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C 제염기술은 원자력연구시설 핫셀 내부의 바닥이나 장치표면에 부착된 고방사능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고가의 PFC 제염용액을 회수 정제후 재사용하고, 2차폐기물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여과장치를 개발하였다. PFC 매질 내 현탁성 방사성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특성에 적합한 여과장치를 개발하고 입자제거 성능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PFC 여과장치는 핫셀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알맞은 크기와 무게로 제작되었으며 바퀴와 고리를 부착하여 이동이 용이하다. PFC 여과장치의 성능평가결과 모의입자의 농도 증가 시 flux가 감소하였고, Pre-filter()와 final-filter() 두개를 장착하여 여과시간에 따른 flux의 감소를 개선하였다. 개발된 PFC 여과장치는 분당 약 0.2L의 PFC 폐액을 처리 할 수 있다.
Various mutants of specialty rice were derived from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rice cultivar, through muta-tion breeding by MNU treatment on fertilized egg cells of rice spikelets. The selected mutants revealed glutinous, semi-glutinousfthem were
우라늄 변환시설 가동 중 발생하여 라군(lagoon)에 저장중인 방사성 슬러지 폐기물에 대한 처리는 시설 해체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슬러지 구성성분 중 다량을 차지하는 질산암모늄의 폭발 위험성 등으로 인해 미생물을 이용한 질산염의 분해는 질산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군 슬러지의 약 60 wt%를 차지하는 질산염을 혐기성 균주의 하나인 Pseudomonas halodenidificans를 이용하여 탈질하기위한 공정 변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온도, 질산염 농도, 전자공여체의 영향, C/N 비율, 초기 접종하는 균주의 비율, pH등의 공정변수에 대하여 실험한 이번 결과는 향후 연속식 공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Leaf chlorophyll-deficient mutants controlled by y9 locus have been observed frequently and are useful in genetic stud-y9 locus. A mapping population con-sisting of 94 F2 progen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normal green leaf Clark (Y9 ) and chlorophy
최근 미국 ANL연구소가 개발한 다이포실 수지는 우라늄의 선택특성이 우수하나 수지의 형태가 분말형이므로 입상의 비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다이포실 분말을 알기네이트상에 고정화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생성된 비드의 우라늄에 대한 흡착특성을 측정한 결과, 소디움 알기네이트 자체도 우라늄 흡착특성을 최대 68%까지 나타낸 후 3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흡착후 탈착하는 과정을 거쳐 평형에 이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드내 다이포실의 양이 증가할수록 우라늄의 흡착이 증가하며 최대 85 %정도의 흡착율을 나타내고 있다. 다이포실 수지만의 경우 반응초기에 급격한 흡착을 보이고 있으나 3일정도 이후에는 비드의 흡착율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드내 함유된 순 다이포실량을 고려할 경우 알기네이트 자체의 흡착효과로 인해 비드의 흡착효율이 크게 상승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우라늄 농도의 영향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우라늄의 제거효율이 감소하였으며, 비드의 양을 2배로 증가시킨 결과 최대 90%이상의 제거효율을 얻었다. 결론적으로 다이포실 수지를 소디움 알기네이트상에 고정화하여 입자형의 비드로 제조하므로서 적은 양의 수지로 우라늄 제거특성이 우수한 비드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나아가서 연속공정에의 적용도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알파분광법에 의한 의 정량방법을 검토하였다. 황산염 매질에서 전류세기, 전착시간 및 유기물 첨가제 둥의 변화에 따른 의 전착조건을 찾은 결과 A에서 유기첨가제 없이 시간 동안 전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을 4.16 Bq에서 0.0264 Bq(1ng) 까지 전착한 결과 농도가 낮을수록 전착율 및 재현성이 낮아졌으며 1 ng 까지 측정이 가능하였다. 사용후 핵연료 합성용액에서 을 분리한 후 알파분광법으로 측정하여 정량한 결과 (n=4)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사용후 핵연료 시료용액 중 을 정량하였으며 계산 값과 비교한 결과 10% 이내에서 서로 일치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production, employment, value added and income impacts tha, in the event of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Haeundae as 'Convention, Movie, Marine Leisure Special Zone', its marine sector would have on the local economy. The realization of marine leisure special zone of Haeundae in Busan is expected to lead to a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of approx. \13.6 billion, resulting in \68.0 billion in production impact, 850 jobs in employment impact, \28.0 billion in value added impact and \14.5 billion in income impact. This is expected to give a boost to a stagnant local economy, offering opportunities for the revival of Busan's tourist industry.
Corrosion is never avoided in the use rf materials with various environments. The underwater hull is normally protected against rusting by several coatings of anti-corrosive paint. The purpose of ICCP(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system is to eliminate the rusting or corrosion, which occurs on metal immersed in seawater. This thesis is about the ICCP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hich brings protection against the corrosion of the ship's hull in the sea environments. The test system for ICCP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anode, reference electrode and controller. The test system is composed power supply, anode, ref electrode, shunt and etc. The protection current is sent to the protection area though anode. Reference electrode senses whether or not the detected potential is within a range of protection of test equipment and then 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protective current to be sent to the anode by controller. The monitoring system with LabView is also detected in order to check the normal state of the system at operation period, because an operator does not always watch over this system and thus the system cannot operate well because rf his or her negligent management. This paper was studied the variation of potential and current density with environment factors, velocity and tim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explained Also, It is suggested that this system can accommodate a ship's automation for SCMS(Ship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and will be very useful.
본 연구는 소나무라는 식물의 부산물인 송이버섯을 주제로 축제화한 제8회 봉화송이축제의 방문객만족에 관한 연구이다. 식물을 활용한 축제연구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방문객의 만족을 식물을 활용한 관광 형태 중의 하나인 생태관광 관점에서 연구 한 것에서 본 연구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식물 활용축제에 대한 방문객들의 축제 관광프로그램 만족도,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물활용 축제의 지역에 대한 경제적 편익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화송이축제의 관광프로그램 중 방문자들은 송이채취 체험에 대해 송이를 활용한 음식 만들기 등 의 프로그램들 보다 더욱 만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5.35/7점 척도). 한편 체험 참가자들은 채취하는 송이의 수가 증가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송이축제 방문으로 방문자들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느껴 봉화 송이축제가 교육적 축제임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축제 방문객으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기여 분석에서 방문자들은 송이와 농산물 구매 그리고 식음료 구매로 인한 비용이 숙박 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축제 기획자들은 가족 중심의 관광프로그램 다양화와 지역의 독특하고 상품성 높은 농산물 생산 등에 대한 축제 기획이 요구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방문객들의 방문동기, 방문객들의 방문 기대와 인지된 성과, 서비스 질 등에 관한 만족도 연구 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와 라벤더(Lavandura spica L.)의 잎 절편으로부터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첨가에 따른 캘러스 유기율, 신초 및 뿌리의 분화율을 조사한 결과와 유기된 캘러스의 항산화 활성은 다음과 같다. 로즈마리의 캘러스 유기율은 2,4-D의 모든 처리구에서 양호 하였고, 특히 배양 90일째 2,4-D 1.0mg/L처리구에서 94%의 유기율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다. 로즈마리의 항산화 활성은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고, 2,4-D 0.1mg/L를 첨가하여 배양된 캘러스에서 43μg(RC50)으로 가장 높았으며, 2,4-D의 농도가 낮을 수 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AA, BA는 2,4-D와 반대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라벤더의 캘러스 유기는 2,4-D, NAA 및 BA의 모든 처리구에서 양호 하였으며, 로즈마리와 동일하게 2,4-D 1.0mg/L 처리구에서 98%의 유기율로 가장 양호하였다. 뿌리의 형성은 NAA 1.0mg/L을 첨가하였을 때 85%의 분화율로 가장 양호 하였다. 라벤더의 항산화 활성은 잎의 경우 69.5μg(RC50)으로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지만 2,4-D 0.1mg/L을 첨가하여 배양된 캘러스에서 37.6μg(RC50)으로 잎 보다 2배 정도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BA의 모든 처리구에서도 잎 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Jangki” 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and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5. Jangki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Eunhakong and MS91088.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A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consisting of 231 lines, derived from a japonica (Suweon365) and a japonica (Chu-cheongbyeo) r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factors affecting cooking and eating quality of rice. Alkali digestion valueloci (QTLs
To ensure the durability of resistance to blast disease in high-quality japonica rice a long-term rice breeding project to develop a few blast-resistant multiline cultivars was carried out from 1987 to 1999. Seven resistance donors were selected based on
Regions of allelic loss on chromosomes in many tumors of human and some experimental animal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rbor tumor-suppressor genes involved in tumorigenesis. Allelotype analyses have greatly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radiation lymphomagenesis. Previously, we and others found frequent loss of heterozygosity (LOH) on chromosomes 4, 11, 12, 16 and 19 in radiation-induced lymphomas from several F1, hybrid mice. To examine possible contributions of individual tumor-suppressor genes to tumorigenesis in p53 heterozygous deficiency, we investigated the genome-wide distribution and status of LOH in radiation-induced lymphomas from F1 mice with different p53 status. In this study, we found frequent LOH (more than 20%) on chromosomes 4 and 12 and on chromosomes 11, 12, 16 and 19 in radiation-induced lymphomas from (STS/A×MSM/Ms)F1 mice and (STS/A×MSM/Ms)F1-p53KO/+ mice, respectively. Low incidences of LOH (10-20%) were also observed on chromosomes 11 in mice with wild-type p53, and chromosomes 1, 2, 9, 17 and X in p53 heterozygous-deficient mice. The frequency of LOH on chromosomes 9 and 11 increased in the (STS/A×MSM/Ms)F1-p53KO/+ mice. Preferential losses of the STS-derived allele on chromosome 9 and wild-type p53 allele on chromosome 11 were also found in the p53 heterozygous-deficient mice. Thus, the putative tumor-suppressor gene regions responsible for lymphomagenesis might considerably differ due to the p53 status.