Rg5:Rk1 affects lipid accumulatio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nalyses of adipocyte markers such as STAT3, PPARγ, CBEPα and ap2 were carried out. Rg5:Rk1 treatment showed an inhibition of lipid droplet accumulation and decrease on TG content. In addition, expression of STAT3, PPARγ, CEBPα and ap2 were decreased in dose dependent manner. Similar to these results, Rg5:Rk1 treatment reduced PPARγ and CEBPα protein expression. Conclusion : Rg5 : Rk1 treatment exhibits anti-adipogenic activity by down-regulation of the STAT3PPARγ/CEBPα pathway in 3T3-L1 adipocyte cell line.
        3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Nowadays obesi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lead various metabolic disorders such as type 2 diabetes, hypertension, cancer, and the risk of stroke. Thus, looking forward a new chemical entity from natural sources which have a strong potential of anti-lipid regulation activity. Recently, protein based nanomedicine offers a new approach to treat a number of diseases including metabolic disorder such as obes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lipid regulation effect of nano-carrier Bovine serum albumin and Mesoporous silica (MSNPs) conjugated ginsenoside F1 in 3T3-L1adipocytes and HepG2 hepatocytes. Methods and Results : BSA incorporated drugs has been shown to protect the drug degredation as well as improvement bioavalilability. To assess the anti- adipogenic effect of BSA-F1 and MSNPs-F1 cell viability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time point of cell cycle growth and th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was evaluated in mature adipocytes and hepatocytes by Oil red staining assay. In addition, transcriptional gene regulation was quantified by the real time PCR for targeting adipogenic genes such as PPARγ, STAT3, CEBPα, ap2 and aP2 as well as hepatogenic genes such as ACC, AMPK, FAS and PPARα. Moreover, protein expression was evaluated by immunoblotting assay. Conclusion : Altogether, the above results were confirmed that BSA-F1 at dose 25 μM exhibite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by downregulating the major transcriptional factors PPAR γ/STAT3 in signalling in 3T3-L1 mature adipocytes and upregulated the fatty acid oxidative AMPK signaling in fatty acid induced HepG2 hepatocytes.
        3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게임의 상생형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구조의 특성은 모바일게임 산업에 접목하여 모바일 게임시장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마케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산업 단지 내 모바일 게임개발사의 우수 게임 콘텐츠들이 사장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장에 진입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우수한 기능을 지닌 G-크로스 네트워크 운영플랫폼을 제작하였다. 제안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면 상생형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배포되는 특성 구조와 아울러 새로운 게임이 상용화되어질 때 마다 다양한 데이터 지표 분석을 통하여 지속적인 타겟 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G-Cross 마케팅전략은 주어진 게임 인프라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게임사가 보유한 사용자층을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방법이라 판단된다.
        33.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erheated steam drying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Actinidia arguta) leaves. Actinidia leaves were dried at steam temperature of 350℃ and oven temperature of 150℃ for 40-200 sec.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rying time, while color values including L, a, and b values and total color difference (ΔE) increased as drying time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showed an exponential fit with high correlation vlaue (R2=0.9909).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of dried actinidia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rying time up to 160 sec, but dramatically decreased at drying of 200 sec. The numbers of total areobic bacteria of leaves was not detected at drying time over 120 sec and coliform of all the samples was not detected. As a results, the superheated steam was an very effective drying method of increase to the nutritional and sanitary quality of dried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leaves.
        34.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D 게임그래픽 표현기술은 게임콘텐츠발전과 함께 콘텐츠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특히 게임 캐릭터 표현 기술은 사실적인 그래픽 기술과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 이외에 게임 을 진행하는 게임에 대한 몰입도의 중간 단계역할을 하며 플레이어가 마치 게임 속에서 영웅적 인 모험을 즐길 수 있도록 착각을 만들어 낸다. 3D 게임에 있어서 게임캐릭터의 높은 완성도는 개발과정 가운데 캐릭터 설정작업의 세심한 디테일작업과 신중함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한다[3]. 본 논문에서는 게임구현을 위하여 인지적 AI 알고리즘이 적용된 3D 유니티 게임 엔진을 사용하 여 radiosity의 수학적인 모델과 기본적인 radiosity 모델, 점진적 개선 radiosity 모델 기법을 방 법론을 소개하고, 모바일 게임에 적용한 캐릭터 표현기법을 제안하려고 한다. 게임엔진에 실제적 으로 적용하여보니 렌더링과정과 모의실험에서 표면의 투영도는 게임콘텐츠 환경의 조명도에 따 라 변화됨을 발견 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질 높은 게임캐릭터가 완성되었음이 확인 되었다.
        3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chanism of micro-bubble generation with a pump is not clarified yet, so the design of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a micro-bubble generating pump is based on trial and error methods. This study tried to explain clearly quantitative relationships of experimental micro-bubble concentration (Cair) of continuous operation tests with a micro-bubble generating pump and theoretical air solubility. Operation parameters for the tests were discharge pressure (Pg), water (Qw0) and air (q0) flow rates, orifice diameter (DO), and retention time (t). The experimental micro-bubble concentrations (Cair) at 4.8 atm of discharge pressure (Pg) were in the range of 21.04 to 25.29 mL/L. When the retention time (t) by changing the pipe line length (LP) increased from 1.22 to 6.77s, the experimental micro-bubble concentrations (Cair) increased from 25.86 to 30.78 mL air/L water linearly. The dissolved and dispersed micro-bubble concentrations (Cair) are approximately 4 times more than the theoretical air solubility.
        36.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를 듣고 방과후 과정 교사 운 영에 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로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 한 연구 참여 교사는 충청북도에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5명과 타․시 도(대전, 경기, 대구, 전라북도) 공립유치원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교사 5명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4월 6일(월) ∼ 6월 27일(토)까지 12주 동안 주 1회 교사 10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시각으로부터 통찰과 발견, 이해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자료를 많이 수집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 면담, e-메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 담한 자료를 취합하여 전사하였으며, 현장 노트를 작성하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묘사하여 예비적인 보충 자 료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자기 달라진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 지침이 갑자기 변 경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를 채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원자가 감소하게 된 배경을 보면 방과후 과정 교사 채용 자격 조건이 강화되었으며, 유치원이 위치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면 이하의 경우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부재로 지원자가 턱없이 감소하였다. 셋째, 다양한 방과후 과정 교사의 유형으로 인해 누구와 함께 일을 하느냐에 따라 교사가 느끼는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어려움으로 소통의 부재를 말하고 있다. 한 학급을 함께 운영하는 교 육과정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학급 운영을 잘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소통일 것이다.
        3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sidering cable stayed bridge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urpose . To monitor the bridge, 6 different locations (like 2 points from deck, 2 points from pylon, 1 points from side span and 1 points from girder) were introduce to find the satellit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antenna. According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1984(WGS-84) coordinate system, the GPS station signal was measured in the 6 observed points. After that, Statistical moment analysis is applied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ose 6 position of this long span bridge. Finally, the Statistical moment analysis results clearly indic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ong span bridge at 6 different locations. The time series statistical moments really able to detect the damage condition and localization of the long span bridge.
        38.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3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